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초기 탐구에 대한 소고

        La Shure Charles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has long been a topic ofdiscussion in the West, but the modern examination of this relationship couldbe said to have begun in the 1960s. This paper examined some of therepresentative theories from British, Canadian, and American pioneers in thefield, in the hope of leading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theories. 1960 was a watershed year in the study of orality and literacy, as this wasthe year when Albert Lord published his The Singer of Tales. Carrying onthe academic tradition of Milman Parry, this study of Slavic oral epics and theirsingers gave the academic world the oral-formulaic theory. The paper nextexamined the research of the Canadian communication theorist MarshalMcLuhan, the American communication theorist and Jesuit priest Walter Ong,the British classicist Eric Havelock, the British social anthropologist JackGoody, and the British social anthropologist Ruth Finnegan. McLuhan argued that the transition from orality to literacy led to a changein the "ratio of the senses," from the auditory to the visual, and that this changealso led to drastic changes in humanity's way of thinking. He also claimedthat the evolution of media was not a smooth one but one in which newmedia obliterate old media; this idea of a "break" was one that characterized McLuhan's theories. Ong also believed that the evolution of media led tochanges in the way of thinking, but this evolution was not one of a "break"between the old and new so much as it was one in which the new reinforcesthe old. However, a look at his actual arguments shows that he felt it wasonly natural the old media should disappear to make way for the new media. His theories on "primary orality" (orality as it exists in cultures that have neverbeen exposed to written language) and "secondary orality" (orality as it existsin cultures that have been exposed to written language) were particularinfluential to future generations of scholars. Havelock, on the other hand, argued that at the time of Plato's writing ofThe Republic―centur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lphabet―orality wasstill the dominant mode, and he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between orality and literacy. Like McLuhan and Ong, he also believed thatchanges in media were related to changes in ways of thinking, but he insistedthat this process took quite some time. For his part, Goody showed howorality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rvation of social traditions through memoryand forgetfulness, while literacy is characterized by an historical consciousnessbased on an objective outlook on life, but he also argued that orality continuedto exist in literate societies. If there was a change to be seen in media, hebelieved (unlike McLuhan) that this change was a natural and organic one. Finnegan also denied what she termed "The Great Divide," and argued thatorality and literacy existed on a continuum. She also rejected the strong versionof technological determinism, which held that media alone were the catalystsof changes in human ways of thinking. 서양 학계에서는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해서 오랜 세월동안 논의되어 왔으나 현대 논의는 1960년대에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기 미국․캐나다․영국 학자들의대표적인 이론을 정리하여 이 분야에 기본이 되는 서양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현대 연구의 출발점을 설정하자면 로드의 The Singerof Tales가 출판된 1960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밀만 패리의 연구에 이어 슬라브 구비서사시를 연구하였으며 후대 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구전 정형어구 이론을 펼쳤다. 이어서 많은 학자들이 구술성과 기록성에 대해 논했는데 본고에서는 캐나다 정보이론학자였던맥루한, 미국 정보이론학자이자 예수회 신부였던 옹, 영국 구전학자였던 하베록, 영국 사회인류학자인 구디, 영국 사회인류학자인 피네간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맥루한은 구술성에서 기록성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인간의 감각을 사용하는 비율이 청각 위주에서 시각 위주로 변하였고 이 변화는 또한 인간의 사고방식에도 극단적인 변화를가져왔다고 했다. 그리고 맥루한의 이론의 특징 중에 하나는 ‘끊김’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매체의 진화가 부드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새로운 매체가 이전의 매체를 몰살한다는 주장이다. 옹도 매체의 진화가 사고방식에 변화를 가져온다고 믿었지만 그 진화는 ‘끊김’의 관계라기 보다 새로운 매체가 이전의 매체를 ‘보강’하는 것이라 주장했는데, 실제 논의에서는이전의 매체가 살아남지 않고 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다. 그가 특히 후대 학자들에게영향을 미친 개념은 문자가 없는 사회의 ‘일차적 구술성’과 문자가 있는 사회의 '이차적 구술성'이다. 반면 하베록은 알파벳이 도입된 지 수 백 년 후인 플라톤의 <공화국>이 저술된 시기에아직 구술성이 지배적이었다고 주장함으로써 구술성과 기록성의 공존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맥루한이나 옹처럼 매체의 변화가 사고방식의 변화와 연결된다고 생각했지만 그 과정이 오래 걸린다고 주장했다. 한편, 구디는 구술성이 기억과 망각으로 사회 전통을 지켰다면서 기록성은 객관성으로 인한 역사의식으로 특징지어지지만 기록적 사회에서 구술성이 지속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매체로 인한 변화가 있다면 맥루한의 주장과 달리 그것이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것이라고 했다. 피네간도 이른바 ‘대경계론’을 부정하여 구술성과 기록성이연속체와 같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인간의 사고방식 변화의 촉매가 매체라고 하는 강한 결정주의를 거부했다.

