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 선사시대 동굴유적 조사의 전개와 성격

        조태섭(CHO Tae-Sop) 한국구석기학회 2019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9

        강원도에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발굴 조사된 선사시대의 동굴유적은 모두 6곳이며 이들은 모두 2000년대 이후에 조사 연구가 시작되었다. 유적은 구석기시대의 동굴 2 곳(쌍굴, 연이굴), 신석기시대의 동굴 2 곳(공기2굴, 꽃 병굴) 그리고 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청동기시대까지 계속되는 동굴 2 곳 (피난굴, 매둔굴)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 유적들의 위치, 크기, 특징, 경관 고고학(Tophography)상의 해석을 통해 전체적인 강원도 지역의 동굴유적의 특징을 고찰하여 보았다. 유적들은 일반으로 해발고도가 200m 이상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연이굴은 740m의 높이에 자리한다. 굴의 규모는 대체로 작은 편이며 이 가운데 매둔동굴이 다소 큰 편이다. 출토유물의 많은 비율은 동물화석이지만 석기들도 확인되고 있으며 전체적의 총발견 유물의 량은 적은 편이다. 이러한 강원도 지역의 동굴유적들은 대체로 후기 갱신세의 늦은 시기 (MIS 3,2기) 또는 현세(MIS1기)에 점유된 유적들이 대부분이다. 각 유적들의 연대측정 자료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서 출토된 동물들의 양상이 이를 뒷받 침하여주고 있다. 이것은 이지역에서의 사람들의 점유가 구석기시대의 늦은 시기이후에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역시 지형학적인 입지조건과 많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직도 강원도의 석회암지대에는 조사되지 않은 동굴들이 많다. 그러므로 앞으로 이 강원도 지역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동굴유적의 연구와 고고학적 분석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질 때 더욱 이 지역의 선사시대의 동굴유적의 특징과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There are six prehistoric cave sites in Gangwon Province that have been systematically excavated, all of which began to be excavated after the 2000s. The Cave sites include two caves in the Paleolithic period (Ssanggul, Yeon-igul), two caves in the Neolithic period (Gonggi2gul, Kkotbyeonggul) and two caves (Pinangul, Maedungul) from the Paleolithic to Bronze Age. The location, size, and topography interpretations of each of these sites were used to exa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ave sites in Gangwon Province. The sites are generally located at an altitude of more than 200 meters above sea level, especially at a height of 740 meters at Yeon-igul. The scales of cave are generally small, and the Maedungul, among them, is rather large. Most of excavated remains are animal fossils and a small number of stone tools are also identified. Most of these cave sites in Gangwon Province are largely occupied in the late period of the Pleistocene (MIS 3,2 period) or the Holocene (MIS 1 period). This is supported by not only dating data of each cave, but also compositions of animals excavated in this area. This shows that the occupation of people in this area took place after the late period of the Paleolithic period, and it was also found to be highly related to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s. There are still many unexcavated caves in the limestone areas of Gangwon Province. Therefore, it need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xcavations of these cave sites and archeologic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When this work is done, the character of the prehistoric cave sites of this area will become clear.

      • KCI등재

        제주 곽지 사람들의 동물 이용에 대하여

        조태섭 ( Tae Sop Cho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科學 Vol.110 No.-

