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성별화된 이혼의 서사

        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4

        이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이혼 당사자들의 정신적인 고통이나 불행, 혹은 이혼 이후에 겪는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 편견에 주목해 왔다. 그러나 이혼 이후에 여성과 남성이 부여하는 상실의 의미의 차이가, 이혼 이후 자아정체성의 형성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는 과정에 주목한 연구는 부재하다. 이 논문은 30명의 이혼 남성 여성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이혼이후의 ‘상실’의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많은 남성들이 이혼을 통해 겪는 ‘상실’의 경험은 ‘이상적인 결혼’을 유지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분노 혹은 후회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며, 이는 가정을 유지하는 일차적인 책임이 여성에게 있다는 남성 중심의 시각 속에서 ‘이상적인 아내’를 만나지 못한 분노 혹은 후회와 밀접하게 결합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많은 이혼 남성들의 ‘새로운 자아’의 정체화 과정은 남성 중심의 가족/결혼관계에 대해 근본적인 변화를 동반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남성들이 이혼을 ‘상실'의 경험으로 사고하는 반면에, 여성들은 결혼을 ‘상실’의 경험으로 이혼을 ‘자아상실’을 회복하고 새롭게 자신을 찾는 여정으로 지배적으로 묘사한다. 즉, 여성들은 결혼 자체에 대한 회의나 불평등한 젠더 관계에 대한 문제 제기 속에서 결혼 전에 가졌던 가치나, 믿음, 여성성에 대한 주요한 재해석을 동반하는 이혼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많은 여성들은 결혼 생활에 대한 분노와 후회를 단순히 개인적인 남성에 대한 분노로서 의미화하는 것이 아니라 가부장제 관계에서 침묵 당해온 여성의 목소리를 획득하는 결정적인 감정의 기제로서 표출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ifferent meanings that women and men attach to loss and change after divorce. The loss of a ‘marital relationship' is certainly a stressful life event for both divorced men and women. Yet the experience of ‘loss' is made sense of differently by men and women and linked to their gendered narratives of a ‘new self'. This article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of 17 women and 13 men. Compared to men’s narratives which did not talk about losing themselves in marriage, women’s question about the unequal basis of marriage and their anger to attribute to their loss of self through their marital experience becomes the basis to reconstruct their self, raising the question about their beliefs and knowledge which promised their happy life in marriage. To understand women's and men’s different ways of interpreting their past highlights how divorce is not the same event to women and men but it brings different subjective experiences dependent on the social context. These different subjective experiences are particularly captured through gendered narratives of a ‘new self' in relation to divergent meanings of loss and change, new relationships, and also difficulties they encounter.

      • KCI등재

        이성애 결혼/가족 규범을 해체/(재)구성하는 동성애 친밀성

        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1

        본 연구는 ‘이성애 결혼/가족’ 중심의 친밀성 논의가 비정상화하며 배제하는 ‘동성애 친밀성(same-sex intimacy)’의 의미와 실천을 한국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성애 친밀성의 실제적인 실천과 의미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새로운 관계적 질서를 형성하는 동성애자의 삶을 의미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결혼/가족 중심의 ‘정상적’ 친밀성 규범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친밀성을 민주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가능성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동성애 친밀성이 젠더, 계급, 연령, 섹슈얼리티의 차이와 교차하며 복합적으로 의미화되고 실천되는 ‘사랑하기’, ‘가족하기’, ‘공동체 실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성애자들의 경우, 친밀성을 규율하는 이성애 젠더/가족 규범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평등하고 ‘선택’하는 친밀성 실천이 가능하다. 그러나 동성애 친밀성은 이성애규범과 무관하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애 결혼/가족 규범과 지속적으로 협상, 재구성되는 과정임을 가시화하고자 한다. 또한, 동성애자들을 소수자 ‘집단’으로 동질화시킴으로써 내부적 차이를 비가시화 하는 한계에 주목하면서, 동성애 친밀성의 내부적 다양성과, 계급, 젠더, 연령과 섹슈얼리티의 상호교차성을 복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동성애 친밀성은 섹슈얼리티 자체의 문제만이 아니라 계급, 연령, 젠더적인 위계와 결합되어서 형성되어가는 삶의 지형 전체를 드러내는 영역의 문제이다. 즉, 비규범적 친밀성 실천과정을 포착하는 것은 단순히 친밀성의 변동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 차별, 불평등성을 가시화하는 과정이며, 사회적으로 비가시화된 집합적인 삶의 실험들의 잠재적 조건에 주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비규범적 동성애 친밀성이 동성애자 내부의 사회적 자원, 나이, 젠더에 따라서 다층적으로 경험됨에 주목하면서 계급, 연령, 젠더의 차이를 갖는 게이, 레즈비언 서사 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rough analyzing how same-sex intimacies are constructed within different social environments and social constraints, in comparison with compulsory heterosexual intimacy, I found that the normative version of heterosexuality regulates and excludes same-sex intimacies as abnormal practices. So, in order to offer how same-sex intimacies could create different life experiments in comparison with heteronormative versions of life journey and gender scripts, we need a detailed analysis to search for diverse life values outside institutionalized forms of love, the family. The social exclusion and being detached from institutionalized intimacy and norms of proper life are not just negative; there is also the potential to create alternative and equal relationships because there are no determined and preconceived life models which homosexuals can follow. In order to highlight the role of individual agency and collective endeavour to create non-normative meaning of same-sex intimacy, the main body of the research wa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with 18 individuals, divided between 8 gays and 11 lesbians across diverse social status and cultural and material resources.

