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對馬,北部九州地域と高麗陶磁

        Katayama Mabi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8 石堂論叢 Vol.0 No.40

        일본 북부 구주 지역은 선사시대부터 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도자사적 관점으로 볼 때 11세기 중반부터 14세기 말까지 중세기에는 청자와 무유도기를 중심으로 활발한 교류가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북부 구주에서 출토된 고려 도자의 흐름은 4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11세기 후반으로 여일간의 정식 국교 회복과 더불어 고려 도자가 북부구주지역으로 처음으로 들어왔다. 둘째, 12세기 전반으로 양질 청자와 더불어 조질 청자의 양이 많아지면서 민간 교류가 더욱 활발해졌다. 셋째,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전반으로 일본 도시부에서 고려 청자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하카타(博多)에서 고려 도자의 출토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넷째, 14세기 후반으로 왜구나 중국 명나라의 해금정책을 배경으로 고려도자의 수입량이 늘어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북부 구주 지역 출토 고려 도자에서는 고대와 달리 확실한 미적 가치 기준과 공식적 무역 체제의 정립을 엿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일본 내륙부 지방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북부 구주는 여일교역의 흔적을 그대로 말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ern Kyushu (Japan) and Korea had been very kin from pre-history era. Goryeo pottery excavated from northern Kyushu area proved to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rad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Medieval era. This kind of Goryeo pottery will be presented in four periods. Second half of the 11th century: After official trade started between Goryeo and Japan, Goryeo pottery begin to appear archeological site in North Kyushu area. First half of the 12th century: With increasing of private trade between Goryeo and Japan, not only high quality celadons but also low quality celadons begin to increased. Second half of the 12th century to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Despite of Japanese aristocracy in Kyoto, Kamakura regarded Goryeo celadon as high-quality articles, imported Goreyo pottery passed away from northern Kyushu.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Due to Ming-period ban on private trade and invadion of Japanese pirate, imported Goreyo pottery in norhern Kyushu increased again. Imported Goryeo pottery in northern Kyushu show the standard of aesthetic values and system of official trade in medieval Japan. Such changing process can be seemed not other area in Japan only northern Kyushu.

      • KCI등재

        임진왜란 이후 일본 주문 茶碗에 대한 고찰

        片山まび(Katayama Mabi) 미술사연구회 2010 미술사연구 Vol.- No.24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timeline of Korean production of Goki Chawan (吳器茶碗) on Japanese orders in the post-Imjin War period, and to understand their significance. Goki Chawan have been thus far discussed mostl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Japanese pottery. In this paper, I examined them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oward 1610-1620, Goki Chawan were produced in kilns in Dongnae-bu (東來府) near Busan, Korea. While they followed the standards among lacquered or wooden bowls in terms of their size and shape, they emphasized features of ritual ware such as the foot, and had extra-decorative details. The foot was mostly concave, and was trimmed using a long, thin sand clay chuck. The bowls were glazed in their entirety, including the foot. In 1639, Busan Kiln was set up within the Japanese District in Dumopo (豆毛浦), and Goki Chawan were mass-produced there. Some of the tea bowls produced there were more ornate than those from preceding periods and incorporated Japanesestyle elements. Around this time, Goki Chawan were produced in many parts of Japan. White clay-decorated tea bowls, however, were unique to Busan Kiln, and closely embodied characteristics of Joseon pottery. The foot was mostly concave, and round sand clay chucks were used for those feet with a rounded bottom, with the glaze applied to the entire bowl including the foot. In 1678, the Japanese District (倭館) was moved to Choryang (草梁), and from then on, the production of Goki Chawan declined gradually. As Goki Chawan became popularized, those produced in later years, unlike tea bowls made in Busan Kiln, retained only some of their original features, such as grooves in the foot or mouth decorations. The emergence of Goki Chawan in the post-Imjin War period appears, in sum, highly significant, as it led to the standardization or codification of what the Japanese perceived as Joseon pottery.

      • 조선 시대 김해 도자기로 본 한일 관계

        가타야마마비 ( Katayama Mabi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8 한국예다학 Vol.6 No.-