        이 글은 제주도 곽지 패총에서 출토된 동물 뼈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 사람들의 동물 이용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먼저 종의 분류를 하여본 결과 사슴, 노루, 소, 돼지, 말, 개, 오소리 등 7종의 동물이 분류되었다. 이 가운데 출토된 동물 뼈의 양과 출토 뼈대의 부위별 분포로 볼 때 당시 사람들이 주로 소비, 해체 등을 한 짐승들은 사슴, 소, 돼지 등으로 볼 수 있고 다른 짐승들은 출토유물의 수가 매우 적고 머리 뼈대 부위만 나오기 때문에 소비된 것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존재했었을 가능성이 높다. 최대뼈대수 분석에 있어서는 사슴의 뼈가 제일 많이 나오고 있어 사슴사냥이 활발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곳 곽지 유적이 형성되었던 7-9 세기에 이미 육지에서는 가축화된 짐승의 소비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 점에서 육지와 섬인 제주도와의 차이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이미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에 소비하는 동물자원들이 거의 대부분 가축화된 짐승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볼 때 제주도에서는 육지보다 오랫동안 사냥에 의해 동물자원을 수급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유적에서 바다사자나 돌고래 등 해양 포유류들의 부재도 특기만한 일이다. 선사시대에 섬이나 바닷가의 유적에서는 대부분 많이 찾아지는 이 바다짐승들이 보이지 않고 있다고 곽지 사람들이 바다자원을 이용하지 않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많은 조개와 굴 등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 점도 육지의 바닷가의 유적들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곽지 유적의 사람들은 짐승들을 도살하고 해체하는 과정에서 뼈에 여러가지 자국들을 남겼다. 화석환경학에서는 자른자국(Cut marks)으로 불리는 이 흔적을 통해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짐승 해체와 도살의 증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슴의 경우 출토되는 사슴의 뿔 6점 모두에게서 날카로운 금속제품(예: 칼)으로 잘린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의 경우에는 앞팔뼈, 손등뼈, 발등뼈 등 다양한 부위에서 이와 같은 자른 자국을 가진 유물들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특히 자국의 깊이와 두께 그리고 모습으로 볼 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짐승의 뼈를 처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곽지 패총은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존재한다. 이글에서는 이 유적에서 발굴된 세 지점의 결과만을 가지고 논의가 이루어 진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조사와 발굴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고 그렇게 할 때 기원후 7-9세기에 이곳 곽지 패총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동물 이용을 비롯한 삶의 양상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 analysed the animal remains from the Kwakji shellmidden site of Cheju Island and seven species of large mammals were identified. There are deer, row deer, cattle, pig, horse, dog and badger. With the exception of the badger, most of them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human kind. In order to clarify this, it is shown that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keletal parts of the animals reveals that three animals (deer, cow and pig) were mainly consumed. On the other hand, horse and dog appear to have only a few bones of the head area, which may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consumption, such as keeping the house or carrying something. The quantity of bones excavated from this site (Number of Identified SPecimens) is the deer that has been counted mostly. However, considering that this deer is a wild animal, and it is difficult to be domesticated, Kwakji people had to rely on hunting for the use of animal resources. This is the difference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the inland at this time. In the sites of the inland, since the Bronze Age, deer dependence is very low and stable livestock (cows, pigs, etc.) become main animal resources. Also we noticed the absence of bone fossils in mammals living in the sea. In the archeological sites near the sea of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there are many bones of marine animals such as sea lions and whales, which are not found here. That does not mean that we have not used sea resources. Because many shellfish have been excavated although not mentioned in this article. More research and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KwakJi people had left the traces on the bones of animal fossils during the butchering and dismembering. Through the taphonomic analysis of the bones , it was possible to identify cut marks on the deer and the cow, which were used to cut bones and horns and to slice flesh using knives and axes. These cut mar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ir thickness and depth.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various forms of butchering and dismembering of animals using the tools were carried out by Kwakji people. This KwakJi site is too large and Many parts remain unexplored. This study was made with only three small sites so far, so if more research is done in the future, we hope to find out more about the animal use patterns of the people who lived in Jeju Island about 7th and 9th century.

      • KCI등재

        동래 낙민동 유물로 본 철기시대 뼈연모의 제작방법

        조태섭(Cho, Tae-Sop)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2

        이 글은 선사시대 사람들이 동물의 뼈와 뿔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 쓰던 도구인 뼈연모(骨角器)의 제작 방법에 대한 고찰이다. 특히 철기시대 사람들의 제작방법을 동래 낙민동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관찰하고 분석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래로 선사시대의 뼈연모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유물의 분류와 종류에 대한 구분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모의 제작 방법에 대한 분석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먼저 각 시기별로 확인되는 뼈와 뿔을 깎고 다듬고 마름질하는 방법 즉 제작방법에 대한 분석들을 종합하여 보고 이를 철기시대의 유적인 동래 낙민동 패총에서 나온 유물들을 관찰하면서 얻어진 결과들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낙민동 유물가운데 가장 많이 마름질된 것은 사슴의 뿔과 뼈이다. 뿔들의 경우 매우 많이 이용되었는데 자르고 마름질하는 수법으로는 깎기, 켜기, 대고 때리기 등을 볼 수 있었으며 그 방법의 종류는 다양한 편이 아니었다. 뼈들은 특히 대롱부위가 곧은 손등뼈와 발등뼈를 많이 이용하였으며 주로 켜거나 깎아 원하는 부위를 잘라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성격은 앞선 시기의 다양한 동물의 뼈대를 이용하고 또 이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마름질하고 손질한 것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즉 철기시대 사람들의 동물의 뼈와 뿔 이용은 앞선 시기보다 훨씬 제한적이었으며, 이들을 가지고 도구를 만드는 방법도 다양하지 않고 큰 발전이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금속제의 강력한 마름질도구의 등장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he analyze of the prehistoric bone industry, which exploited the antler and the bone of animals. The bone tools have been used since the Palaeolithic period and they have diversified the tool types according to period. This implies that their manufacturing method should also modify following the time span. Since 1990, the analysis of the bone industries carried out seriously in Korea but it is focused mainly on the typology and classification. By the way the analysis 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ools remains marginal. In this manuscript, I synthesize the method of bone cutting and elaboration of the bone during the prehistoric period, then I made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material from the site of Nakmin-dong, which is attributed to the Iron Age. Among the bone remains in Nakmin-dong, the most utilized skeleton parts are the antlers and metapodes of deer. The use of deer’s antlers was very frequently and the techniques of cutting and trimming and put beating were noticed, but not various. The bones of deer, also, frequently utilized are metacarpal and metatarsal, which have long and straight parts of diaphysi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rehistoric periods, the Iron age people used the animal bones much narrower than the previous times, and did not have a great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the bone too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럽 후기구석기시대 여인상(비너스)을 통해 본 의생활

