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적계획법에 기반한 지역예비군 총기, 탄약 분배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조상준(Sangjoon Cho),마정목(Jungmok M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예비군을 관리하는 현역부대의 임무 중 하나는 동원령 선포 시 예비군이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전투물자를 지급하는 것이다. 후방지역의 현역부대는 대규모의 지역예비군을 지원하지만 운용 할 수 있는 병력이 부족하고, 많은 수량의 총기와 탄약을 부대 내부에서 통합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예비군은 총기와 탄약을 통합 보관된 장소인 현역부대의 무기고와 탄약고로 이동해서 분배 받는다.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분배계획(기존 계획)은 선입선출 방식으로 분배순서가 일정하지 않다. 분배순서의 변화는 분배 완료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시간은 지역예비군의 전투력 발휘를 지연시키므로 분배 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예비군의 총기, 탄약 분배모형을 동적계획법에 기반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형의 검증을 위해 후방지역 대대급 현역부대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로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분배계획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기존 계획보다 분배 완료 시간을 줄이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ne of the missions of active-duty units in charge of managing reserve forces is providing combat supplies to reserve forces to exercise their combat capabilities quickly when declaring a mobilization order. Rear area active-duty units must support large local reserve forces. On the other hand, military units have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forces and the storage of large quantities of firearms and ammunition. For this reason, local reserve forces should move to an integrated storing place and receive their firearms and ammunition. The existing distribution plan (existing plan) is a first-in-first-out plan that can produce inconsistent distribution orders. The inconsistent distribution orders can increase the complete distribution time, which will affect the combat power of local reserve forces. Therefore, firearms and ammunition should be distributed quickly.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e priority selection of firearms and ammunition for local reserve forces with a minimum complete distribution time using Dynamic Programming.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existing plan was compared with the proposed model using real data,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ed the existing plan.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에 기반한 예비군훈련 입소율 예측에 관한 연구

        조상준(Sangjoon Cho),마정목(Jungmok Ma)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예비군훈련을 담당하는 부대의 임무는 예비군이 평시에 실전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하지만 예비군훈련 담당부대의 특성상 운용 할 수 있는 병력부족의 문제로 실전적인 훈련환경을 만들어주는 예비군훈련 지원 인원편성에 어려움이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군에서는 전년도 월 평균 예비군 입소율 결과로 당해연도 일일단위 예비군 입소율을 예측하면서 인력편성과 부대운영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예측방법은 실제 입소율과 비교 시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점은 훈련을 지원하는 교관과 조교 선정에 어려움을 주어 훈련성과 달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입소율과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더 정확한 예측모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을 기반으로 일일단위 예비군훈련 입소율을 예측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마이닝 기반 모형의 검증을 위해 예비군훈련 담당부대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로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기존 예측방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데이터마이닝 기반 예측모형이 기존 예측방법보다 오차를 줄이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The mission of the reserve forces unit is to prepare good training for reserve forces during peacetime. For good training, units require proper organization support agents, but they have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unit members. For that reason, the units forecast the monthly attendance rate of reserve forces (using the x-1 year"s result) to organize support agents and unit schedule.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planning method can have more errors compared to the actual result of the attendance rate. This problem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training performance. Therefore, it requires more accurate forecast models to reduce attendance rate errors. This paper proposes an attendance rate forecast model using data mining. To verify the proposed data mining based model, the existing planning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proposed model using rea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outperforms the existing planning method.

      • Performance Analysis Model for Flap Actuation System using MATLAB/Simulink

        Cho, Hyunjun,Joo, Choonshik,Kim, Kilyeong,Park, Sangjoon The Society for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 Vol.4 No.1

        In this paper, we present some results on performance analysis for flap actuation system of aircraft. For this, by utilizing MATLAB/Simulink solution, which is widely used physical model-based design tool, we particularly construct the architecture of the analysis model consisting of the main three phases: 1)commanding and outer-controlling the flap angle through flight control computer; 2)generating hydraulic/mechanical power through control module and power drive unit; 3)transmitting torque and actuating the flap through torque tube and rotary geared actuators. For mimicking the motion of the actual flap, we apply each mechanical component, which is already being used in actual aircraft, to our performance analysis model so that it guarantees the congruency of the simulation results. That is, we reflect the actual specifications of flap hardware and software as parameters of the model. Finally,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model.

      • SCISCIESCOPUS

        Geometrically nonlinear dynamic formulation for three-dimensional co-rotational solid elements

        Cho, Haeseong,Kim, Haedong,Shin, SangJoon Elsevier 2018 Computer methods in applied mechanics and engineer Vol.328 No.-

        <P><B>Abstract</B></P> <P>This study presents a three-dimensional nonlinear dynamic formulation based on a co-rotational (CR) approach for solid elements. The CR formulation is relatively efficient, but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small strains during large displacement. The novel idea of the present formulation involves the use of the CR formulation through a three-dimensional solid element for inertial quantities in addition to an internal force vector and a stiffness matrix. The present dynamic formulation is derived from Lagrange’s equation of motion. In this procedure, the CR formulation, (i.e., element-independent CR)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features that is strongly manifested in an efficient manner. Consequently, this obtains the governing equation of motion including motion-driven inertial components (physical quantities induced by the prescribed motion). Four exampl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accuracy of the present dynamic formulation. Finally,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ABAQUS, an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roposed dynamic formulation is in good agreement with existing predictions.</P>

      • SCOPUSKCI등재

        Treatment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and concurrent targeted molecular therapy in spin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Sangjoon Park,Kyung Hwan Kim,Woo Joong Rhee,Jeongshim Lee,Yeona Cho,Woong Sub Koo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4 No.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targeted molecular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pin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RC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8 spinal metastatic lesions from RCC patients treated with radiotherapy between June 2009 and June 201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irteen lesions were treated concurrently with targeted molecular therapy (concurrent group) and 15 lesions were not (nonconcurrent group). Local control was defined as lack of radiographically evident local progression and neurological deterioration. Results: At a median follow-up of 11 months (range, 2 to 58 months), the 1-year local progression-free rate (LPFR) was 67.0%. The patients with concurrent targeted molecular therap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PFR than those without (p = 0.019). After multivariate analysis, use of concurrent targeted molecular therapy showed a tendency towards improved LPFR (hazard ratio, 0.13; 95% confidence interval, 0.01 to 1.1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systemic progression between concurrent and nonconcurrent groups. No grade ≥2 toxicities were observed during or after radiotherapy.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concurrent use of targeted molecular therapy during radiotherapy may improve LPFR. Further study with a large population is required to confirm these results.

      • SCIESCOPUS
      • 인공지능을 활용한 매개모기 자동분류 기술 개발

        이상준 ( Sangjoon Lee ),윤원섭 ( Wonsub Yoon ),조병관 ( Byoung-kwa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매기 모기에 의한 감염병 확산 및 피해는 세계적으로 심각하게 다루고 있는 중요한 질병관리 사안이다. 주요 모기매개 감염병들은 일본뇌염을 제외하고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거나 백신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치료약의 경우, 말라리아를 제외하고 아직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모기 매개 감염병은 방제가 질병 관리에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현재 방제를 위한 감염병 매개모기의 감시는 포집장치를 통해 모기 개체수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포집장치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해 단순히 모기 개체수를 측정하는 수준이며 모기의 종류별 개체수의 파악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기의 종류별 개체수를 실시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상분석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칼라 카메라를 이용하여, 포획망에 포획된 다양한 종류의 모기를 촬영하고 Faster R-CNN (Regio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기 개체의 종류를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통해 딥러닝 영상분석 기술이 모기의 인식과 종류별 구분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