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based available measurement classification of interferometric radar altimeter for terrain-aided navigation

        Lee, Jungshin,Bang, Hyochoong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2018 IET radar, sonar & navigation Vol.12 No.9

        <P>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asurement classification method necessary to implement precision terrain-aided navigation (TAN) by using an interferometric radar altimeter (IRA) as a technology that can replace global positioning system/inertial navigation system integrated navigation. IRA is a sensor that extracts the angl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flight, the look angle, and the slant range from the aircraft to the nearest terrain point. Unlike the radio altimeter which only measures the direct downward distance, IRA can be converted into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in the navigation system. However, the IRA output has a disadvantage that it has uncertainty that cannot be predicted due to the signal process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a useful navigation technique for classifying sensor outputs is needed to implement precision TAN. This study introduces the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and extreme learning machine methods to classify available IRA measurements and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classification method by applying it to the bank of Kalman filter) and particle filter-based TAN.</P>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Koreans` Perception of the Liaodong Region During the Chosŏn Dynasty

        Lee Jungshin(이정신)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1 No.1

        요동은 지금의 遼寧省 동남부 일대를 말한다. 이 곳은 삼국시대 고구려 영역이었고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에는 발해의 영역이었다. 그러나 발해가 거란에 의해 멸망되면서, 요동은 중국에 넘어가게 되었다. 이후 원나라가 들어서고 충선왕이 심왕으로 임명되면서 요동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고려왕조를 이어 들어선 조선의 태조 역시 요동확보 의지를 드러내었다. 조선은 여진을 제압하다면 명의 다음 단계는 바로 국경선을 접하게 될 조선임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진을 조선편으로 끌어들이고 선제공격하여 요동지역을 조선이 차지하는 것이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서북쪽에는 몽골이 있고 그 아래 남쪽에는 명이, 그리고 조선이라는 삼각구도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같은 생각에서 정도전은 태조 이성계와 손을 잡고 요동정벌을 계획하였으나 이방원의 쿠데타로 실패하였다. 태종대에 이르러서 명은 여진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건주위를 설치했다. 이에 세종은 여진족의 분란을 틈타 6진과 4군을 설치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의 영역은 조선의 것으로 고착화 시켰다. 또한 이전 시대의 역사지리 기록을 모두 압록강 이남에 존재했던 것으로 기재하여 압록강 이남만은 명의 침략으로부터 지키고자 했다. 이같은 사실이 기록된 것이『세종실록지리지』와『동국여지승람』그리고『고려사』이다. 史書에서 우리 역사를 압록강 이내로 고착화시킴으로서 요동에 대한 조선인의 생각이나 정벌의지는 점점 약화될 수 밖에 없었다. Liaodong refers to the southeastern part of Liaoning Province today.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this area was part of Koguryŏ territory, and after the collapse of Koguryŏ, it belonged to Parhae. However, when Parhae fell at the hands of the Jurchens, the Koryŏ dynasty was unable to secure Liaodong. Afterwards, with the rise of the Chinese Yuan dynasty, King Ch’ungsŏn of Koryŏ was appointed by the Yuan emperor as the King of Shenyang, and the movement to reclaim Liaodong began to gain momentum in Korea. Succeeding Koryŏ, the Chosŏn dynasty claimed to support Ming China under the principle of sadae, but this did not mean that relations between Chosŏn and Ming were stabilized. As a result, Chosŏn could not but worry about the fact that if the Ming were to suppress the Jurchens, Chosŏn would be Ming’s next target. To prevent a Ming invasion of Korea, Chosŏn had to make an ally of the Jurchens and launch a preemptive attack to annex Liaodong. With this in mind, Chŏng Tojŏn joined hands with T’aejo Yi Sŏnggye and planned to conquer Liaodong but failed due to Yi Pangwŏn’s coup. During the reign of T’aejong, Ming established Jianzhou Guard in Liaodong to control the Jurchens. While the Jurchens were embroiled in a dispute, King Sejong also established four districts and six garrisons and, he changed the geographical records from the previous dynasties and kingdoms to appear as if they had existed in the land south of the Amnok River in an attempt to protect the regions south of Amnok from the Ming invasion. This was recorded in Sejong sillok chiriji, Tongguk yŏji sŭngnam, and Koryŏsa.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금속수공업과 匠人

