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W 세션 토론자료

        최계영(Choi Gyeyoung) 한국정보법학회 2012 한국정보법학회 정기세미나 발표자료 Vol.- No.15

        컴퓨팅 부문의 발전 및 인터넷의 진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기업들의 도전으로 방송, 통신의 컴퓨팅 부문으로의 융합이 본격화 되고있음

      • KCI등재
      • KCI등재

        자연 영상에서의 정확한 문자 검출에 관한 연구

        최미영(Miyoung Choi),김계영(Gyeyoung Kim),최형일(Hyungil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3 No.5

        본 논문에서는 자연영상에 존재하는 문자들을 효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빛 또는 조명의 영향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반사성분은 문자 또는 관심객체들의 경계가 모호해 지거나 관심객체와 배경이 서로 혼합 되었을 경우, 문자추출 및 인식을 함에 있어서 오류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반사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영상으로부터 Red컬러 성분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에서 두개의 피크 점을 검출한다. 검출된 두 개의 피크 점들 간의 분포를 사용하여 노말 또는 편광 영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한다. 노말 영상의 경우 부가적인 처리를 거치지 않고 문자영역을 검출하며, 편광 영상인 경우 조명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호모모픽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반사성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거한다. 그리고 문자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색 병합과 세일런스 맵을 이용하여 각각의 문자 후보영역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두 후보영역을 이용하여 최종 문자영역을 검출한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eliminate the reflectance component for the localization of text in natural scene images. Natural scene images normally have an illumination component as well as a reflectance component. It is well known that a reflectance component usually obstructs the task of detecting and recognizing objects like texts in the scene, since it blurs out an overall image.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that efficiently removes reflectance components while preserving illumination components. We decided whether an input image hits Normal or Polarized for determining the light environment, using the histogram which consisted of a red component. In the normal image, we acquired the text region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Otherwise we removed light reflecting from the object using homomorphic filtering in the polarized image. And then this decided the each text region based on the color merging technique and the Saliency Map. Finally, we localized text region on these two candidate regions.

      • KCI등재

        컬러 영상의 조명성분 분석을 통한 문자인식 성능 향상

        최미영(Miyoung Choi),김계영(Gyeyoung Kim),최형일(Hyungil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2 No.3

        본 논문에서는 컬러영상에 존재하는 문자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빛 또는 조명성분의 영향에 의해 획득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반사성분은 문자 또는 관심객체들의 경계가 모호해 지거나 관심객체와 배경이 서로 혼합 되었을 경우, 문자추출 및 인식을 함에 있어서 오류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반사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컬러영상으로부터 Red컬러 성분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에서 두개의 pick점을 검출한다. 이후 검출된 두 개의 pick점들 간의 분포를 사용하여 노말 또는 편광 영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한다. 노말 영상의 경우 부가적인 처리를 거치지 않고 문자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며, 편광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반사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호모모픽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반사성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거한다. 이후 문자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최적전역임계화방식을 적용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였으며 문자영역 추출 및 인식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문자 인식기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식 적용 전과 후의 인식결과를 비교하였다. 편광영상에서 제안된 방법 적용 후, 문자인식을 한 경우 인식률이 향상되었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eliminate the reflectance component for the detection of text in color images. Color images, printed by color printing technology, normally have an illumination component as well as a reflectance component. It is well known that a reflectance component usually obstructs the task of detecting and recognizing objects like texts in the scene, since it blurs out an overall image. We have developed an approach that efficiently removes reflectance components while preserving illumination components. We decided whether an input image hits Normal or Polarized for determining the light environment, using the histogram which consisted of a red component. We were able to go ahead through the ability to extract by reducing the blur phenomenon of text by light because reflection component by an illumination change and removed it and extracted text.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a superior performance even when an image has a complex background. Text detection and recognition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changing the illumination condition. Our method is robust to the images with different illumination conditions.

      • KCI등재

        유전체학 시대의 한국 종양 유전 간호의 과제

        전명희(Jun, Myunghee),최경숙(Choi, Kyung Sook),신계영(Shin, Gye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2 Asian Oncology Nursing Vol.1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is to introduce how the Korean Society of Genetic Nursing (KSGN) has evolved and tried to translate genomic knowledge to nursing practice, and then to suggest the future role of genetic nurses in Korea.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nd the current status of genetic counselling in Korea was explored. Then the educational and clinical experiences of the authors were incorporated. Finally, the main activities of Korean nursing for genetics were identified. Results: Two types of genetic counsellor certification have been issued in Korea: one is issued by the Korean Society of Genetic Medicine, another by the Korean Society of Breast Cancer since June 2011. A few Korean nursing researchers have continuously performed research related to genetic nursing and undertook several research projects funded by the government since 2003. In February 2011, KSGN was established and is now trying to establish further international networks. Conclusion: Nursing genetic experts should be trained to integrate all specialties for genetic counselling, so they can provide holistic genetic services including ethical, legal, and social issues (ELSI).