      • KCI등재
      • KCI등재

        구술성/기록성에 대한 미국의 최근 연구동향

        La Shure Charles 한국구비문학회 2015 口碑文學硏究 Vol.0 No.40

        This paper examined the arguments and theor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put forth in recent years by scholars working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s. First, a look was taken at the new understanding of orality and literacy, and it was found that “literacy” is no longer used to refer to an attribute, but is instead used to refer to an ability, and that ability is not limited to the written word. “Orality,” on the other hand, is still used to refer to an attribute, but its use is almost entirely limited to indigenous studies. Of course, there are scholars who still make men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but it has become the norm to discuss new media instead. Prior to defining new medi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media is, but this proved no simple matter. It has generally been understoo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them is unclear. Some scholars argue that medium and technology are one and the same, while others distinguish between media and delivery technologies. With media itself being this difficult to define, it is no wonder that new media is difficult to grasp. Some scholars chose, in lieu of a definition, to list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such as interactivity, numerical representation, and modularity, while others sought to correct misconceptions regarding new media, such as the widespread misunderstanding of what exactly “convergence” is. As fa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and new media goes, however—with the exception of a few scholars who cling to Marshall McLuhan’s idea of a “break” between media and argue that new media devour old media—the generally tendency seems to be to perceive the relationship as a continuum. After thus inquiring into the nature of new media, the significance of new media for folklore studies was investigated. After the new media revolution, films such as The Truman Show and The Matrix were examples of the fascination society had with simulations and raising doubts about reality. This led in turn to the discourse of disembodiment, in which the mind operates separately from the body. Of course, this claim is little more than substance dualism, but in its own way it has an effect on folklore studies. That is, folklore has traditionally assumed face-to-face communication, but in the internet era such communication has decreased. With this realization, there were those in the field who called for a widening of the scope of folklore studies, while others argued that the very idea of “face-to-face communication” needed to be redefined. Ultimately, the critical question became whether the internet was merely a conduit of folklore or a place where folklore was created anew. At first, the internet was perceived by many as simply a conduit, but recently more and more scholars are seeing it as a source of folklore as well. Among these scholars and their ideas, Jenkins’ “participatory culture,” Lessig’s “remix culture,” and Howard’s “vernacular web” offer implications for folklore research in Korea. 본고는 최근 미국 학계를 위주로 활동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대한 주장과 이론을 살펴보았다. 구술성과 기록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부터 검토했는데‘literacy’는 더 이상 ‘기록성’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속성을 가리키기보다는 능력을 의미하는데 그것도 단순히 문자와 관련된 것도 아니다. ‘Orality’는여전히 ‘구술성’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토착문화 연구에 국한된 용어다. 물론 기록성과 구술성의 관계를 언급하는 학자들도 있지만 소위 뉴미디어(新매체)를 논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뉴미디어를 정의하기 전에 미디어 그 자체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데 그 답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대체로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매체와 거기에 해당되는 기술적 형태의 관계가 분명하지 않다. 어떤 학자는 매체가 바로 기술이라고주장하는 한편 다른 학자는 매체와 전달기술을 구별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를 정의하는 것도 이렇게 어렵기에 뉴미디어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사실은 당연하다. 정의를 내리는 대신에 어떤 학자들은 상호작용성, 수적 재현 가능성, 모듈성 등과 같은 뉴미디어의특징을 열거하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융합에 대한 과대 해석 등 뉴미디어의 오해를 바로잡는 데에 힘쓰기도 했다. 그런데 舊매체와 新매체의 관계에 대해서는 20세기 맥루한이 주장했던 ‘끊김’을 고수하면서 新매체가 舊매체를 삼켜버린다고 하는 소수의 학자들을 제외하면 그 관계가 연속체라는 의견이 대세인 것 같다. 이렇게 뉴미디어를 모색한 후 뉴미디어가 구비문학에 있어서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뉴미디어 혁명 이후로 트루먼쇼나매트릭스와 같은 영화에서 볼 수 있듯이 현실을 의심하는 것과 시뮬레이션에 매료되는 것이 사회적인 특징이 되었다. 심지어 몸과 분리된 마음의 작용을 논하는 육체 이탈 담론이 대두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이 주장은 실체이원론과 다름이 없지만 구비문학에 나름 영향을 끼친 개념이다. 즉, 구비문학은 전통적으로 대면하는 소통 상황을 전제하는데 뉴미디어와 인터넷 시대에는 그런 상황이 줄어들었다. 이 사실이 인식되면서 구비문학의 폭을 넓히자는 목소리와 ‘대면성’을 재고하자는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결국엔 뉴미디어의 본고장인 인터넷을 구비문학의 경로일 뿐인가아니면 구비문학의 현장으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한 질문이 되었다. 초기에는 경로로만 인식되었지만 최근 들어 현장으로 인식하는 학자가 많아지는 듯하다. 그 중에 젠켄스의‘참여 문화’, 레시그의 ‘리믹스 문화’, 하워드의 ‘버내큘러 웹’은 한국 구비문학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AHCISCOPUSKCI등재

