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Biological Control using the ‘Natural Enemy in First (NEF)’ Technology in Tomato Greenhouses

        Eun Hye Ham,Hye Jeong Jun,Jun Seok Lee,Un Taek Lim,Jong Kyun Park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4

        시설토마토에서 사전에 해충밀도를 예찰 하지 않고 작물 정식과 동시에 적용한, 기생성/포식성 천적과 그들의 먹이원/서식처가 결합되어 있는, ‘Natural Enemy in First (NEF)’ 기술의 총채벌레와 진딧물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처리 후 12주차에 NEF 처리구에서 총채벌레 밀도억제 효과는 천적처리구 및 관행방제구에 비해 각각 32%와 82% 더 높았다. 처리 후 진딧물의 밀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어 처리구간 유의성 있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We studied the efficacy of the ‘Natural Enemy in First (NEF)’ technology in controlling thrips and aphids in tomato greenhouses, relative to the natural enemy and conventional chemical treatments. This technology combined the use of natural enemies of the pests (parasites/predators) with their food sources/habitats, and the treatment commenced at the time of planting. The ‘NEF’ technology, for the control of thrips, had an efficacy 32% higher than the natural enemy treatment, and 82%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chemical treatment. The average population density of aphids after the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reatments.

      • Sustainable pest management: Natural enemy in first method in practice

        Eun Hye Ham,Hye Jeong Jun,Jun Seok Lee,Un Taek Lim,Young Su Le,Jong Kyun Par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04

        Biological control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For this reason, effective and sustainable insect pest management is a priority for many growers. And the success of biological control depends upon the use of the economical methods such as a combination of proper natural enemies and plants (banker, habitat, trap, companion, etc.). For the last nine years, we have developed simple and reliable new habitat plants system with natural enemies, and named it『Natural Enemy in First Method』that we are introducing here. Our goal was to better understand the potential for effective use of beneficial insects and their habitat plants for the management of thrips, spider mites, and aphids in greenhouses. This approach is being developed to improve biological control in various crops in Korea.

      • KCI등재

        봇 넷 트래픽 식별을 위한 스택구조 딥러닝 접근 방식

        강구홍(Koohong K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2

        봇 넷의 악의적인 행위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뿐만 아니라 기업, 정부, 그리고 심지어 가정의 일반 사용자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끼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TU-13 봇 넷 트래픽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딥러닝 모델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을 적용한 봇 넷 트래픽 검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한다. 특히 알려진 봇 넷과 알려지지 않은 봇 넷 트래픽에 대해 C&C 서버를 검출하기 위한 봇과 C&C 서버 사이 트래픽, 봇을 검출하기 위한 C&C 통신 이외에 봇이 발생하는 트래픽, 그리고 정상 트래픽을 분류하는 멀티클래스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를 시도하였다. 성능검증을 위한 지표는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그리고 F1 점수를 제시하였다. 한편 확장성과 운영을 고려하여 봇 넷 타입 별로 모듈을 적재할 수 있는 스택구조의 봇 넷 검출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실제 네트워크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alicious activities of Botnets are responsible for huge financial losses to Internet Service Providers, companies, governments and even home users. In this paper, we try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botnet traffic by applying the deep learning mode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using the CTU-13 botnet traffic dataset. In particular, we classify three classes, such as the C&C traffic between bots and C&C servers to detect C&C servers, traffic generated by bots other than C&C communication to detect bots, and normal traffic. Performance metrics were presented by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1 score on classifying both known and unknown botnet traffic. Moreover, we propose a stackable botnet detection system that can load modules for each botnet type considering scalability and operability on the real field.

      • KCI등재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ing styles on student academic motivations over years

        Ham. Eun Hye,Lee. You-kyung,Lee. Hyu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tudents’ academic motivations changes throughout their secondary school years, and whether parental support for autonomy can affect student motivations. Approximately 6,000 students repeated measur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and a series of multi-level models, growth mixture models, and multinomial logistic models were applied for data analyses.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d during middle school years and increased during high school years, while extrinsic motivation showed opposite directions. Second, parents’ both supporting styles, i.e., support for autonomy and contro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fter controlling for achievement. Third, the three distinctiv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how intrinsic motivation changed: ①consistently decreasing, ② decreasing and then increasing, and ③ consistently increasing. Fourth, parental support for autonomy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in the group whose intrinsic motivation consistently declined over the years.

