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적 시각에 기초한 인격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희정(Noh, Hui-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본 글은 락우드가 현대인격교육론에 대한 비판을 기초로 하여 정립한 발달적 인격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우리 도덕교육의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락우드가 보기에 현대인격교육은 학생들의 비행 예방에 도움이 되는 절대적 가치를 직접적으로 가르치고자 하며 특정 가치와 행동의 직접적 관련성을 역설하지만 행동주의 학습심리학의 관점에 따라 발달적 시각을 경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실천적 정합성을 상실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인간과 사회의 상호성, 가치와 행동 간의 느슨한 연결, 발달적 시각의 수용, 그리고 도덕원리에 기초한 가치토론의 활성화를 이론적 기반으로 하는 발달적 인격교육을 제안한다. 하지만 그가 인간본성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고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상의 차이에 따른 발달적 인격교육 프로그램 역시 구체적인 대안 없이 일반적 수준에서 논의한 것은 발달적 인격교육 이론과 실제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ion of our moral education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developmental character education that Alan A. Lockwood established based on the criticisms of Contemporary Character Education theory. In Lockwood’s view, Contemporary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s the direct relations of specific values and behaviors, while directly teaching absolute values that help students prevent delinquency, but the character education lack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herences in that it depreciates developmental perspectives in terms of behavioral learning psychology. Alan A. Lockwood suggests Developmental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view of optimistic human nature, the loose connection between values and actions, the acceptance of developmental perspectives, and the activation of value debate based on moral principles. Howev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out a careful discuss of human nature is also a limitation of the theory and practice in Developmental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트리즈 원리를 활용한 도덕적 창의성 신장 교육

        노희정 ( Noh Hui-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47

        본 글은 트리즈 이론을 활용하여 도덕적 창의성을 신장할 수 있는 도덕교과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트리즈(TRIZ)는 대립적 문제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발명의 원리, 분리의 원리, 그리고 문제해결의 프로세스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창의적 문제해결과 도덕적 창의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트리즈 원리에 기초한 도덕수업은 크게 문제 상황의 분석 및 정의, 자원 분석, 이상적 목표점 찾기, 해결책결정, 해결책 적용 및 평가, 전체 과정의 성찰 등 6단계에 따라 운영될 수 있다. 이러한 6단계 절차에 따른 트리즈 활용 도덕수업은 학생들이 트리즈의 다양한 원리와 기법을 활용하여 도덕적 문제 상황을 분석한 다음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도출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문제해결로서의 도덕적 창의성’ 신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plor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cultivate moral creativity by using TRIZ theory in moral subject. TRIZ proposes the principles of invention, the principle of separation and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at can reasonably solve the contradictory problem situation. It can contribute to problem solving and moral creativity. Moral instruction based on TRIZ principle can be operated in six stages including analysis and definition of conflict situation, analysis of resources, finding ideal final result, determination of solutions,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solutions, and reflection of whole process. The moral instruction on TRIZ contributes to cultivate ‘moral creativity as Problem-solving ability’, in that the education based on the six-step procedure leads students to come up with solutions creatively.

      • KCI등재

        도덕적 미와 초등 도덕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본 글은 도덕적 미의 체험을 통한 도덕성의 함양 방향에 대해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미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미와 도덕 간의 조화와 통합을 인정하는 쉴러의 입장은 자율적인 통합적 도덕성 함양을 목표로 하는 초등 도덕교육에 큰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리는 도덕성의 미적 측면을 추가하여 초등학교 도덕교육의 목표를 인지적, 정의적, 미적, 행동적 요소가 조화롭게 발달된 자율적이고 통합적인 도덕성의 함양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초등학교 도덕교육은 미적 체험을 통한 감각과 이성의 조화, 자기 이해와 자아 정체성의 확립, 그리고 도덕적, 미적 감수성의 신장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for building morality through experiences of moral beauty. To achieve this purpose, at first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morality. The position, which F. Schiller recognized harmony and integration between beauty and morality, gives great suggestions 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which aims to foster the autonomous integrated morality.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the extension of goal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which aims to foster the cognitive, emotional, aesthetical, and active parts of morality so that cultivates an autonomous and harmoniously integrated morality, in addition to the aesthetic aspects. An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elementary moral education strives for the harmony of sense and reas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the establishment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identity, and the cultivation of moral, aesthetical sensibi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관계적 윤리와 배려의 도덕교육