        THE CLASH OF CULTURES IN KIM NAMCH’ŎN’S SCENES FROM THE ENLIGHTENMENT

        CHARLES LA SHURE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6 Acta Koreana Vol.19 No.2

        Kim Namch’ŏn’s 1939 novel of manners, Taeha (Scenes from the Enlightenment), offers a snapshot of Korea at a crucial point in its modern history,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own in which the novel takes place is an ideological battleground as old clashes with new. In terms of the social order, the old guard of the yangban aristocrats clings desperately to the last threads of its status and prestige, but the yangban must u ltimately a dmit d efeat a nd m ake w ay f or t he r ise o f t he c apitalist. Ideologically as well, different philosophies clash, with traditional shamanism and superstitions being denounced by the new enlightenment thinkers and Christian proselytizers. Yet there is one clash that the author deals with only in the subtlest of terms: the clash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the Japanese colonizers. Although this has been seen as a weakness in the novel’s historical consciousness, Kim Namch’ŏn’s depictions of the clashes between old and new cultures are nuanced; neither side is portrayed as being wholly right and effective. While it i s clear that the new is winning out over the old, the picture that we are left with is not a stark black-and-white image but a much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is tumultuous transitional period.

      • KCI등재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Cultural Vehicle or Literary Art?

        Charles La Shure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0 통번역학연구 Vol.14 No.1

        문학번역은 번역가의 목적과 접근방법에 따라서 결과물이 달라진다. 이런 목적과 접근방법에는 두 가지 경향이 있는데 하나는 원문의 언어와 문화적 내용을 중시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도착어와 문화를 중시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번역은 이 두 가지의 극단 사이에 있다. 본 논문은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1936)과 황순원의 학(1953)에 대한 영문번역 각 6편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문학번역에 있어서 어느 쪽으로 기울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한국문학 번역과 독자층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본다. 12편의 번역에서 다루는 문화적인 용어나 특정한 출발어 표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편으로는 출발어 단어와 표현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오역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직역이나 도착어 독자에게 아무 의미 없는 글자번역(transliteration)을 초래했다는 것을 밝혔다. 다른 한편으로는 매끄러운 도착어 텍스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출발어 단어나 표현을 무시하는 경향이 가끔 보였는데 이는 원문의 예술성의 상실을 초래했다는 것을 밝혔다. 검토 대상에서는 두 가지의 경향이 모두 보이기는 하지만 전자의 경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고의 검토대상이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거의 40년을 걸쳐 이루어진 이 12편은 한국문학 번역의 전반적인 경향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출발어에 집착하는 경향이 지속되면 한국문학 번역이 한국 문화를 공부하는 학생에게 교과서 역할을 할지도 모르겠지만 예술 작품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한국문학 번역을 즐기는 독자층의 확대를 위해서는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고 보다 균형적인 번역을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Reimagining Traditio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in Modern Korean Film

        La Shure Charles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Acta Koreana Vol.16 No.2

