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anding in the Shade of the Dormant Commerce Clause – Constitutionality of Stat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after Epel

        Christopher Salatiello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2

        In the face of rapid global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many U.S. states have sought to implement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ies to diversify their electricity markets, reduce dependence on fossil fuels,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omote local economies. One such policy tool used by many states is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 mandate that a certain percentage of retail electricity sold in a state come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RPSs are attractive to states as they can serve as technology and market neutral policies that encourage innovation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 competitive, deregulated electricity markets. However, in the absence of U.S. federal law allowing states to design and implement these programs, state environmental laws are at risk of being voided as unconstitutional under the U.S. Constitution’s dormant commerce clause. The dormant commerce clause prohibits states from interfering or burdening interstate commerce to the benefit of in-state commerce. For electricity, almost every state in the United States is connected to regional electricity grids and markets. As a result, state-based renewable energy mandate could place an unconstitutional burden on out-of-state electricity producers. In 2015, in the case of Energy and Environment Legal Institute v. Epel, the Tenth Circuit Court of Appeals ruled that a state RPS was constitutional under the dormant commerce clause. This note reviews the court’s decision in Epel within the context of states’ effort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 through RPSs, and discuss implications and future potential problems that remain.

      • KCI등재
      • KCI등재

        2012년 미국의 녹색성장정책의 발전

        크리스토퍼살라티엘로 ( Christopher Salatiello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외법논집 Vol.37 No.2

        인간중심적 정책에서 발생된 지구온난화의 심화에 따라 미국은 온실가스감축 및 녹색성장 정책에 있어 과거와 비교하여 최근 주목할만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방 차원의 녹색성장정책은 해묵은 정치적 논쟁 속에 발목이 잡혀 더 많은 진전을 보이기 어려운 상태이다. 그러나 연방정부를 대신하여 각 주 정부는 2010년 이후 녹색성장해결을 위한 변혁적 정책 드라이브를 취하고 있다. 본 논문은 녹색성장 관련 2012년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주요 정책을 다음 세가지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첫째, 협력적 연방주의 관점에서 중앙집중적 환경규제정책과 지방분권적 환경규제정책의 장단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둘째, 녹색성장정책의 발전과 정체를 가름할 수 있는 현 정치적 논의 소개와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2012년을 중심으로 연방 정부와 주정부에서 취하고 있는 주요 녹색성장정책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 규제 체제가 중단기적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주정부 및 연방정부 차원에서 그리고 어떠한 차원의 규제가 효율적인 것인지에 대해 예측하였다.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is happening andthe United States has seen significant policy development for green growth and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Nevertheless, with political polarization increasing, green growth policy at the Federal level has been caught in political gridlock, while many states are beginning to take the lead in promoting innovating green growth solutions. This paper reviews major green growth policy developments at the federal and state level for 2012 with a focus on three things: first, the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cooperative federalism and comparison of advantages of decentralized or centralized environmental regulation; second, an explanation of the current political context for which green growth policy is being developed or blocked; and finally a review of major green growth policy developments at the federal and state levels. The paper concludes by looking at how the future regulatory regime may look like in the near-term.

      • KCI등재

        부패와 외국 뇌물에 대한 전쟁 -한국의 준법지원인 및 공익식고자보호 법제의 대한 비판적 고찰-

        크리스토퍼살라티엘로 ( Christopher Salatiell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7 No.2

        대한민국 국회는 2011년 부패척결과 법규준수 및 윤리적 기업문화의 조성을 위하여 두 가지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즉, 국회는 상법을 개정하여 중소 상장 회사들로 하여금 준법지원인을 고용하도록 함은 물론 “준법지원 및 통제 지침”을 정립하도록 하였다. 또한 국회는 공익신고자 보호법을 제정하였다. 이 논문은 부패척결은 물론 외국 공무원에 대한 뇌물제공의 금지라는 배경하에서 도입된 위 법률들에 대하여 우선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 법률들이 국내외에서 영업하는 우리 기업들로 하여금 윤리적 기업문화를 조성하도록 지원하였는지 여부를 고찰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한국의 기업 관행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위 법률들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위 법률들과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법률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한국 정부에 대하여, 이 법률들을 반-부패 정책과 체계적으로 결합시키도록하고, 준법지원 관련 기업 지침과 공익신고 절차를 활용하여 기업들이 준법과 윤리적인 기업 활동을 증진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U.S. Sanctions Compliance Program for Maritime and Shipping Companies

        Chun, Woong,Christopher Salatiello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9 No.2