      • Sustainable pest management : optimal use of the “Natural enemy in first” method on strawberry

        Eun Hye Ham,Hye Jeong Jun,Jun Seok Lee,Un Taek Lim,Young Su Lee,Jong Kyun Par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0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유기농업의 실천을 위하여 국내 작부체계와 농업환경에 적합한 한국형 현장적용 기법을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은 ‘Natural Enemy in First (NE가 먼저)’로 해충발생시기의 예찰 없이 주 작물을 정식함과 동시에 천적과 보조식물을 혼합 적용해서 해충발생 이전에 천적을 포장에 먼저 정착시키는 생물적 방제기법이다. 시설재배 딸기에서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콜레마니진디벌과 천적의 서식처 3종을 주 작물의 정식과 동시에 적용한 결과, 관행방제구에 비해 80%이상의 해충 밀도억제효과를, 천적 단독처리구에 비해 3배 이상의 높은 천적의 밀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포장 환경과 천적의 방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천적의 해충 방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라인을 적용한 결과, 약제와 천적 혼합처리구에서 라인을 적용하지 않은 처리구에 비해 해충의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천적의 밀도는 2배 이상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경험 분석

        함은혜(Ham, Eun Hye),백선희(Paik, S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시민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경험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에서 2007년과 2010년, 즉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시점에 2회 반복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협동성, 정치참여의 평균적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및 학교 경험 변인을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 학생들의 협동성은 중학생 때와 비교하여 감소한 반면, 정치참여 수준은 증가하였다. 둘째, 교내 동아리 활동 및 리더십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높은 공동체의식, 협동성, 정치참여 수준을 보였다. 셋째, 수업 부적응은 학생들의 시민의식에 일관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내 교우관계 및 교사헌신도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 로 학생들의 시민의식 성장을 위한 학교교육의 역할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bserve how students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levels have changed through Grade 9 to Grade 12, and examine whether various experiences at school predicted the levels. Methodology: Student- and school- level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hich tracked more than 2,000 students through their secondary school years, were used. A series of multi-level models were applied for data analyses. Findings: First, while students political participation have increased, cooperativenes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Second, students who have joined in club activities and leadership experiences showed higher levels of sense of community, cooperative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class maladjustment consistently and negatively affected the three aspects of civic engagement. Fourth, peer-relation and teacher engage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ivic engagement. Value: Our findings suggest that socio-psychological school environment as well a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bstantially influenced students civic engagement.

      • KCI등재

        프로세스데이터를 활용한 과제참여도 측정가능성 탐색 : PISA2015 과학성취도평가의 문항응답시간을 중심으로

        함은혜(Eun Hye Ha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컴퓨터기반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산출되는 프로세스데이터 중 응답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과제참여도, 구체적으로 자기 능력보다 어려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지적 활동을 지속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PISA 2015 자료 중 한국 학생 5,568명의 능력추정치와 문항난이도 추정치, 그리고 응답시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응답시간에 대한 개인 간 분산은 학생의 성취도와 다른 동기적 특성을 고려한 후에도 유의하였다. 둘째, 문항응답시간을 활용하여 구성한 과제참여도 지수는 효능감, 흥미, 성취동기와 약한 정적 상관을, 성취도와 중간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문항응답시간을 활용하여 구성한 과제참여도 지수는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다른 동기적 특성들과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응답시간을 활용하여 학생의 비인지적 특성을 진단하는 것의 유용성과 제한점,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item response time recorded in a low-stake computer-based tes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students’ task engagment in science learning. It is assumed that students having higher level of task engagement are more likely to persist in putting his/her time to solve given items even when the items are challenging and none of rewards are expected. Two different types of task engagement index were constructed using a total of 5,568 Korean students’ item responses and response time data.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etween-individual variance in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s’ achievement and several key motivational factors. Second, the measures of task engagement based on response time showed weak correlations to self-reported measures of interest, efficacy, and achieving goal. Third, the two measures of task engagement moderated the effect of motivational factors on achievement, as previous studies has hypothesiz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