        조태섭(Tae-sop CHO) 한국구석기학회 2017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5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남긴 많은 예술품들 가운데 가장 완성도가 높고 아름다운 것으로 평가 받는 여인의 조각상(비너스)들 가운데 당시 사람들의 의생활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는 일단의 증거들을 고찰하였다. 먼저 머리 모습은 빌렌도르프, 브라썽푸이, 코스티엔키 그리고 그리말디의 여인상에서 모자와 같은 것을 만들어서 썼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또 돌니 베스토니체의 여인상은 머리를 타래모양으로 정리하여 단정하게 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구석기시대의 여인들은 머리에 모자를 쓰거나 단정히 손질하며 지냈을 것을 추정케 하여준다. 또 코스티엔키에서 출토된 두 여인상의 가슴부위에 나있는 띠모양의 줄들은 몸에 옷과 같은 것을 입고 지냈을 것을 볼 수 있고, 말타의 여인상은 전신에 걸친 옷의 흔적을 보여준다. 한편 레스퓌그의 여인상에서는 치마를 둘렀음을 보여주는 새김 장식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비너스에서 보이는 구석기시대의 여인들의 체형(몸매)은 우리가 지금까지 일상적으로 생각해온 과감한 돌출과 표현이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일반적인 몸매에 약간의 과장을 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과연 어떠한 생활방식을 가지며 어떻게 살아왔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은 아직 미지의 세계이다. 이러한 가운데 구석기시대의 여인상(비너스)에 표현된 여러 흔적들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의생활모습의 일단을 보면서 좀 더 실체적인 당시 사람들의 삶을 이해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aleolithic people not only made tools for everyday life, such as stone artifacts and bone tools, but also left a lot of artifacts showing their aesthetic qualities and techniques. This people painted or engraved on walls and cave walls, carved animal bones or stones. It seems that is the woman statue, so called the Paleolithic Venus that is highly praised as the most complete and beautiful ones among the Paleolithic artistic presentations. In this article, I would focus on the Paleolithic people s lifestyle with these Venus, which were engraved on the various styles. In the case of Willendorf, Brassempouy, Kostienki and Grimaldi, the head was carv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would be assumed that they put on something on the head, such as a hat. It seems that the Venus of the Dolni Vestonice tied up hair. It shows clearly that Paleolithic women would have to wear a hat on the head or to have hair decorations. The strips on the chest of two women excavated at Kostientki would be interpreted as the clothes. The statue from the Malta site was entirely covered her body with the clothes. We tend to consider that the Paleolithic Venus would have been idealized the physical shape of the Paleolithic women, but it turns out that they represent realistic body forms of the women of this time, with a little of an exaggeration. In fact, the Venus from the Eastern Europe shows many similarities with modern African women. This is also the need to revise the view that Venus is the origin of the ritual prosperity and fertility. It’s not easy to identify precise life styles of the Paleolithic people, but through the various traces expressed in the Paleolithic Women statues (Venus) would give a glimpse into the real life of the Paleolithic people, and one step closer to the understanding of their lives.

