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litary Fibrous Tumor of Breast with Anaplastic Areas (Malignant Solitary Fibrous Tumor): A Case Report with Review of Literature

        Min Jung Jung,David Alrahwan,Esther Dubrovsky,Donghwa Baek,Alberto G. Ayala,Jae Y. Ro 한국유방암학회 2019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2 No.2

        Solitary fibrous tumor (SFT) is a rare, soft tissue neoplasm that rarely presents in breast tissue, with only 27 previously reported cases. To our knowledge, only one case of malignant SFT has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A 75-year-old Caucasian woman presented to our institution with a 3-month history of a palpable left breast mass. No other symptoms, including nipple discharge or skin changes, were noted. She underwent 3 previous biopsies for right breast masses, all of which were benign, with no evidence of spindle cell neoplasm, atypical hyperplasia, or malignancy.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mass demonstrated a classic area of SFT with areas of high-grade anaplastic component. In these areas, the tumor showed atypical epithelioid cells arranged in hypercellular sheets with diminished branching vasculature, nuclear pleomorphism, and increased mitotic count (up to 9/10 high-power fields). This case represents the second case of malignant SFT in the breast.

      • 자동차기술교육 부문위원회 소개

        정동화(Donghwa Jung),조행묵(Haeng Muk Cho),오세우(Seawoo Oh)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오토저널 Vol.28 No.5

        자동차에 첨단기술의 적용이 급증하면서 구조가 복잡해지고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고유가 시대에 대비한 보다 경제적인 저연비 자동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가 나더라도 가능한 한 인명 피해를 줄이는 안전한 자동차, 유해가스 배출이 적고 재활용률을 높이는 친환경 자동차 등이 요구되면서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 기술 분야 종사자들이 업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신기술 체득이 필수적이다. 또한 자동차 관련 산업에 진입을 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데 이들에게도 자동차에 대한 기본 지식과 주요기술에 대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동차기술교육 부문위원회는 자동차에 적용되는 기술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교육시키는 방법과 첨단화되어가는 최근의 자동차 기술의 동향을 논의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부문위원회로 날로 활동이 커지고 있다. 또한, 출고 후 폐차에 이르기까지 사후관리에 필요한 기술교육을 위해 자동차의 신기술에 대해 상호 정보교류 및 의견을 교환하여 사후관리 분야 교육에 접목하고 나아가 애프터마켓 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양성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다. 현재 위원회는 자동차제작사의 기술교육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정동화 교수(순천제일대학)가 위원장을 맡고 있고, 간사로서 공주대학교 조행묵 교수, 서울스탠다드의 오세우 사장이 활동하고 있으며 위원으로는 자동차 기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학계 및 산업체의 전문가가 활동하고 있다.

      • Source ranging with an underwater geographic point in non-cooperative bistatic sonar

        Lee, Donghwa,Jung, Tae Jin,Lee, Kyun Kyung,Myung, Hyun IOP Pub 2014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Vol.25 No.1

        <P>Active sonar is divided into monostatic and bistatic sonar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ource and the receiver. Bistatic sonar on modern submarines is classified into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operations. Cooperative operation uses an active signal of a friendly ship; therefore, source information is known a priori, whereas non-cooperative operation utilizes an active signal of the enemy, and hence, it is difficult to acquire source information, such as a source range, which is important for bistatic sonar ope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iculty, this paper proposes an estimation method for the source range that employ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tility of the source range estimation is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we consider three error components. Then, the validity of the scheme is confirmed through theoretical error analysis and simulation study. The results show that geographic points that satisfy certain specific condition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source range within a range of tens of km in the simulation. Finally, we confirm that the receiver could estimate the source range from far away using non-cooperative bistatic sonar.</P>

      • Depth-hybrid speeded-up robust features (DH-SURF) for real-time RGB-D SLAM

        Lee, Donghwa,Kim, Hyungjin,Jung, Sungwook,Myung, Hyun Techno-Press 2018 Advances in robotics research Vol.2 No.1

        This paper presents a novel feature detection algorithm called depth-hybrid speeded-up robust features (DH-SURF) augmented by depth information in the speeded-up robust features (SURF) algorithm. In the keypoint detection part of classical SURF,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aussian kernel is varied for its scale-invariance property, resulting in increased computational complexity. We propose a keypoint detection method with less variation of the standard deviation by using depth data from a red-green-blue depth (RGB-D) sensor. Our approach maintains a scale-invariance property while reducing computation time. An RGB-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system use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and depth data concurrently; thus, the system is well-suited for showing the performance of the DH-SURF method. DH-SURF was implemented o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respectively, and was validated through the real-time RGB-D SLAM.