      • KCI등재

        ‘한국인’ 정체성, 사회적 소속감

        김순남(Kim, Sunna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7 젠더와 문화 Vol.10 No.1

        본 연구는 이주여성과 자녀의 관계성이 동화적인 ‘한국인’ 되기의 압박, 자녀의 성장에 대한 사회적인 불안, 그리고 복지혜택의 수혜자로서의 낙인 등 다양한 사회적인 규범과 교차되는 맥락에 주목하였다. 이주여성들은 지역 내에서 다양한 실천들을 통해서 사회적 차별이나, 배제적인 삶의 방식에 개입하면서 생활세계를 확장하는 행위성을 발휘한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인’으로 동화되어야 하는 ‘동원’되는 삶의 객체가 아니라 삶의 감각을 가진 존재로서 이곳에 살며, 이곳에서 삶의 뿌리를 만들어간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인’이라는 의미는 동화되어야 하는 억압적인 정체성 범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권, 평등권, 인권이 더 나은 한국에서의 삶을 자녀에게 살게 하고자 하는 이주자인 어머니의 선택적인 의미와도 만난다. 무엇보다, 낯선 환경에서도 삶을 살아낸 이주여성들의 삶의 감각이 자녀들에게 다양한 삶의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 삶의 자원으로 전수되며, 삶의 유연성 에 기반을 둔 생애모델을 만들어가는 기반이 됨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migrant women construct and shap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practices that negotiate and challenge the idea of ‘Koreanness’ - the idea that produces social anxiety in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By closely analys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is article explores various ways in which migrant women exercise agency to create everyday social and relational spaces for belonging. Migrant women, through various practices, negotiate and challenge social prejudices and norms. They attempt to break the social division between ‘right’ citizens and ‘dysfunctional’ citizens so as to make a respectable and alternative life space for themselves and for their children. Migrant women as mothers are not helpless victims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Rather their vulnerable experiences of marginaliation in Korea are used as resources to form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and to shape alternative family practices. This paper argues that migrant women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ir children question and challenge the concept of a homogeneous ‘Korean’ identity, culture and nation.

      • KCI등재

        이성애 비혼여성으로 살아가기

        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1

        본 논문은 결혼중심으로 장기적인 삶을 계획하지 않는 비혼여성들을 통해 지속가능한 삶의 양식으로서의 비혼, 젠더, 친밀성 실천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삼십대 초부터 오십대 초반까지의 10명의 비혼여성들과의 질적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중심문화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결혼하지 않은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 경제적 불안정성, 비혼중심의 생애 모델의 부재를 경험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비혼생애를 계획하고 실천함을 보여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왜 꼭 결혼해야만 하는가’를 반문하면서 결혼규범을 상대화 하는 것뿐만 아니라, ‘왜 꼭 남자여야만 하는가?’라는 성찰적 질문을 통해 이성애 낭만적 각본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젠더규범을 협상, 재구성함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젠더각본과의 거리두기는 지속가능한 비혼의 삶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이성애 친밀성 각본과 다른 방식의 관계성을 욕망하거나, 규범적 관계성을 재구성하는 비정형적인 친밀성을 실천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가족규범, 젠더관계, 사랑각본과 협상, 거리두기하면서 새로운 방식의 관계성, 소속됨, 자아가치를 만들어가고 있다. Given the increasing trend of women delaying or refusing marriage in Korea, this article explores non-normative practices of intimacy and the restructuring of gender norms through which never-married women challenge heteronormative conceptualisations of a life course that considers marriage as the ideal life. In Korea, where there is a strong marriage norm and gender norm, interviewees have to face up to many difficulties, such as economic uncertainty and a lack of support in society for their life, and they suffer from sexism because they are single or unmarried. As a result of this situation, their lives are marked by uncertainty and instability. Nonetheless, even though these women lack a social network and social acceptance for their life, they embrace non-normative life journey that offers them more freedom than being dependent on men, and they question why their priorities in life should be limited solely to men and marriage. They examine new forms of practices of intimacy such as friendship, cohabitation, loving which offer to challenge unequal romantic relationships with men and family systems in marriage with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look at the intersection of never-married women and intimacy and non-normative gender norms, the main body of the research wa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with 10 never-married women aged between 33 and 53.

