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수 함양시설 또는 LID시설에서의 질산성질소 오염방지를 위한 농업부산물의 탈질효율 실험연구

        이진원,이병선,김강주,이규상,Lee, Jinwon,Phung, Thanh Huy,Lee, Byungsun,Kim, Kangjoo,Lee, Gyusan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6

        Facilitie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or groundwater recharge have the high potential spreading groundwater nitrate contamination because of the rapid infiltra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remove nitrate from the waters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s organic sources for denitrification during infiltration. As the first step of this purpose, we experimentally tested the denitrifying efficiency of 4 organic materials (pine tree woodchips, cherry leaves, rice straws, and rice hulls) and tri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controlling the efficiency. For this study, we precisely investigated the change of chemical reactions during the experiment by analyzing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is not simply linked to the availability of the easily decomposable contents in the organic matter. It is found that avoiding the severe pH decrease due to the CO<sub>2</sub> generation is the essence to derive the efficient denitrifying conditions when organic matters were used.

      • KCI등재

        석탄재의 콘크리트 활용에 따른 중금속 함량변화 연구

        이진원,최승현,김강주,김석휘,문보경,Lee, Jinwon,Choi, Seung-Hyun,Kim, Kangjoo,Kim, Seok-Hwi,Moon, Bo-Ky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4

        In many countries, recycling coal ashes as backfill materials for subsided lands, abandoned mine tunnels, and road pipeline constructions by making low-strength concretes with minimal amounts of cement is frequently considered for massive treatment of coal ash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riation of heavy metals in the concrete test pieces prepared for the cases of using only Portland cement as binding material, fly ash as a replacement of the cement, sand as aggregates, and disposed ashes in the ash ponds as a replacement of aggregates. Heavy metal contents were measured based on the aqua regia extraction technique following the Korean Standard for Fair Testing of Soil Contamination and the influences of each materials on the total heavy metal contents were also assessed. Results show that the cement has the highest Cu, Pb, and Zn concentrations than any other materials. Therefore, the test pieces show significant concentration decreases for those metals when the cement was replaced by fly ash. Ponded ash shows low concentrations relative to fly ash in most of the parameters but shows higher Cu and Ni, and lower Pb levels than the sand aggregate. In overall, heavy metal levels of the test pieces are regulated by mixing among the used materials. Test pieces prepared during this study always show concentrations much lower than the Worrisom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Area 1), which was designated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많은 나라에서는 화력발전소 석탄연소 잔재물로 생산되는 석탄재를 소량의 시멘트와 혼합, 저강도 콘크리트를 만들어 지반함몰지, 폐갱도, 도로관거 뒷채움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석탄재의 대규모 처리방안으로 자주 검토된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재로 저강도콘크리트를 만들어 콘크리트 내 중금속함량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멘트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시멘트의 반을 비산재로 대체하는 경우, 모래를 골재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회처리장의 매립재로 모래골재를 대체하는 경우에 대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중금속농도 변화를 고찰하였다. 중금속 함량은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중금속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재료들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시멘트는 다른 어떤 재료들 보다 Cu, Pb, Zn에서 현격히 높은 중금속농도를 보였다. 이로 인하여 시멘트를 비산재로 대체할 경우 중금속 농도는 뚜렷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매립재는 전체적으로 비산재에 비하여 낮은 중금속농도를 보였지만, 모래보다는 높은 Cu 및 Ni농도와 낮은 Pb농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내 중금속농도는 각 재료의 혼합에 의하여 결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공시체는 모든 조사된 항목에 있어 토양환경보전법이 정한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보다 현격히 낮은 농도를 보였다.

      • KCI등재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정부의 지방외교 현황 - 후쿠시마(福島)현, 야마가타(山形)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진원 ( Lee Jinwo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翰林日本學 Vol.- No.38

