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 비공식성 개념의 이론적·실천적 함의

        황진태(Hwang, Jin-Tae),권규상(Kwon, Kyusang),조영지(Cho, Youngj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3

        본 연구는 기존의 노점상을 바라보는 재배적 시각인 공식부문으로부터 단절된 비공식부문의 일부로 노점상을 인식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노점상을 공식부문과 비공식부문 간의 역동적인 상호관계 속에 위치시켜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비공식성(urban informality) 개념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공식/비공식 부문의 이분법을 교란시키고, 비공식성이 공식경제를 비롯한 다양한 경제 형태와 공간들의 상호관계 속에 위치했음을 강조하는 도시 비공식성 개념은 정체된 노점상 연구에 있어서 의미 있는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노점상과 연결된 행위자들과 제도 그리고 이들이 위치한 구체적인 공간에 사라져야 할 정책의 대상이었고, 공간연구자들의 시각에서는 거시경제 구조의 변화에 따른 공식부문으로부터 배제의 결과로서 노점상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면서 노점상의 도시지리에서 이들을 수동적인 객체로만 인식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노점상이 구체적인 장소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 제도들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들의 경관을 생산한다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의 노점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수정하고자 한다. This paper criticizes the formal-informal dichotomy in previous studies on street vending in South Korea, and proposes the concept of urban informality which emphasize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ectors. First, we argue that street vending research in Korea needs to take into account that informality is the result of dynamic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economies and spaces. Second, street vend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concrete actor and space-oriented context. For policy makers, street vending is something to be ousted from the public space, whereas for researchers it is the necessary result of changes in the macroeconomic structures which have excluded vendors from the formal sector. We focus on the proactive role of street vendors in creating a landscape through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various actors and institutions in a place. This perspective can lead to a change in the way urban planners and city government officials regard street vendors as passive and marginal actors.

      • KCI등재

        연결성을 고려한 최대지역 커버문제를 활용한 재해구호 창고 최적위치 분석

        류규상(Kyusang Ryu),황태성(Taesung Hwang) 한국SCM학회 2019 한국SCM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find the optimal locations of disaster relief warehouses, a sort of humanitarian logistics facilities to store disaster supplies such as a first-aid kit, bottled water or protective cloth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necessary goods need to be distributed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from the disaster relief warehouses. Moreover, distance between two warehouses can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immediate supply will be possible in the case of stock out in one facility. Therefore, a connected maximum covering problem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to cover the most demand in the case of an emergency with a set of connected facilities. A case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ocation of additional disaster relief warehouse considering current operating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ecision makers or transportation planners in humanitarian logistics to reduce adverse impact of various disasters on the supply chain.

      • 금강하구둑 어도의 생태 기능 평가

        김재옥 ( Jae-ok Kim ),장규상 ( Kyusang Jang ),장준호 ( Junho Jang ),황종서 ( Jongseo Hwa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금강하구둑에는 방조제 우측에 30.0m(W)×10.3m(H)×20련의 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있고 배수갑문에는 폭 9.0m의 계단식 어도가 1개소 설치되어 있다. 어도는 계단식과 돌망태식 어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에 물고기 유인을 위한 유인수 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금강하구둑 어도는 설계시 계획했던것 보다 내측 관리수위를 높게 유지하여 어도로서의 기능이 미약하였으나, 어도전면부에 전도수문 설치와 돌망태측 어도를 높이는 작업을 통하여 현재 원활히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하구둑 어도 유지 보수 후 어도를 통하여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금강하구둑 어도의 생태적 기능을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조사는 만조와 간조가 반복되는 12~24시간을 각각 3시간 간격으로 구분하여 만조→간조 중간(A), 간조 중간→간조(B), 간조→만조 중간(C), 만조 중간→간조(D)의 4구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4월~6월까지 출현한 전체 어류는 총 7목 7과 18종이었으며 잉어과 어류가 1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바다빙어과, 숭어과 어류가 각각 2종, 멸치과, 학공치과, 망둑어과, 참복과 어류가 각각 1종씩 출현하였고 현재까지 우점종은 은어와 됭경모치였다. 5월에는 어류의 이동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되어 24시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간에는 A(만조~간조 중간)시기에는 약 1시간 동안 물이 정체되는 상태였고, D(만조중간~만조)시기에도 만조로 접어 들면서 수문이 닫히게 되어 이때 물 흐름이 감소하면서 대부분의 어류가 쉽게 소상하여 가장 많은 개체수의 은어가 상류로 소상하였다. 6월 조사에서도 만조~간조중간 시기에 유속이 정체되고 수문이 열리기 전에 실뱀장어 20여 개체가 확인되어 어도를 통해 실뱀장어의 소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기별로 계단식 어도와 돌망태식 어도에서 소상어류와 개체수에 차이를 보였는데, 주로 은어를 비롯한 소형 어류들은 돌망태식 어도를 통해 소상하였고 숭어와 같이 큰 어종들은 계단식 어도를 통해 소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돌망태식 어도에는 돌 틈등에 유속이 완만한 부분이 있어 소형어류에게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계단식 어도는 유속 분포가 대부분 더 빨라 체장이 크고 유영력이 뛰어난 어종들이 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어종이 금강하구둑 어도를 통해 소상하고 있었으며, 특히 만조중간~만조가 되는 시기에 가장 많은 어류 이동을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chromosome 22 LD Map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Other Population

        Jong-Eun Lee,Hye-Yoon Jang,Sook Kim,Yeon-Kyeong Yoo,Jung-Joo Hwang,Hyojung Jun,Kyusang Lee,Okkyung Son,양준모,Kwang-Sung Ahn,Eugene Kim,Hye-Won Lee,Kyuyoung Song,Hie-Lim Kim,이성진,Yongsook Yoon,Kuchan Kimm 한국유전체학회 2008 Genomics & informatics Vol.6 No.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re the most abundant forms of human genetic variations and resources for mapping complex genetic traits and disease association studies. We have constructed a linkage disequilibrium (LD) map of chromosome 22 in Korean samples and compared it with those of other populations, including Yorubans in Ibadan, Nigeria (YRI), Centre d'Etude du Polymorphisme Humain (CEPH) reference families (CEU), Japanese in Tokyo (JPT) and Han Chinese in Beijing (CHB) in the HapMap database. We genotyped 4681 of 111,448 publicly available SNPs in 90 unrelated Koreans. Among genotyped SNPs, 4167 were polymorphic. Three hundred and five LD blocks were constructed to make up 18.6% (6.4 of 34.5 Mb) of chromosome 22 with 757 tagSNPs and 815 haplotypes (frequency ≥ 5.0%). Of 3430 common SNPs genotyped in all five populations, 514 were monomorphic in Koreans. The CHB + JPT samples have more than a 72% overlap with the monomorphic SNPs in Koreans, while the CEU + YRI samples have less than a 38% overlap. The patterns of hot spots and LD blocks were dispersed throughout chromosome 22, with some common blocks among populations, highly concordant between the three Asian samples.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chimpanzee-derived allele frequency (DAF), a measure of genetic differentiation, Fst levels, and allele frequency difference (AFD) among Koreans and the HapMap samples show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sians, while the CEU and YRI samples showed a very weak correlation with Korean samples. Relative distance as a quantitative measurement based upon DAF, Fst, and AFD indicated that all three Asian samples are very proximate, while CEU and YRI are significantly remote from the Asian samples. Comparative genome-wide LD studies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association studies of complex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