        김해는 고대부터 일본과 밀접한 교류를 맺어왔던 지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하였던 고려, 조선 시대의 김해를 통한 한일 교류를 도자사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1세기 후반부터 김해는 일본으로 도자기가 건너간 경유지가 되었다. 조선 시대에 들어 1423년에는 김해도호부가 제포왜관에 배치된 그릇을 담당하였다. 김해부는 제포에 머물었던 일본인 대접용으로 다수의 그릇을 마련해야 했었다. 이 그릇들이 바로 김해 대감리 가마터에서 제작된 인화 분청사기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임진왜란과 정유왜란 당시 연행된 조선 사람 중에는 큐슈(九州) 지역의 요업 시조(開祖)가 된 사기장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사가현(佐賀縣) 우치노야마(內野山) 가마에서는 신카이(深海)라는 사기장이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이것은 김해를 잘 못 들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아울러 가고시마현(鹿兒島縣) 사쓰마(薩摩)에서도 김해라는 사기장이 기록이 남아 있다. 이와 같은 사기장들의 김해란 이름을 왜 썼는가에 대해서는 검토가 필요하겠으나 17세기에 들어 김해가 도자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으로 인식된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긴카이(金海)라 불린 다완에 대해 언급한다. 문헌에서는 1611년에 김해 장인에게 대마도 사람이 주문한 다완을 굽게 하던 기록이 나타났는데, 긴카이 다완의 굽, 형태, 장식을 살펴볼 때, 대체로 1610-162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김해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일본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며 일본인들 사이에서 김해=도자기라는 인식으로도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Gim-hae has been connected closely to Japan from ancient times. I would like to examine this thesis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pottery through Gim-hae in the period of Goryeo and Joseon. From the late 11th century, pottery was delivered to Japan via Gim-hae. During the Joseon period, Gim-hae Doho-Bu had to prepare a lot of pottery for the Japanese who were staying in Jepo. These pottery pieces, which had been made in the porcelain-kiln in Daegam-Ri, may be the Inwha-Bunchung pottery. Among the Joseon people who were taken to Japan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was the father of the pottery industry in the Kyushu region, particularly the porcelain-kiln at Saga prefecture. UchinoYama originated from Shinkai (the chief of pottery), who might mishear for Gim-hae. There is a record of the chief of pottery called Gim-hae at Kagoshima prefecture Satsuma. This needs to be examined. Why use the name Gim-hae? But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Gim-ha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ttery, which stands out in bold relief. Finally, I would like refer to the tea bowl that is called Kinkai. There is a record that a man (in Tsusima) ordered the tea-bowl burnt in 1611. Examination of the foot, form and ornamentation of the Kinkai tea-bowl,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between 1610 and 1620. As mentioned above, Gim-hae is closely connected with Japan even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e Japanese have recognized Gim-hae for its pottery.

      • 부산(釜山) 고관요(古館窯)에 대한 고찰(考察) -위치(位置), 기술(技術), 그리고 의의(意義)를 중심으로

        카타야마마비 ( Katayama Mabi ) 동양미술사학회 2015 동양미술사학 Vol.3 No.-

        흔히 왜관요(倭館窯)란,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일본 쓰시마번[對馬藩]이 경영하던 가마를 말한다. 그 당시, 쓰시마번은 왜관(倭館)에서 다기(茶器)를 만들어 권력자들에게 바쳤다. 이 글은 고관(古館)이라고도 하는 왜관에 1639년부터 1678년까지 설치된 가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관은 지금 부산 동구 수정동에 있었다고 하는데, 어디에 가마가 있었는지 오랫동안 의문 속에 있었다. 근대기의 기록 등을 살펴보면, 고관공원(古館公園) 옆자리에 있었다는 기사가 있다. 이를 근거로 한 현지답사의 결과, 가마의 위치가 지금 803번지 일대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마터는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이 가마는 고관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관 가마에서 제작된 유물도 역시 오래된 의문점의 하나이다. 대마도 킨세키죠[金石城] 유적에서는 576점의 다완편이 출토되었다. 하한연대는 성의 기능이 새로운 성에 옮기게 된 1678년경이 될 것이다. 이때, 대마도에 가마는 없고 아마도 이 파편들이 고관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에 따르면, 양산, 기장 등이 왜관요에서 일하던 사기장의 파견지 이었다. 킨세키죠에서 출토된 백자는 유태(釉胎)나 굽의 형태, 받침 등 이 양산, 기장과 상통된다. 이를 하여금, 고요에서 지방 사기장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제작 활동이 이루어진 것을 증명해준 것이다. 분청사기를 모방한 파편도 있는데, 당시 일본 다른 가마에서도 분청사기를 모방하였다. 1610년대 이후에는 고관 가마나 일본 가마나 마찬가지로 ‘원전(原典)’에 충실하려는 의도가 높았다. 그러나 쓰시마번만 말 그대로 ‘원전’, 즉 가마 자리나 사기장까지 ‘원전’을 지향하는 것이 가능하였던 셈이다. 많은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쓰시마번이 부산에서 가마를 운영하던 이유는 바로 다른 일본 藩과 달리 권력자에게 ‘원전’을 내세워 이익을 얻으려 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The Waegwan kilns were operated by Tshusima clan in 17th to 18th centuries. At that time, Tushima clan dedicated tea wares made in Waegwan kilns to persons of power. This articles discusses the kilns and wares of old Waegwan called Goguan (1639~1678). Gogwan located in Sujong-dong, Dong-gu, Busan city, there have been long questions where the kilns located. According to some modern articles on Gogwan kilns, one of them was located near Gogwan(Kokan) park at the time. After the field survey of the area, the location of kilns is regard as now 803 street. Though this kiln was completely destroyed, however, it is possible that the kiln is connected with Gogwan. The wares made in this kilns were also long questions. From Kinseki-castle site in Tushima, 576 shards of tew bowls were excavated. The latest year of these shards could be 1678, because the main function of castle moved to the new castle in same year. There were no kilns in Tushima at this time, probably most of these shards made According to historical materials, Yangsan, Gijyang area were the origin of potters worked in Gogwan. Some of shards were white porcelain, which glaze, clay, shape of bottom, and spur mark were similar with white porcelain in these area. It is fact that the techniques of Gogwan kilns based on local Korean potters. Some shards were imitated Buncheon ware, however imitated Buncheon ware made not only Gogwan but also another Japanese kilns. After 1610, imitated Buncheon ware of Gogan kilns and another Japanese kilns were closer to the ‘original’ style. However, it was only Tushima that operated ‘original’ both locations and potters. Therefore, this is the reason why Tushima operated kilns in Busan was, even though there were lot of problems was to appeal the ‘original’ to persons of power and make a clearly difference another Japanese clan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