        노희정(Noh, Hui-Jeong),홍기대(Hong, Ki-D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3

        본 글은 관계적 윤리와 배려의 도덕교육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관계적 윤리의 본질과 관계적 윤리와 윤리적 행동의 관련성 문제에 대해서 고찰한다. 그동안 우리 도덕교육계는 콜버그의 정의 윤리와 대척점에 서있는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 윤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다. 본 글은 윤리학적 관점과 더불어 존재론적, 정치학적 관점에서 배려 윤리를 검토한다. 배려 윤리의 가장 큰 특징인 관계적 윤리에 대해 살펴본 다음에 페미니스트들의 배려 윤리에 대해 간략히 검토한다. 특히 트론토의 배려윤리의 단계 및 각 단계에 상응하는 윤리적 요소에 대해 검토한다. 트론토는 배려가 관심 기울이기, 책임감 가지기, 배려 실행하기, 배려 수용하기, 그리고 연대하기라는 5가지 단계로 진행되고 각 단계에 상응하는 윤리적 요소로 관심, 책임, 역량, 반응, 그리고 연대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검토와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교육에서 관계적 윤리와 배려윤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탐색한다. This article explores relational ethics and moral education of consideration. To this end, the essence of relational ethics and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ethics and ethical behavior will be considered first. And after examining Gilligan"s and Noddings"s ethics of consideration, which have been discussed a lot in our moral education world, the stages of Tronto"s ethics of consideration and eth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stage are discussed. Tronto proceeds in five stages: paying attention to caring, taking responsibility for caring, practicing caring, accepting caring, and caring in solidarity. And claim that there is solidarity. Finally, based on these reviews and discussions, we explore the meaning of relational ethics and caring ethics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전체론적 환경윤리와 도덕교육

        노희정(Noh Hui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인간은 공동체 속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이다. 다시 말하면, 공동의 도덕적 가치와 규범을 토대로 하는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상인만이 아니라 어린이, 미친 사람, 혼수상태에 빠진 사람, 심지어 죽은 사람들까지도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 시대에 모든 인간이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아니다. 그 당시는 자유시민만이 도덕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인정되었다. 노예와 여성은 도덕적인 고려를 받지 못했다.

      • KCI등재

        창의적 사고기술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글은 초등학교 도덕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술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도덕적 창의성 함양을 위한 도덕 수업의 방향을 모색한다. 먼저 초등 도덕교과가 인성 교육뿐만 아니라 창의성 교육의 중핵 교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논의한 다음, 창의성 일반에 대한 논의를 도덕의 영역으로 확장시켜 도덕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기술의 함양 방법에 대해 탐색한다. 브레인스토밍, 브레인라이팅, 세네틱스, 문제 중심의 학습법 등은 확산적 사고기술과 문제 해결 기술을 함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논리적 사고,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수업 기법과 수업모형은 수렴적 사고기술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도덕 이야기 수업모형을 활용한 도덕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실제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함으로써 저자의식과 책임의식의 함양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기술을 함양하는 데 적합하다. 도덕교육은 도덕적 인지, 도덕적 정의, 도덕적 행동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덕 이야기 수업모형에 기초한 창의적 사고기술의 신장 교육은 도덕과 관련된 전문지식, 창의적 사고기술, 도덕적 동기화를 적극 고려하여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초등 도덕교과의 교육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This paper explores creative thinking skil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lementary moral subject to seek the direction of the moral lessons for cultivating moral creativity. Extends into the realm of moral discussion about creativity in general, the elementary moral subject, as well as personality education has become the core curriculum to creativity in education discussed how to cultivate creative thinking skills that can be utilized in a moral subject. Such as brainstorming, brainwriting, synetics, problem based learning help greatly to divergent think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that foster. And thinking techniques and methods based on logical,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al model can contribute to develop convergent thinking skills. In particular moral narrative teaching method utilizing moral stories, moral education to the students talk about their real-world experience is suitable for cultivating authorship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to develop creative thinking skills. Integrated moral education aims teaching of moral cognitive, moral feeling, and moral behavior. Creative thinking skills teaching model based on the moral narratives of real life teaches students actively considering the expertise,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moral motivation that seems to contribute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elementary moral subject.