      • KCI등재
      • KCI등재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매개효과

        민동화(Donghwa Min),송민정(Minjung Song),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감정규제에 관한 연구들은 서비스업에서의 직원과 고객 사이의 상호관계에 집중해왔으며, 리더의 감정규제가 부하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는 개념적 연구들로써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 직원의 인식, 태도,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족하였고, 소수의 실증연구 에서도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에게 쉽게 경험되어지며, 부하직원의 태도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관계를 자기결정 이론과 귀인이론을 통해 설명하였으며,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하직원이 인식한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 매개 효과를 EASI model을 통해 설명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 결과, 리더의 표면 행위는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리더의 내면 행위는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더의 표면 행위와 내면 행위 모두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리더들 역시 부하직원과의 관계에서 감정규제전략을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메커니즘으로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follow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While prior emotional regulation studies highly focused on service works, i.e. worker-customer relationship, they have rarely examined the leadership role, i.e. leader-follower relationship. In addition, most prior studies regarding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ve been conceptual studies, while very few empirical studies have predicted direct effects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for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ttribution theory. We additionally discuss the mediating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through the EASI model. The empirica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der surface acting is negatively related to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while leader deep acting positively related to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secon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and thir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has demonstrate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arguments on the effects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and mechanisms of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 육계 사육시설의 계절별 PM, NH<sub>3</sub> 농도 측정

        장동화 ( Donghwa Jang ),권경석 ( Kyeong-seok Kwon ),김종복 ( Jong-bok Kim ),김중곤 ( Jung-kon Kim ),양가영 ( Kayoung Yang ),최성민 ( Sungmin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국내 초미세먼지(PM<sub>2.5</sub>) 2차 발생원의 주요 전구체가 축산 분야 가축분뇨로부터 배출되는 암모니아라고 지적되면서, 축산 분야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암모니아에 대한 관심도가 증대된 바 있다. 암모니아는 대기 중의 SOx, NOx 등과 결합하여 황산암모늄염, 질산암모늄염 등으로 전환되어 무기 에어로졸 화합물의 전구체 형성의 주요 물질로 작용한다. 환경부의 대기정책지원시스템(CAPSS)에서는 암모니아를 포함한 9개 대상물질의 배출량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농업, 특히 축산 분야 가축사육시설의 경우 암모니아에 한하여, 일부 축종에 대한 국내 고유 값이 단기간 실험을 통해 제한적으로 측정되어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배출량 값이 EPA-1994(1994), EEA-CORINAIR(2005) 등과 같은 국외 측정값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TSP, PM<sub>10</sub>, PM<sub>2.5</sub> 등과 같은 입경별 미세먼지에 대한 배출량 정보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배출계수의 경우 Tier-1 수준으로 연중 가축사육두수가 일정하고, 사육기간에 대하여 동일한 배출량이 적용하고 있어, 가축의 사육주기, 휴지기, 일령에 따른 발생 경향에 대한 반영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무창형태의 육계 사육시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실제 가축 사육시설 내부에서 발생하는 입경별 미세먼지(TSP, PM<sub>10</sub>, PM<sub>2.5</sub>), 산업안전 측면에서의 흡입성분진, 호흡성분진, 그리고 암모니아 농도에 대한 계절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입경별 미세먼지의 측정은 NIOSH 공정시험법에 의거하여 중량법에 기반하여, 흡입성, 호흡성 분진의 경우 광산란방식에 기반하여 실시간 농도 값을 측정하였다. 암모니아의 경우 전기화학식 측정장치를 이용하였다. 모니터링은 2019년 7월부터 현재까지 주요 계절별로, 14, 21, 28일령조건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예를 들어, 28일령 조건에 대하여 하절기의 경우 TSP, PM10, PM2.5의 농도가 각각 평균 0.27, 0.20, 0.08 mg/m<sup>3</sup>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환절기는 0.64, 0.54, 0.15 mg/m<sup>3</sup>, 동절기의 경우 해당 일령 조건 시 2.32, 1.24. 0.26 mg/m<sup>3</sup> 수준으로 외기 온도에 따라 환기량 감소 시 농도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령별 비교 시, 일부 측정구간에 대하여 일령 증가에 따라 농도 값이 증가→감소 경향을 보이는 경우가 관측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발생원에서의 순 발생량과 환기량 증가를 통해 제거되는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 간의 간극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입경이 상대적으로 큰 TSP의 경우 계절, 일령에 대한 변화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PM<sub>10</sub>, PM<sub>2.5</sub>의 경우 측정구간별로 농도값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의 경우, 동절기의 경우 권고 기준인 25 ppm을 상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일령 시 42.11±4.76 ppm 수준으로 관측되었다. 환절기, 하절기의 경우 대부분 10 ppm 이하의 농도 값을 보였으며, 단순 일령별 비교 시 계절마다 증감의 경향이 상이하여, 이는 현재 모니터링 중인 시설 내부 온도, 습도, 환기량 등의 다중변수를 이용한 복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