      • KCI등재

        블로그를 통해 본 산전 기형아 검사와 양수검사에 대한 질문과 댓글 분석

        전명희(Myunghee Jun),신계영(Gyeyoung Shin),최경숙(Kyung Soo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그에 나타난 임신 여성의 산전 기형아 검사 및 양수검사 관련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7개의 국내 인터넷 블로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1 단계는 2011년 10월 31일까지 6년간 7개 블로그 중 6개 블로그에 게시된 내용 중 산전 기형아 검사 389건을 통하여 연구의 분석 틀을 마련하였다. 2 단계에서는 ‘맘스홀릭 베이비’에 게시된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질문 100건, 양수 검사에 관한 질문 200건과 댓글 1,665건을 2011년 12월 텍스트화하고 산전 기형아 검사와 양수검사의 건수, 검사 이유 및 검사와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신부들은 산전 기형아 검사와 양수검사와 관련하여 검사의 용어, 목적 및 임신 주수에 따른 검사 지식이 부족하였고, 양수 검사를 권유 받은 임신부 중 56.5%가 불안과 두려움을 호소하였다. 양수검사에 관한 찬성과 반대 건수를 분석한 결과, 찬성 보다는 반대 건수가 더 많았고, 양수검사를 권유 받은 자 중 33.9%는 양수검사를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의료 기관 서비스 안에서 임신 여성과 가족들에게 임신 주수에 따른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교육 및 지지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산전 클리닉 외래의 상담 및 교육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유전 상담전문가를 추가로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넷 보급률 증가와 현대 임신 여성이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고려하여 온라인 건강 정보 사이트 운영 및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기형아 검사 후 낙태 허용범위 기준에 대한 논의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gnant women’s needs for information on prenatal genetic diagnosis and screening. This study is consisted of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in December 2011, six blogs featuring questions and answers on prenatal genetic diagnosis and screening were selected from four major search engines in Korea by using the keywords “prenatal genetic diagnosis,” “prenatal genetic screening”, and “amniocentesis.” An analyzing framework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389 posts on six blogs between November 2006 and October 2011. In the second phase, the contents of the “MomsHolicbaby” blog posted from November 2010 to October 2011 were reviewed. Then, pregnant women’s questions on prenatal genetic diagnosis and screening (100 questions) and amniocentesis (200 questions with 1,665 answ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mong posters who had ever been recommended to undergo amniocentesis, 56.5% described feelings of anxiety, 25.5% did not know the purpose of the test, and 33.9% refused to undergo the test. Among 295 posters answering questions about amniocentesis, 61.4% disagreed with undergoing the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o provide more educ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to pregnant women considering prenatal genetic diagnosis and screening. Providing online health information can be integrated into prenatal genetic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as well as nurses. In addition, prenatal women’s preferences about undergoing amniocentesi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urrent legal discussion on criteria for termination of pregnancy.

      • KCI등재

        YCbCr 공간에서 눈 영역의 피부색을 이용한 피부영역 검출 기법

        박영재(YoungJae Park),김계영(GyeYoung Kim),최형일(HyungIl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7

        입력된 영상을 유해영상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 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유해영상검출에 대한 연구는 피부색상이 전체영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기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YCbCr에서 피부영역을 검출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피부영역은 YCbCr에서 특징적인 분포를 나타내는데 이를 이용하여 배경영역과 피부영역을 분리하고자 한다. 먼저 Eye-Map을 이용하여 눈의 영역을 찾은 후 그 주변 영역의 색상을 이용해 피부영역의 색상값 분포를 찾고, 전체 영상에서 그 분포와 근거리에 있는 영역들을 피부영역으로 검출하는 방식이 된다. There are many ways to judge whether the input image is adult-image or not. Until now, adultimage detection has been examined by the ratio of skin area in full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skin region in YCbCr. Skin region shows unique distribution in YCbCr, and we will separate the skin region from background using the distribution. First, we are going to find Eye zone using Eye-Map. Then we will find out the color value for the distribution of skin region using the color of Eye zone. Next, we will find the distribution of the area through the skin region in full-image.

      • 콘텐츠 관리 웹 시스템 요구사항

        임재걸(Jaegeol Yim),이계영(Gyeyoung Lee),최규찬(Gyucha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현재의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운영자가 사무실에 출근하여 책상 앞에 앉아야만 운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 관리 웹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콘텐츠 관리 웹 시스템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morePacific Green Tea Extract (AP GTE) on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d Insulin after a High-Fat/High-Carbohydrate Meal

        강재헌,Nam Hyun-Jin,Jung Kyoungmi,Choi Gyeyoung,Lee Ji-Hae,Jeong Hyun Woo,Roh Jonghwa,Kim Wan-Gi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 2021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 학술지 Vol.1 No.3

        Increasingly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y have increased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in Korea. Green tea extracts (GTE) obtained from Camellia sinensis have shown beneficial effects particularly on glucose metabolism and transport. Thus, many studies have been done on GTE for its actions on glucose control and insulin sensitivity. However, most of them were performed on cells and animals and not so many were on humans. Therefore, we conducted an open-label, crossover clinical study using AP GTE provided by AmorePacific Corporation R&D Center and investigated its effects on postprandial blood glucose after a high-fat/high-carbohydrate meal. Twenty subjects (men and women) aged ≥ 19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BMI) of 18.5–29.9 kg/m2 and fasting glucose of 100–139 mg/dL were enrolled. First, the control study was performed, where all subjects were fasted for 12 hours and blood (35 mL) was collected before (0 hours) they consumed a high-fat/high-carbohydrate meal and at 0.5, 1, 2, 3, 4, and 5 hours after the meal. After at least a week of washout period, AP GTE study was performed in the same way but taking 4 tablets of AP GTE after ingesting the same high-fat/high-carbohydrate meal. The blood samples were used for assessment of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AP GTE-treated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plasma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insulin over 5 hours than the subjects not treated with AP GTE. During the experiment, no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from the clinical laboratory testing, vital signs, and physical examin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 GTE supplementation may give beneficial effects to subjects who need glycemic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