      • KCI등재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사냥기술과 방법

        조태섭(CHO Tae Sop) 한국구석기학회 201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5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자료의 한계 때문에 당시 사람들의 사냥과 채집 등의 결제활동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글에서는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남긴 예술작품과 그림을 통하여 당시의 생활상 특히 사냥에 관계된 생활모습을 알아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이 예술작품들이야말로 옛사람들의 생활과 정신 세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사냥의 대상, 방법 그리고 사냥의 기술을 고찰하여 보기로 한다. 19세기 중엽 이후로 유럽에서는 구석기시대의 많은 벽예술품들과 지닐예술품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예술품가운데 특히 동물사냥과 관계된 자료들을 이 글에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창을 맞아 부상당한 동물을 통해 사냥의 대상이 되었던 동물들을 알아보았다. 둘째, 벽화에 남겨진 여러 가지 도형, 문양 등을 통해 사냥하는 방법과 기술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물들과 함께 그려진 사냥꾼의 장면을 통해 사냥활동을 확인하여 볼 수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사냥장면은 사실적인 묘사뿐만 아니라 때로는 주술적, 신비적 요소까지 보여주고 있어 당시 사람들의 사상까지도 엿볼 수 있는 좋은 증거가 되고 있다. 비록 이글에서 논의되는 자료들이 수천, 수만의 많은 예술품가운데 극히 일부분이며 이에 따른 해석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접근을 통해 이들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사냥과 관계된 정신세계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사냥활동의 이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It would be difficult to prove the daily life of the Palaeolithic people because of limited data discovered on the Palaeolithic site. Palaeolithic arts would be a crucial clue for understanding the life style and the cognition of the Palaeolithic peop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ze their hunting target, methods and technics trough the Palaeolithic arts. Since the mid-19th century, many Palaeolithic cave arts and mobile art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in Europe. I classify these materials into 3 groups. The first group is wounded animal pictures and I interpret them as hunting target. The second group is geometric figures that have been shown in the Palaeolithic cave arts. It may provide the hunting method and techniques. The third one is human figure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animals. It would reveal the hunting activities. These figures are not only highly realistic but also very shamanistic and mysterious sometimes. It would be related to the cognition of the Palaeolithic people.

      • KCI등재

        우리나라 중부 내륙지방 신석기시대 동물상과 자연환경

        조태섭(Cho Tae Sop)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100

        이 글은 2008년과 09년에 국립춘천박물관을 중심으로 강원도 영월군 북면 공기 2굴에서 발굴한 동물화석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중부내륙지방의 동물상의 일단과 자연환경을 해석하여본 글이다.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내륙 깊숙이 자리한 공기 2굴은 신석기문화층이 주를 이루며 이 시기의 다양한 문화유물과 함께 많은 동물 뼈가 발굴되었다. 분석은 큰 젖먹이짐승(대형포유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박쥐, 쥐 등의 소형 포유류 유물은 현재 분석 작업 중이다. 총 6,036점의 큰젖먹이짐승뼈들은 먼저 뼈유물의 구성별, 크기별, 공간분포 등의 계량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공기 2굴 뼈유물들의 절반이상은 6cm 미만의 작은 것들이며 이렇게 작게 깨어진 뼈들을 변형시킨 주체로 볼 수 있는 사람의 생활공간은 동굴입구에서 10여m 들어간 굴의 안쪽으로 서벽쪽에 치우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분류 가능한 1,258점의 유물을 통하여 모두 19종에 이르는 동물들을 감정해낼 수 있었다. 종수로는 식육류가 곰, 호랑이, 삵, 늑대, 여우, 오소리, 너구리, 족제비, 수달 등 9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초식동물로는 우제목으로 소, 산양(소과), 사슴, 말사슴, 노루, 사향노루, 고라니(사슴과), 멧돼지(멧돼지과) 등 8종과 말 1종의 기제목이 확인되었으며 토끼가 1종(토끼목)이 밝혀졌다. 출토유물의 수에서는 사슴(40.3%), 멧돼지(20.6%), 말사슴(10.3%)의 순으로 나오고 있다. 이것을 통해 사슴의 점유율이 앞선 구석기시대에 비하면 많이 낮아짐을 볼 수 있고 사나운 멧돼지의 사냥이 늘어난 것, 험한 산악지대의 짐승(고라니, 산양)의 출현, 소와 말 등의 저평지대의 동물들의 존재는 당시 사람들의 사냥이 넓은 지역에 걸쳐 다양하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 동물상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개개의 동물들의 생태환경요소와 세노그람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당시 유적 주변의 환경이 숲이 발달하고 습한 환경의 온화한 기후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는 갱신세의 추운 빙하기가 끝나고, 현세로 들어오면서 온대성의 안정적인 기후로 접어드는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중부 내륙지방의 기후의 양상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the analysis of animal bones at Gonggi 2 cave which was been excavated during two years(2008~09) by Chuncheon National Museum.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r, Gonggi 2 cave reveals three different cultural layers and the Neolithic layer constitutes the most important part. With a variety of cultural relics such as potteries, polished stone tools, many animal bones have been unearthed. The current analysis of the bones is focussed to large mammals and the remains of small mammals will be treated later. A total of 6,036 bone remains of large animals are distributed, in first,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the size, spatial distribution etc. More than half of the bone remains of Gonggi 2 Cave are less than 6cm and these small broken bones are probably the result of human activity. And the living space in the cave is located inside of the cave : over 10m from the cave entrance, near the west wall. In the classification through 1,258 pieces of NISP, 19 kinds of animals could be determined. The most variant animals were Carnivores(bear, tiger, wolf, fox etc.), 8 species of Artiodactyla and 1 species of horse(Perissodactyla) were identified and one kind of rabbit have been found.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NISP reveals that the deer (40.3%), wild boar (20.6%) and red deer (10.3%) were dominant. Compared to the previous Paleolithic age, we can say that the importance of deer decrease in this period. The increase of wild boar, the presence of highland animals(hydropotes, goat) and low plains ones(cow, horse) would indicate developed and expanded hunt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iotope of each animal and Cenogramme distribution in this Gonggi 2 cave fauna, we could say that the environment of mid inland of korea, at that time, was a temperate climate and a humid environment with the developed forest.