      • KCI등재

        이주여성들의 결혼, 이혼의 과정을 통해서 본 삶의 불확실성과 생애지도의 재구성

        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4

        본 연구는 ‘불확실한 친밀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삶의 불확실성이 가장 친밀한 공간인 가족 내부에서 일상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결혼 관계에서 친밀성의 진정성을 통해서 불확실한 친밀성이 구성되는 과정과, 친밀성의 불확실성을 완화하기 위한 이주여성들의 행위적 선택들, 그리고 이혼을 통해 재구성되는 생애지도를 가시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장기간의 ‘연애’를 통해서가 아니라 중개업자나 짧은 만남을 통해 결혼을 한, 자녀가 있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의 이혼한 이주여성들의 서사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불확실한 친밀성은 이주여성들을 정확히 외부인도 내부인도 아닌 ‘내부적 이방인’으로 타자화하면서 생성되는 관계의 불평등성이다. 본 연구는 이 개념을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을 믿을 수 없는 불확실한 주체로 규율화하는 과정에 개입하는 권력관계에 주목, 그러한 조건 속에서 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삶의 취약성과 불확실성을 드러낸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일차적으로 불평등한 삶의 조건 속에서 불확실한 친밀성을 경험하는 주체이면서도, 역설적으로 결혼관계 내부에 불확실한 친밀성을 운반하는 ‘내부적 이방인’으로 타자화되며, 도구적 결혼을 한 여성, 언제나 ‘쉽게’ 떠날 수 있는 여성으로 규율화된다. 본 연구는 국가 간의 위계, 젠더, 성애적 규범, 결혼진정성을 통해서 생성되는 불확실한 친밀성이 결혼 관계 내부에서 삶의 불확실성과 연결되는 맥락을 살피고, 가부장제 가족제도를 벗어난 이후에 이혼을 통해서 생애지도가 재구성되는 점을 강조한다. 불확실성과 거리두기, 수용하기, 불예측적인 삶의 고통에 직면하기 등을 통해서 생애지도를 만들어가는 이혼한 이주여성들의 삶에 천착하면서, ‘젠더화된 이주’, ‘젠더화된 결혼과 이혼’의 여정을 포착하였다. This paper analyses main marital issues that marriage migrant women experienced and also led to divorce. I found the term of ‘precarious intimacy’ useful in analysing various ways in which women are excluded and suffered in marriage in intimate family relationships. Precarious intimacy is constructed through national hierarchy,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prejudice to foreigner but also framed through the hierarchal intimate values that separate ‘real’ marriages from ‘conspicious’ marriages. Being constructed as distrustful people who married for economic gains and residence permits not for ‘real’ marriage, marriage migrant women are seen as outsiders within the family who bring uncertainty and insecurity into the Korean fami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women suffer from precarious marital relationships which is produced through gender hierarchy and sexuality norms, and also the social division between the real and conspicuous marriage. Through those hierarchal norms, women constantly have to prove that they came to Korea for the ‘real’ marriage. In order to look at intersection of precarious intimacy and reason for divorce, the main body of the research wa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with 7 divorced migrant women who have children and now live in Korea. Their country background is China, Vietnam and Cambodia.

      • SCOPUSKCI등재

        고출력 적외선 조사기를 위한 구동회로 설계와 검증에 대한 연구

        김재호(Jae-Ho Kim),황선남(Sunnam Hwang),김경호(Kyung-Ho Kim) 대한전기학회 2023 전기학회논문지 Vol.72 No.6

        This study is about a high-power infrared irradiator. In the case of athletes who perform intense exercise, muscle fatigue occurs due to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CK. In order to reduce such muscle fatigue, various methods for reducing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CK have been studied, and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several papers that LEDT is effective.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through LEDT, energy of 4J/m2 must be supplied in a short time. To this end, a high-power LED driving circuit was designed to supply the necessary light energy in a short time. It was confirmed that a high light output of 102 W/m2 could be obtained by applying a high current. Through this, it seems that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CK reduction can be obtained, and experiments to verify this are also planned.

