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Graziano Serragiotto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이중언어학 45, 375-403. 세계화로 인해 언어 교육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각 나라에서는 보다 높은 효율성을 가지는 언어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 차원, 그리고 정치-행정적인 차원에서 많은 노력을 보이고 있다. 현재 학교 정규 과정에서 외국어로 된 과목을 도입하는 것은 유럽 연합회를 구성하는 나라의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의 많은 학교에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이 도입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이탈리아에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이 어떻게 도입되었는지, 그리고 이 새로운 교육에 의해 생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탈리아에서의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을 소개하기 위해 정치적-행정적인 배경을 소개한 다음 교사의 입장과 학습자의 입장에서 언어와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 과정의 문제점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언어와 내용을 통합할 수 있는 교사의 양성과 교육의 해결 정책을 설펴볼 것이다.
Excursion Set Statistics with Primordial Non-Gaussianity
Graziano Rossi,Pravabati Chingangbam,박창범 한국물리학회 201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7 No.31
The statistics of regions above and below a temperature threshold (excursion sets), fully characterized in the contest of Gaussian random fields, is here extended to models with primordial non-Gaussianity of the local type and is used to analyze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 sky via simulated non-Gaussian maps. In particular, a positive value of the non-Gaussian parameter fNL is found to enhance the number density of the cold CMB excursion sets, along with their clustering strength, and to reduce that of the hot ones. This effect may be importan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simpler Gaussian hypothesis and non-Gaussian scenarios, arising either from non-standard inflation or alternative early-universe models. However, while a distinct signature in the clustering of hot and cold pixels clearly emerges for large non-Gaussianity, particularly at angular scales of about 75 arcmin, the considered statistics appears to be less sensitive when fNL is relatively small and an additional smoothing is applied. This fact may pose a challenge if using the excursion set regions to constrain fNL, or the Gaussianity itself, from a real data set – in presence of noise and other observational artifacts.
The evaluation of language learning
( Graziano Serragiotto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3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38
La valutazione, in generale, e uno dei momenti irrinunciabili dell`azione didattica da parte di ogni insegnante. Da sempre emergono delle difficolta oggettive che nascono dalla complessita di costruire, interpretare e utilizzare prove di verifica che possano essere pertinenti e significative. Inoltre, vi e spesso l`impossibilita di tenere in stretta considerazione fattori che riguardano la dimensione personale dello studente e del docente stesso nel processo valutativo.Ogni insegnante che si qualifichi come competente, dovrebbe possedere la competenza valutativa che gli consente di monitorare il suo percorso didattico per migliorarlo, gestirlo, cambiarlo e, non ultimo, di assecondarlo alle esigenze di chi sta apprendendo, vale a dire degli allievi.Da questo angolo di lettura, quindi, la valutazione implica necessariamente l`esistenza di un progetto, di obiettivi e di mete che sono state fissate e che devono essere verificate. In questo senso, si sono forniti dei criteri pratici di resa valutativa con lo scopo di riconoscere l`oggetto di studio nella complessita e unitarieta.Secondo questa prospettiva, valutare significa attribuire o dichiarare il valore di qualcosa e valorizzare qualcosa in funzione di uno scopo che include l`apprendimento e la sua gestione. Una definizione, questa, che rende il processo valutativo un`attivita del pensiero produttivo, comparativo e critico, in modo che risulti essere funzionale alla crescita, al cambiamento e allo sviluppo degli apprendenti.
( Graziano Serragiotto ),( Giuseppe Maugeri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한국이어이문학회) 2010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31
이 연구는 교수들에게 있어 학생들 간의 상호관계와 더불어 교수와 학생 간의 열정적인 학습 창출과 도달하려는 목표에 동인이 되는 교육에 대한 즐거움과 학습하는데 필요한 `유용성`과 `감정` 그리고 언어의 기능에 대한 메커니즘을 발견하는 기쁨, 더 나아가 타인들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수업에 집중된 운영적 모델을 실현하기 위한 인식론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외국어로서의 이탈리아어문법 교수법에 대해 정의를 내려 보고자 하는데 있다.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와 같은 사어를 다루듯, 학생들이 화법과 법, 동사의 시제를 강독하고 암기하도록 수업을 계획했던 교수의 전통적인 수업방식에서 벗어나서, 더 이상 언어의 근본적인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측면인 문법을 다양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명백한 능력을 갖게 되는 것과 같이, 의사소통능력을 인식하는 소개에 대한 접근을 통하여 그것을 넘어서는데 주목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더 이상 독립된 것이 아닌 현실적인 문장의 내용이 포함된 살아있는 언어를 바탕으로 집중하게 하고자 한다. 80년대에 언어 학습이론과 함께, 문법적인 규칙과 언어를 습득l`acquisizione하는 것과 학습l`apprendimento하는 것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학습은 이성적인 과정으로, 그 이후의 능력에 대해서는 임시적인 것이며, 언어의 원문 혹은 형태구문에 입각에 집중하고, 학생들에게 언어 생성의 단계에서 존재하는 자율성에 대해서 보장 할 수 없다. 습득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학생들이 놀면서(즐기는 기능) 동기 부여되는 무의식의 과정이다. 이렇게 언어를 접하는 것은 , 주어진 활동을 해결 하고, 점점 참여하게 하여 직면한 문제의 답을 찾도록 학생들의 도전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면서, 밝고 즐거운 방법으로 언어를 접하게 된다. 추론이나 교수가 결정한 것이 아닌, 교수로부터 제공된 기회와 가이드의 유용성과 다른 학생들과의 관계와 협력을 통하여, 수업진행의 중심에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모험을 바탕으로 한, 문법 수업은 인간적이고-정서적인 언어학습/수업을 위한 정신-교육학을 제시하고, 귀납적으로 규칙을 정립할 것이며, 다양한 구조의 의미를 바탕으로 투영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를 바탕으로 한 고찰을 위한 교수법과 예시된 교수법의 통일과 함께 구체화되고 효과 있는 제안을 시도하는 것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