        이정신(Lee Jungshin)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고려시대 수공업은 관영·민영, 그리고 소수공업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금·은·동 등을 채굴제련하는 소 수공업은 원료를 주로 조달하므로, 제품 생산은 관영과 민영, 그리고 사원의 공장이 담당했다. 금·은·동 등의 금속자재는 대다수가 소민들의 공납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국가가 수취하여 주로 관영 공장으로 하여금 만들게 했다. 정부는 필요에 따라 각 관청에 물품제조에 필요한 공장을 전속시켰는데 그 중 금속 수공업은 장야서에 주로 전속되어 있었다. 관속공장은 공역을 부담하는 대가로 국가로부터 녹봉이나 토지를 받았으며 1년 중 300일 이상 근무하였다. 이들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우수한 고려시대 금속제품 생산의 주역이었다. 그러나 녹봉이나 토지를 받는 계층은 최고 기술자에 한하고 나머지 상당수의 공장들은 국가가 필요할 때 차출하여 부역의 형태로 근무하게 했다. 고려시대는 관영수공업의 운영과 우수한 기술자를 확보하기 위해 공장안(工匠案)을 작성하고 공장역을 세습하게 하였다. 국가는 공장(工匠)에게 입사할 수 없다고 명시하였으나 고려 전기에 공장 출신으로 입사한 사례는 많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입장은 공장 자녀 중 1명은 반드시 아버지 직업을 이어받도록 하여 수공업 기술의 연속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민영 수공업자는 유동장(鍮銅匠), 야장(冶匠), 옹장(甕匠), 와장(瓦匠), 목장(木匠) 등이 있었는데 이들은 혼자서가 아니라 몇 사람이 협업하여 분업을 통해 만들었을 것이다. 충렬왕대에는 지방에서도 공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하게 되어 중앙에 있던 상당수의 유동장이 지방으로 옮겨갈 정도였다. 고려 말에 가서는 금·은·유기그릇 사용을 금지하는 기록이 많이 보인다. 이는 소의 해체로 인해 금속재료의 공급량이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요인이며, 이 이외에 민가에서 금속제품에 대한 수요량이 늘어난 것도 또 하나의 요인이었다. 안양사명 반자(1252)에는 ‘경사공인지가(京師工人之家)’ 기록이 보인다. ‘경사공인지가’는 서울의 수공업 공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미 고려시대에 다량의 물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면서 한편으로는 주문생산도 가능한 공장이 있었음을 추정하게 한다. 사찰에서는 사원 수공업자와 더불어 필요에 따라 관속공장을 차출하거나 민간 수공업자들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만들게 했다. 금속제품의 생산은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분업해서 생산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관공장이나 사공장 모두 조직적인 생산자 집단에서 생산했다. 조선전기 기록이기는 하지만 노야장의 경우 물자를 만드는 인원은 10명-30명으로 구성되어 있어 금속종장은 최소한 10명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 관청이나 민간 수공업자들은 그만한 인력을 확보할 여력이 없어, 심지어는 1명이 감당하기도 했다. 고려후기의 민영과 지방관청 수공업의 부진은 조선시대에 가서도 그대로 이어져, 조선초기 역시 관영 수공업 위주로 운영될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of gold, silver, and copper, the handicraft metalwork and the craftsmen in Goryeo dynasty. In Goryeo, the handicraft metalwork were manufactured in the state-owned, private, and Buddhist temple handicraft factories. The Somin[the people of So caste] produced gold, silver, and copper and paid tribute to the state. These metals were used mainly in the state-owned factories which were directed by Jangyaseo Administration. The craftsmen worked more than 300 days in a year. The highest level craftsmen received the official stipend or lands for their works while other craftsmen were drafted as compulsory service when necessary. The artist craftsmen created the excellent metalwork of Goryeo which can be seen and admired today. The state of Goryeo made the list of the craftsmen and made them to succeed the work by heredity to secure good craftsmen. The state banned the craftsmen enter the officialdom but some craftsmen became officials in the early Goryeo.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handicraft skills, the state maintained that at least one child of the craftsmen should succeed the parent’s occupation. The private craftsmen comprised brassware, smelt, pottery, roof-tiles, and carpenter craftsmen. They seemed to produce goods by cooperation and division of labor. In the period of King Chungyol, the demand for brassware surpassed the supply in the provinces and the brassware craftsmen moved to the provinces.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 state records show the ban of using gold-ware, silver-ware, and brassware due to the lack of the metal resources. The disintegration of So as well as the increasing demand of private sector caused the lack of the metals. There is a record about “Houses of Capitol Craftsmen”(京師工人之家) in Anyansamyeong Banja(1252). It implies that they produced in a mass scale and engaged in customized production. The Buddhist temples produced also metallic goods in addition to common consumer goods such as paper, tiles, inks, and teas. The temples produced metallic crafts goods when necessary. Both in the state-owned factories and private factories, the metallic crafts seemed to be produced by organized craftsmen groups. A state-owned factory seemed to have at least then craftsmen considering there were 10 to 30 craftsmen in the brassware factory in the records of the early Joseon. But, in the early Joseon, the private factories or the factories under local administration could not afford such human resources as in the state-owned factories, In these sector, even one person seemed to manage the factory. The situation in Goryeo should not be much different.