        Unilateral sanction regimes by the U.S. against other countries or non-state actors are increasingly becoming broader in scope and application. In recent years, U.S. sanctions laws have been expanded to cover not only U.S. persons but also foreign companies with no connection to the United States. Companies and entities that operate in the transnational maritime and shipping industries are particularly exposed to compliance risk with U.S. sanctions laws due to the diversity of countries they are registered or operate in. This article discusses U.S. sanctions laws and the requirement for shipping and maritime companies to establish effective internal compliance programs. Developing,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an effective compliance program should be a core component of business operations and to ensure compliance with U.S. sanctions law. This article explains in detail how companies within the shipping and maritime sectors should to develop, implement, and maintain effective compliance programs.

      • KCI등재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U.S. Sanctions Compliance Program for Maritime and Shipping Companies

        ( Woong Chun ),( Christopher ),( Salatiello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9 No.2

        Unilateral sanction regimes by the U.S. against other countries or non-state actors are increasingly becoming broader in scope and application. In recent years, U.S. sanctions laws have been expanded to cover not only U.S. persons but also foreign companies with no connection to the United States. Companies and entities that operate in the transnational maritime and shipping industries are particularly exposed to compliance risk with U.S. sanctions laws due to the diversity of countries they are registered or operate in. This article discusses U.S. sanctions laws and the requirement for shipping and maritime companies to establish effective internal compliance programs. Developing, implementing, and maintaining an effective compliance program should be a core component of business operations and to ensure compliance with U.S. sanctions law. This article explains in detail how companies within the shipping and maritime sectors should to develop, implement, and maintain effective compliance programs.

      • KCI등재

        The Principle of Emergency Notification After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소병천(Byung Chun So),Christopher Salatiello 서울국제법연구원 2011 서울국제법연구 Vol.18 No.2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 지역에 초대형 쓰나미와 지진이 발생하였다. 그 여파로 도쿄 전력이 운영하는 원전의 냉각장치의 고장이 발생하여 막대한 양의 방사능물질의 대기 및 인근 해수로의 유입되었다. 특히, 4월 4일, 만 천여톤의 방사능오염수가 해수로 방출되었는데, 그 과정에 주변국과의 어떠한 협의 및 통지도 없었다. 동 논문은 후쿠시마 원전사태를 계기로 원전 사고시 후속조치로서 국제법상 요구되는 긴급통지 의무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긴급통지 의무란 원전 사고와 같이 사고 시 피해가 큰 산업 활동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와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해당 사고로 인해 영향을 받는 국가들에게 신속히 제공하여야 할 의무를 의미한다. 동 의무는 1986년 체르노빌 사고 및 1986년 "원자력사고의 긴급통지협약" 채택과 함께 빠른 시간 내에 국제관습법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동 협약의 긴급 통지 체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서 몇 가지의 흠결이 나타났다. 우선, 통지의 대상이 국제기구인 IAEA 또는 주변국이기 때문에 IAEA에게만 통지하여도 무방하다. 이번 후쿠시마 원전사태에서도 일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국에게 통지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동 협약의 취지인 주변국 국민의 보건 및 환경 위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신속히 해당 사태를 통지하여 그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반한다. 그리고 도쿄 전력 및 일본국 정부가 해당 원전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취하였던 후속조치인 방사능오염수의 배출행위가 협약 상 통지의 대상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단지 국제관습법상 그리고 유사 관련 협약을 통해 해당 후속조치 역시 통지의 대상이 된다고 해석 할 수 있을 뿐이다. 동 사태 이후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통해 원전 사고시 긴급통지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한 선언문을 채택함으로서 일본국의 무협의 및 무통지에 대한 문제점을 공유하였다. 이에 3국은 동 선언문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서라도, 현재 한일간에 채택되어있는 원자력 사고시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바탕으로 동 사태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는 협약의 채택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llowing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March, 2011, the Japanese government approved the release of thousands of tons of low-level radioactive water into the sea by power company TEPCO as an emergency measure to make room for more contaminated water.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Russia, protested the dumping as a violation of international of law and for lack of notific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criticized by both the domestic public and foreigners as withholding public access to information. This article explains international law on emergency notification, both customary and treaty law on notification after a nuclear accident. This article will show that the lack of notification by Japan to its neighbors has revealed problems with the existing emergency notification regime. The emergency notification obligation should be clarified, particularly for remedial or subsequent measures that occur in a post-accident environment. Further,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public`s right to access information from the government under international law. By promoting public access to information after a nuclear accident under international law, the public`s health and safety can be further prot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