      • KCI등재

        나노형상을 가진 표면플라즈몬공명 센서칩의 감도 개선 효과

        조용진 ( Yong Jin Cho ),김철진 ( Chul Jin Kim ),김남수 ( Nam Soo Kim ),김종태 ( Chong Tai Kim ),김태은 ( Tae Eun Kim ),김효섭 ( Hyo Sop Kim ),김재호 ( Jae Ho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1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센서는 굴절계 기기의 일종으로서 높은 감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비표지 방식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SPR 칩을 이용하여 시판 술 4종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재래식 SPR 칩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금 박막 위에 금으로 나노형상을 구축하여 나노형상 SPR 칩을 제조하여 모형 술에 대한 감도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재래식 SPR 칩을 이용하여 시판 술의 알코올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량선을 개발하였을 때 시료를 전처리 하지 않고 그대로 측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검량선을 얻을 수 있었다. 소주, 청주, 이과두주, 탁주 등 시판 술 4종에 대한 1차 회귀식의 검량식에서 결정계수는 각각 0.992, 0.933, 0.918, 그리고 0.984로 나타났다. 한편, 재래식 SPR 칩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나노형상 SPR 칩을 제조하기 위하여 Langmuir-Blodgett(LB)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십 nm 두께의 금 박막을 바닥층으로 하여 그 위에 나노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단분자 층으로 덮어 형틀을 제조하고 다시 그 위에 금을 증착한 후 실리카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나노형상을 갖는 SPR 칩을 제조하였다. 나노형상 SPR 칩의 성능을 평가하였을 때 20% 알코올 함량을 가지는 모형 술에 대해서 바닥층의 두께가 50 nm, 나노형상에서 골의 깊이가 20 nm, 나노형상의 배열주기가 300 nm일 때 SPR의 감도가 가장 좋아서 95%의 감도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SPR의 감도는 칩과 관련된 인자, 시료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측정 목적에 알맞은 칩의 설계와 선택이 요구된다.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which is utilized in thin film refractometry-based sensors has been concerned on measurement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quantities because of its high sensitivity and label-free feature. In this paper, an application of SPR to detection of alcohol content in wine and liquor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SPR sensor had high potential to evaluate alcohol content. Nevertheless, food industry may need SPR sensor with higher sensitivity. Herein, we introduced a nano-technique into fabrication of SPR chip to enhance SPR sensitivity. Using Langmuir-Blodgett (LB) method, gold film with nano-structured surface was devised. In order to make a new SPR chip, firstly, a single layer of nano-scaled silica particles adhered to plain surface of gold film. Thereafter, gold was deposited on the template by an e-beam evaporator. Finally, the nano-structured surface with basin-like shape was obtained after removing the silica particles by sonication. In this study, two types of silica particles, or 130 nm and 300 nm, were used as template beads and sensitivity of the new SPR chip was tested with ethanol solution, respectively. Applying the new developed SPR sensor to a model food of alcoholic beverage, the sensitivity showed improvement of 95% over the conventional 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