        Korean filmmakers have always sought inspiration in Korea’s long literary tradition. This article compares three recent films—Shin Han-sol’s Karujigi (2008). Kim Dae-woo’s Pangja-jŏn (2010), and Choi Dong-hoon’s Chŏn Uch’i (2009)—with their inspirations from premodern Korean literature and examines how these traditions have been reimagined for modern Korean audiences. Karujigi retains one of the main characters of the original, Pyŏn Kangsoe, but replaces his female counterpart with a much more demure and innocent love interest. The film is notable for its inversion of gender roles, but it focuses solely on the first half of the original work, and so much has been lost thematically from the original work that it is almost unrecognizable. Pangja-jŏn takes Korea’s most famous love story, the tale of Ch’unhyang, and puts forth the servant instead of the master as Ch’unhyang’s lover. As a result, the idealism of the original is replaced by a more cynical and realistic depiction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a depiction that is perhaps more suited to a modern audience. Chŏn Uch’i is the most faithful to the themes and ideals of its in-spiration. Through magic and wizardry, it brings its premodern characters into modern Seoul, showing that, in fact, some things never change, and some themes and principles stand the test of time. The tactics adopted by these writer/directors met with varying degrees of success at the box office, but they show that interest in Korea’s literary traditions is still alive and well in Korean film.

      • KCI등재
      • KCI등재

        트릭스터의 역사적 기능– 꾀쟁이 하인 설화 중심으로

        La Shure Charles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function of the trickster figure and the tales in which he appears. In particular, it attempted to provid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y seemingly negative tales were continuously handed down when they ran afoul of the ethical and moral value systems supported by the social order. It was in part a reaction to Jonathan Gotschall’s claim in The Storytelling Animal that narrative plays a morally supportive role, and in part an attempt to com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rickster tale. I first discussed scholarly opinions in the West on the trickster’s dual or ambiguous nature and then introduced the concept of liminality as the trickster’s defining feature. This was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trickster’s practicality, an examination that dealt with the question of what sort of evolutionary practicality could trickster tales have if they did not reinforce moral values and thereby also reinforce the social order. Native American tricksters and the Scandinavian trickster deity Loki were offered as examples, but the main focus of the discussion was the Korean tale of the clever servant who deceived his master. This tale can be seen as one that deals with class conflict, but there are other victim’s of the servant’s wiles besides the master: lower-class characters such as a common woman and a passerby down on his luck. This shows that the trickster here is not a lower-class hero who defies his upper-class master, but a liminal figure who seeks to bring down the entire social structure. This desire is an expression of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only possible to create a new world once the old world has been torn down. Finally, I also examined in brief some recorded tales and a novel that deal with the same themes and characters, showing how the trickster may be imag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uthor’s social values. Ultimately, the strong opposition to the social structure seen in tricksters in oral tales like that of the clever servant is a result of the historical function they play as pathfinders to the creation of a new world. 이 연구는 트릭스터라는 인물과 그 인물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트릭스터담의 역사적인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특히 사회체제가 지지하는 도덕적·윤리적 가치관에 어긋난 경우에는 얼핏 보면 부정적인 이야기가 왜 계속해서 계승이 되었느냐는 물음에 답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갓셜이 <스토리텔링 애니멀>에서 서사가 도덕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에 대한 반응이며 트릭스터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추구하려는 모색이기도 하다. 먼저 트릭스터의 이중적인 성격과 씨름한 서양 학자들의 의견을 간략히 소개한 후에 경계성을 트릭스터의 기본적인 특징을 삼았다. 이어서 트릭스터의 실용성을 살펴보았는데 도덕적인 가치관을 강화함으로써 사회체제를 강화하는 기능을 하지 않는다면 어떤 진화론적인 실용성이 있을까 하는 질문을 다루었다. 북미원주민 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와 스칸디나비아 신화에서 등장하는 트릭스터 신을 예로 들었는데 주 연구 대상은 한국의 상전을 속이는 꾀쟁이 하인이었다. 이 설화는 반상갈등을 다룬 이야기로 볼 수도 있지만 상전 이외에도 하인이 여자나 불쌍한 행인과 같이 지위가 낮은 사람들까지 속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볼 때 트릭스터는 하층 영웅으로서 상층에 대해 반항하는 인물이 아니라 사회구조 전체를 무너뜨리려는 경계적인 인물로 파악된다. 이는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려면 먼저 기존 세상을 없애야 가능하다는 인식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비설화와 같은 주제나 인물을 다루는 기록문학을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저자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서 트릭스터가 다르게 형상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결국 꾀쟁인 하인과 같이 구비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는 반사회구조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새로운 창조의 길잡이라는 역사적 기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