      • KCI등재

        콜버그의 정의공동체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희정(Noh Hui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본 글은 콜버그 정의공동체적 접근에서 강조되고 있는 도덕적 분위기에 대해 분석함으로 써 정의공동체적 접근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콜버그는 가설적 딜레마에 기초 해 정의추론 능력을 신장하는 도덕교육 이론이 비판을 받게 되자 옳음의 철학을 좋음의 철 학과 통합하고자 한다. 이러한 통합의 산물이 바로 정의공동체적 접근이다. 콜버그의 정의공 동체적 접근은 정의추론의 단계 상승이 목적인 도덕딜레마 토론을 단순히 확대한 것이 아니 라 그 기본적 입장을 수정한 것이다. 콜버그는 도덕적 분위기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형식과 내용, 판단과 행동, 인지와 정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통합을 시도한다. 하지만 그의 정의공동 체 프로그램은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한층 풍부한 교육적 요소를 담고 있지만 자신의 인지 적 도덕성 발달이론이나 가설적 딜레마 토론 교육과의 이론적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가 정의공동체적 접근에서 4단계를 교육목표로 설정한 것은 4단계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은 것이 아니라 중등교육에서 이를 일차적으로 달성하고자 한 것이었다. 하지만 정의공동체적 접근은 결과적으로 제4단계의 덕목(내용)을 전수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그 프로그램의 정당성을 명확히 하는 데도 한계를 보였다. 콜버그 정의공동체적 접근, 특히 정의공동체 프로그램이 안고 있는 이론적․실천적 난제들은 우리가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critically just community approach by analysing the moral atmosphere in just community approach. L. Kohlberg attempts to integrate the philosophy of justice and the philosophy of good with reference to criticism that moral education theory promotes only the moral reasoning on the basis of the hypothetic dilemma. The product of this integration is just community approach. L. Kohlberg’s just community approach does not simply enlarge the moral dilemmas discussion intended to one step increasing of justice reasoning but modifies the basic position. L. Kohlberg's concept of moral atmosphere means the integration of moral form and content, moral decision and action, moral cognition and emotion, and mo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ut his just community approach as hidden curriculum comprises a rich educational element, it has a weakness that is not to ensure the theoretical consistency with his own co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and debate education based on hypothetic dilemma. The goal of moral education to pursue in his just community approach is not the ultimate growth into fourth stage but the primary growth into fourth stage through secondary education. But just community approach eventually contributed to teach virtues of fourth stage, didn’t clear the legitimacy of its program. It is our task to solv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in L. Kohlberg’s just community approach, particularly its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잉카의 신화에 나타난 생태적 세계관과 그 계승

        노희정(Noh, Hui-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본 글은 잉카의 신화에 나타난 생태적 세계관에 대해 탐색한 다음에 그 생태적 세계관이 라틴아메리카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윤리교육적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흔히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열대우림 아마존, 환경과 개발에 관한 27개의 원칙을 천명한 브리질의 리우,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연의 생존권을 인정한 신헌법을 제정한 에콰도르와 세계 최초로‘어머니 지구 법’을 제정하여 자연의 권리를 명문화한 볼리비아 등은 잉카의 신화 및 생태친화적 공동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다. 그리고 본 글에서는 먼저 잉카의 신화에 조화와 협력, 순환론적 세계관, 자연존중, 인간과 동물의 공생이라는 생태적 사고의 원형이 드러나 있음을 밝힌 다음에 에콰도르와 볼리비아의 헌법과 법률 속에 구현된 Sumak Kawsay (좋은 삶)의 생태철학적 의미, 그리고 잉카 신화의 윤리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cological worldview in Inca"s myth and then examines how the worldview is being implemented in Latin America and what its ethic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Rainforest Amazon commonly referred to as the lungs of the Earth, Rio de Janeiro of Brazil which declared 27principles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world"s first new constitution to recognize the living rights of nature in Ecuador, and the world"s first Mother Earth Law in Bolivia which stipulates the rights of natu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a mythology and eco-friendly community. And this paper first revealed the prototype of ecological thinking of harmony and cooperation, circular worldview, natural respect, and symbiosis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Inca mythology. And it argues the ecophilosophical meanings of sumac Kawsay and the implications of Inca myth in ethic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