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bile Technology Applications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Kim, ShinJa,Chung, AeKyung 이화여자대학교 동서교육연구소 2006 East west education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our main issues that arise during the use of mobile technologies and devic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key issues addressed in this paper are: 1) What type of mobile technologies do Korean college students use the most in their learning? 2) What mobile benefits would they like the most to consider as compared to other media and technologies? 3) What problems or difficulties do exist in the current application of mobile technologies? 4) What possibilities will be helpful in the application of mobile technologies in the higher educational settings in Korea? The 506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three junior colleges and twelve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results suggest some guidelines for mobile technologies to be used in helping students learn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최혜리(HyeRi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9 No.1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β= .22)과 학교몰입(β=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β= .32), 학교의 지원(β= .23)과 만족도(β=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articipants were 102 students with digital broadcasting and media major.. A hypothetical model proposed included learning flow, school support as predictors, and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a criter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learning flow and school flow predicted significantly on satisfaction. And school flow, school support, and satisfaction predicted significantly on learning persistence. In addition,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between school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A constructive foundation for providing learning strategies in the successful engineering education would be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current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이상회(SangHoi Yi),김선희(SunHee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8 No.2

        본 연구에서는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W사이버대학의 2010년 2학기 사회복지조사론학과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β=.69, p<.05)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실재감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한 결과, 역시 자기조절학습능력만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β = .38, p<.05)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습몰입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만족도를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자매체를 활용한 사이버수업의 성공적인 학습전략을 제공하는 운영전략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presence,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cyber education utilizing electronic media. For this study, 304 students at W cyber university in Korea completed surveys in the fall semester of 2010.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we founded learning flow has an intermediating effect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 strategies to raise satisfaction by improving students' leading role in their learning.

      • KCI등재

        사이버대학에서 인지된 고립감, 조직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간 구조적 관계 규명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유나연(NaYeon Yoo),이상희(SangHoi Yi)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49 No.10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인지적 고립감, 조직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교 2011년 1학기 컴퓨터전공생 37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직의 지원이 인지된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의 지원과 인지된 고립감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의 지원, 인지된 고립감, 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본 결과 조직의 지원을 제외한 인지된 고립감, 만족도만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고립감은 조직의 지원과 만족도 그리고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고 있고, 만족도는 인지된 고립감과 조직의 지원,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고 있음이 추가적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이버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학습을 설계할 시 조직의 지원과 함께 학습자의 고립감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전략들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For this study, 373 students of H cyber university were chosen to conduct a survey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1.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isolation. Seco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isol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Third, perceived isolation and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learning persistence, while organizational support didn"t. In addition, satisfaction was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satisfaction was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perceived isolation, organizational support and learning persis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perceived isol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instructional courses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of students in cyber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최미란(Miran Choi),이상회(SangHoi Yi) 대한전자공학회 2015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M모형을 기반으로 TPACK, 테크노스트레스, 혁신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이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4년도 2학기에 공통교직과목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한 예비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TPACK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TPACK, 테크노스트레스,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혁신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TPACK, 테크노스트레스, 지각된 유용성이 교수활동에서의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to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activities. For this study, a hypothetic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as composed of TPACK, technostress, innovati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echnology in teaching activitie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54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PACK significantly affects technostress.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Third, TPACK, technostress, perceived usefulness affec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but innova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se results imply that TPACK, technostress, perceived usefulness are important to enhanc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echnology in teaching activities. This study propose the constructive foundation for providing strategies raising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of technology in teaching activities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 규명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이상회(SangHoi Yi),김지현(JiHyu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1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8 No.4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 몰입, 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1년 W사이버대학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웹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은 몰입(β=.712, p<.05)과 만족도(β=.531, p<.05)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몰입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시간과 환경관리, 교수실재감과 만족도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의 학습효과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efficacy, flow and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317 students of W cyber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e web-survey systems for two weeks at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in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and teaching 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on flow(β=.712, p<.05) and satisfaction(β=.531, p<.05). In addition to this, flow was used as a significant mediated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time and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improving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PHLOX: 데이타를 공유하는 워크스테이션 클러스터 환경 기반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

        조행래(Haengrae Cho),문애경(Aekyung Moon),정재규(Jaegyu Chung),박재용(Jaeyong Park),김태우(Taewoo Kim),이우범(Woobum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5 No.1

        은행이나 증권 시장, 혹은 통신 분야와 같은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LTP) 응용 분야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와 복잡성은 매년 40%에서 5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OLTP 응용 분야들은 한 대의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며, 슈퍼 컴퓨터나 MPP와 같은 고성능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를 공유하는 워크스테이션 클러스터에서 트랜잭션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인 PHLOX를 개발한다. PHLOX는 네트워크 화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공유함으로써 확장성이 뛰어나며, 각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리 버퍼간에 직접 데이타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디스크 액세스 빈도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growth of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OLTP) applications, such as banking, stock trading, communication applications, and so on. Specifically, the scale and the complexity of the OLTP applications are evaluated to be increased as 40% to 50% for each year. Note that a personal computer or a workstation cannot support the complex OLTP applications, and it must be very expensive to use high performance computer systems, such as supercomputer and MPP. In this paper, we develop a high performanc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named PHLOX, which can support the parallel transaction processing in a workstation cluster with data sharing. PHLOX is scalable in the sense that it can share data with a network file system. Furthermore, PHLOX supports direct data transfer between memory buffers of each workstation; hence. it can reduce the number of disk accesses.

      • KCI등재

        공학계열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용용이성의 몰입과 성취도 예측에 관한 연구

        주영주(YoungJu Joo),정애경(AeKyung Chung),이상희(SangHoi Yi),이유경(YooKyu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7 No.4

        본 연구에서는 공학계열 전문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유용성 및 이용용이성의 몰입과 성취도에 대한 예측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전문대학의 2010년 1학기 D학과 컴퓨터개론 과목을 등록한 114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유용성, 이용용이성을 예측변인으로, 몰입과 성취도를 준거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몰입을 유의하게 예측(β = .59, p<.05)하였으며, 유용성(β = .26, p<.05)에 이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β = .24, p<.05)이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몰입과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용성을 높이려는 구체적인 증진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predic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on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mmunity college education. For this study, D Community college in Korea was chosen and two survey were conducted. The subject were 114 engineering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0. The result of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predicted significantly on flow. Bu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didn't predicted significantly on flow. Also,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redicted significantly on academic achievement. But ease of use didn't predicted significantl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should be considered for improv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mmunity colle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