      • KCI등재

        웹소설 이용만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향진(Zhen, Xiang),김선남(Sunnam Kim) 한국정치정보학회 2021 정치정보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중국 웹소설 이용자의 동기구조를 발견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웹소설 이용의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 ‘유용성’, ‘호기심충족’, ‘오락지향’, ‘자아표현’, ‘편리성’ 등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웹소설 이용동기 요인은 모두 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만족도 요인 중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가장 강력하였으며, 이어 ‘호기심 충족’, ‘자아표현’, ‘오락지향’ ‘편리성’, ‘유용성’ 등의 순이었다. 반면,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학력, 수입 등)은 웹소설 이용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웹소설 이용만족도는 연령, 학력, 수입 등과는 무관하고, 단지 어떤 동기를 보유하였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용만족도가 윕소설 이용동기에 따라서 달리 나타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al factors of web novel users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The analysis showed followings. First, Chinese web novels users’ motivational structure was made of six factors: ‘social interaction’, ‘utility’, ‘satisfaction of curiosity’, ‘entertainment orientation’, ‘self-expression’, and ‘convenience’. Second, these six factors influenced users’ satisfaction level. The ‘social interaction’ exerted the strongest influence. It was followed by ‘satisfaction of curiosity’, ‘self-expression’, ‘entertainment orientation’, ‘convenience’ and ‘utility’ in order. On the other hand, demographic factors(age, education, income, etc.) was irrelevant with the satisfaction of using web novels. In other words, users’ satisfaction was not affected by age, education, income, etc.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would be that it showed on the basis of empirical data the level of satisfaction would vary according to web novel users’ motivational factors.

      • KCI등재

        ‘사람’의 행복할 권리와 ‘좀비-동성애자’의 해피엔딩 스토리

        우주현(Woo, Juhyun),김순남(Kim, Sunnam)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오늘날 ‘사람은 누구나 행복할 권리가 있다’는 문구는 설명되기보다는 시·공간을 초월한 사회의 기본적 원칙으로 호소되는 경향이 있다. ‘차이’에 대한 사회적 차별에 반대하는 표어로 사용되며, 인권 존중의 가치와 공공선을 지향하는 사회의 보편 원리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문구의 지위를 보편적, 초월적 원칙의 위치에서 끌어내려 보고자 한다. 특히, ‘사람은 누구나’의 행복할 권리가 동성애와 관련하여 발화되는 맥락과 조건,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행복할 권리가 동성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문제에 적극 개입하며 담론적으로 생산하는 ‘사람’이라는 주체―행복할 권리와 자격 (그리고 의무와 책임을 갖는) 사람/동성애자―가 누구인지에 대하여 질문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이를 SBS <인생은 아름다워> 시청자 게시판 분석을 통해 읽어보고자 한다. 동성애에 대한 불편함이 개인적, 집단적으로 표출 되고 이에 공감하거나 반박하는 의견들이 동성애에 대한 찬성·반대의 논쟁 구도를 이루며 상호 경쟁한 SBS <인생은 아름다워> 시청자 게시판은 동성애자가 행복할 권리를 갖는 ‘사람’으로 인정·부인되는 풍경을 사례적으로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게시판 토론 분석을 통해 동성애자가 행복할 권리를 갖는 ‘사람’으로 출현하고 인정되는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1) 동성애자가 ‘사람’의 행복할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배제/삭제하여야 할 ‘동성애’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하고, (2) 이성애규범 사회가 ‘행복할 권리’를 통해 약속하는 동성애자의 ‘미래-해피엔딩’에 문제제기하고자 하며, (3) ‘행복이 이미 그리고 언제나 상실된 주체’로 규정되고 배제되는 퀴어의 관점에서 오늘날의 행복 정치학을 비판하고자 한다. What does it mean to be a homosexual who has ‘right to happiness’? Drawing upon ethnographic data collected from participants in the official ‘Life is Beautiful’ online forum, this paper questions the value of ‘happiness’ language mobilized to advance equal rights for homosexuals. Being a confident member of a society who has ‘right to happiness’ (or who deserves happiness), means being an insider of particular ‘happiness’ map-the map that crudely excludes certain way of living and being from the realm of happiness and rights. For those who mark difference in that map, the invitation to be a happy person does not, therefore, simply involve the recognition of their difference. It also, in many ways, involves the process of normalization of the difference. And the process of normalization of the difference, this paper argues, is often followed by the process of ‘re-differentiation’ in which who exists inside and who exists outside of this map is further defined in terms of their assimilability, respectability, and rightfulness. In analyzing the process by which same-sex love make its case for the recognition of rights to happiness, this paper hope to shed light on the more general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be a deserving, recognizable happy homosexual in contemporary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