      • KCI등재

        고려시대 제철수공업의 운영형태와 철소

        이정신(Lee Jungshin) 한국중세고고학회 2021 한국중세고고학 Vol.- No.9

        철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철을 생산함으로서 농기구와 철제무기를 만들어 농업 생산량이 급격히 발전하고 외국이나 국내에서의 전쟁이나 정변에도 우세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철 산업 운영은 고구려 보장왕 때에 서울에 쇳가루가 비처럼 떨어졌다고 하여 수도 주변에 많은 제철공장을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충북 진천군 석장리에서는 상자모양이나 원통형의 대형 제철로가 있는 4세기 백제의 제철유적이 발견되었으며, 신라는 鐵鍮典을 운영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또한 신라는 경주 황성동에서 발굴된 제철유적을 통해 점차 제철수공업의 모습이 밝혀지고 있다. 발해의 경우, 지부 아래 융부가 있어 병기를 담당하였다고 한다. 이로서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철 산업을 국가관리 대상으로 삼아 운영했음을 보여주는데 고려 또한 마찬가지였다. 고려왕조는 중앙에 군기감을 두어 전국적으로 공납해온 철을 가지고 무기를 생산하는, 국가차원의 제철산업공장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지방 또한 주로 소에서 수취한 철로 무기를 생산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므로 철소는 고려사회에서 특산물을 생산하는 소 중 가장 중요한 곳이었다. 철소는 철을 채광할 뿐 아니라 제련하여 정철을 만들어 군기감 등 중앙관청과 지방관청에 공납하는 일 뿐 아니라 국가의 요구에 따라 무기도 제작했기 때문이었다. 이 중 고려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철 생산지는 충주 다인철소였다. 이곳은 철 채굴 뿐 아니라 제련, 그리고 무기를 만드는 일까지 행해졌음을 보여주는데 정부는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관원을 파견하여 철과 무기생산 등을 관리하였다. 이같은 상황은 몽골과의 전쟁이후 소 제도가 무너지면서 철소도 함께 무너졌다. 그 구체적인 예가 몽골군을 방어하는데 공이 컸다는 이유로 다인철소를 익안현으로 승격시킨 점이다. 그러나 현으로 승격시켰음에도 감무나 현령을 파견하지 않고 계속 충주속현으로 둔 것은 충주목사의 관리 하에 철을 계속 생산하게 하려는 정부의 정책으로 보인다. 철소의 해체는 국가의 주요 기간산업이 무너짐을 의미하지만 한편으로는 소의 장인들이 각지로 흩어져 수공업에 종사하게 됨으로서 민영수공업의 수준을 한단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철소가 무너짐에 따라 조선시대에 들어가서는 농민에게 공철을 부과하는 염철법과 각 읍에 철장관을 파견하여 광산을 경영하는 철장제를 실시하였다. 고려는 중앙은 군기감, 지방은 양계 주요지역과 양광도의 남경과 광주목, 충주, 청주, 경상도의 경주, 진주, 상주, 전라도는 전주, 나주, 서해도는 해주와 황주목 등이 주로 지역의 철공과 무기생산에 책임을 지고 관리했으리라 추정된다. 이같이 고려시대는 군기시를 중심으로 필요한 무기를 생산하기는 했으나 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데에 비해 조선왕조는 철산업의 운영이 중앙의 군기시에 주력하고 지방은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함으로서 지방의 철 산업은 민간인 비율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었다. Iron was the most important mineral resources in human history. Iron increased agricultural production with farming tools and allowed rulers superior positions in wars or political conflicts. The iron-making has been a state business since the Era of Three Kingdoms. The iron-making existed as early as the King Bojangwang of Goguryo Kingdom as the history syas that the rain of iron powder poured over the capitol city. Iron-making in Baekje was proved by the large cylindrical or box-shape iron-making furnaces in Seokjangri in 4th century. Silla also operated Cheolyujeon and showed the early iron-making manufacture in the excavated site at Hwangseongdong, Gyeonju. Balhae had the Office of Yungbu under the