        지방정부의 지방외교는 주 목적이 주민의 정신적 물질적 발전을 위한 것으로, 국가의 외교가 대부분 해외에서 진행되는 것에 비해 지방정부의 외교는 지역주민의 국제적 이해 등을 향상 시키고 지역의 발전 등을 위해 해외뿐만 아니라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지방외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고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지방외교를 ‘지방외교를 전개하는 지역’에 따라 내향형과 외향형으로 구분하고 동시에 ‘지방외교 정책의 대상’에 따라 내부지향과 외부지향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에 따라 도호쿠지역의 후쿠시마현과 야마가타현의 지방외교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후쿠시마현의 경우에는 동일본 대지진의 풍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방외교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현의 경우 내향형 지방외교 중에 주로 외부지향적 외교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현은 외향형 지방외교에는 내부지향 외부지향을 불문하고 많은 힘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현의 경우에는 동일본대지진의 피해현으로써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주로 외국인과 외국에 대해 지방외교 정책을 추진한 것으로 보인다. 야마가타현의 경우에는 국제전략의 기본적인 방향을 현내의 국제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처럼 주로 내향형 외향형을 불문하고 내부지향적인 지방외교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국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강화하는 사업이 지방외교의 주요 내용이다. 또한 외향형 내부지향 지방외교로 분류할 수 있는 사업으로 자매 우호 지역을 활용하여 현민이 해외에서 국제적 지식 습득하게 하기 위해 교육하는 사업을 전개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후쿠시마현과 야마가타현은 같은 도호쿠지역에 위치해 있지만 처해있는 사정이 다른 만큼, 가장 필요하고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지방외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local diplomacy of local governments is to foster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f residents and to develop them economically. Local government diplomacy also includes policies that take place within the region, compared to the fact that most national diplomacy develops overseas. In this paper, the diplomacy of local governments is classified with reference to existing studies. It was divided into introverted type(内向型) and extroverted type(外向型) according to "regions where local diplomacy is developed", and classified into internally oriented(内部指向) and externally oriented(外部指向) according to "target of local foreign policy".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of local diplomacy in Fukushima and Yamagata prefectures in the Tohoku region by the above classification. Fukushima Prefecture has focused on local diplomacy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rumors of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東日本大震災). Fukushima Prefecture focused mainly on externally oriented(外部指向) diplomacy in introverted type(内向型) local diplomacy. In addition, Fukushima Prefecture is focusing on extroverted type(外向型) local diplomac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internally oriented(内部指向) or externally oriented(外部指向). Local diplomacy is being conducted with foreigners and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image of the prefecture affected by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東日本大震災). In the case of Yamagata Prefecture, the basic direction of international strategy is focused on internationalization within the prefecture. Yamagata Prefecture focused on internally oriented(内部指向) local diplomacy regardless of introverted type(内向型) or extroverted type(外向型). A project to strengthen glob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 to rais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s an important policy of local diplomacy. In addition, Yamagata Prefecture’s policy is to utilize the areas of sister-friendly relationships that are classified as extroverted type(外向型) and internally oriented(内部指向), and there is much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knowledge development of the citizens of the prefecture. Fukushima and Yamagata prefectures are also located in the Tohoku region, but promoted local diplomacy to overcome the problems that are necessary and need to be solved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 KCI등재

        Heterogeneous Logit Model 을 이용한 광역수도권의 주택유형 및 교통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이진원(JinWon Lee),김원수(WonSoo Kim),주현태(HyunTai Choo) 한국지역개발학회 200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tatistical precision of aggregate probabilistic choice model. Models are applied in the choice of housing and transportation mode affected by the rapid change of the structure in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The data are 3,176 effective ones sampled from population of the capital a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hoice of housing and transportation mode is discussed employing Multinominal Logit Model as a basic model. The results of estimation are quite well in accordance with those of existing studies. Second, Nested Logit Model encompassing Multinominal Logit Model is analyzed to test the validity of Multinominal Logit Model. Nested Logit Model is an appropriate model since an Inclusive Valu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1. The signs of most variables are desirable and the coefficien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pplying Nested Logit Model, Limited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method (LIML) has usually been used. LIML is, however, less efficient than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method (FIML). This study obtains better efficiency by using FIML. Third, as the highlight of this study, two strong assumptions of Nested Logit Model are relaxed; the constant similarity and homoskedastic error terms. The validity of Heterogeneous Logit Model with the flexible similarity and heteroskedastic error terms is confirmed. This study shows that Heterogeneous Logit Model could enhance the statistical precision of probabilistic choice model.

      •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 사례 비교분석 연구

        이진원(Lee, Jinwon),여화선(Yeo, Hwasun),서주환(Seo, Juhw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7 No.-

        본 연구는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사례 비교분석 연구로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사업으로 진행되는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및 활용 방안연구’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낙후되어있는 농촌의 환경 및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해외에서 만들어지고 사용하는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해외사례의 항목 비교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소의 특징을 조사하고 파악하고자 함이다. 국외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 중 영국과 아일랜드의 농촌 주거환경디자인 중심 가이드라인 사례 6개를 선정하였고, 각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개발계획 및 정책, 제정법, 대지선정 및 계획, 농촌건물디자인, 조경 영역으로 분류하고 세분화하였다. 각 가이드라인별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요소와 항목을 정리하여 6개 가이드라인의 내용 유무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농촌토털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시 기준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농촌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활용도를 높여 농촌의 환경 및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he comparison analysis study of the regional design guideline which is the fundamental study of the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r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of overseas countries" regional design guidelin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components. The 6 examples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UK and Ireland which is design centric are selected and each contents are categorized and departmentalized in 6 areas, development plan, legislation and policies, siting, rural building design, landscaping. The components and item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of each 6 guidelin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the Total Design Guidelin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ral and will help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rural areas and rural living environment by raising the utilization of regional design guide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