Ministry of Jibu which produced iron weapons. Goryo managed its iron-industry as a state business. Goryo established the Gungigam and it operated iron-making factories to make iron weapons throughout the country using collected raw irons. At local level, many Cheolsos also collected raw iron and supplied them to the Gungigam, and more importantly they produced iron weapons by themselves. Recognizing their importance,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supervise the Cheolsos. The most important Cheolso was Dainchelso in Chungju. The centralized system collapsed as the Cheolso system collapsed after the Mongol invasion. One of the examples is that the government promoted the status of the Daincheolso to a higher level district office, Ikanhyeon, as the Daincheo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fense against the Mongols,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dispatch a magistrate to the District Office of Ikanhyeon as it wanted to control the district continuously directly through Chungju Governor. The disintegration of Cheolsos means the collapse of a main state industry and scattering of the skilled workers to various fields of manufacturing throughout the country. But it contributed to improve the non-official iron manufactures. As the Cheolso system collapsed, Joseon dynasty introduced the Yeomcheolbup systems which gave burden of production of iron on peasants. It also established the Cheoljangje systems dispatching iron officials to each counties to operate the iron mines. In Goryo, Gungigam took charge of central operation of iron manufacture and the government depended heavily on many local Cheolsos which produced irons and iron weapons. On the other hand,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entral office, the Gungisi, to operate the iron manufacture at a national level, and let the local non-official manufacturers operate their own iron manufactures.

      • 크레머-레어 바운드를 이용한 베이지안 필터 기반 지형대조항법 성능 검증

        이정신(Jungshin Lee),성창기(Changki Sung),남성호(Seongho Nam),한경준(Kyungjun Han),오주현(Juhyun Oh),김천중(Cheonjoong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6

        By using Cramér-Rao Bound(CRB), Bayesian nonlinear filter based Terrain Referenced Navigation (TRN) algorithms can be evaluated. First, general CRB is derived from Fisher Information Matrix(FIM). In this study, the recursive posterior CRB is deriv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RN algorithms. Next, Point-Mass filter and various Particle filters are designed and evaluated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Performance evaluation is inferred from the proximity to CR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