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古地圖에 표현된 東海 地名

        양보경(Bo Kyung Y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1

        This article is to review old Korean maps produced in Chosun dynasty prior to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in 1910 and see how the East Sea, a sea surrounded by the countries Korea, japan, Russia, and China, is described in them. There are many old Korean maps included in the Upchis(邑誌, chorographic records by county) and other general books as well. However, this article will concentrate only on the old maps produced exclusively as a map. Due to the invasions by China in the 13th century, japan in the 16th century, and twice by the Ching Dynasty in the mid 17th centuries limited the number of old maps remaining to date. As most of these existing old Korean maps were produced after the 17th century. The East Sea in these in Chosun dynasty maps are presented in one of the following 8 ways. First, the East Sea appears in the map but without a place name, this type of documentation appears in the greatest number of maps. Second, there is only a direction mentioned as 'East' in the empty space of the sea on these maps. As it has no specific place name, it can be categorized as being similar to the first type of representation in the maps. Third, the maps, where the East Sea is described as Taehae (大海, great sea)', 'Hae (海, sea)', Tongjo Taehae (東抵大海, easttoward great sea)', or 'Tongjop Taehae (東接大海, east adjoining great sea). These types of maps comprise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maps. Fourth are the maps, where the East Sea is clearly mentioned as 'Tonghae (東海, East Sea)'. On the fifth type of map, 'Tonghae' is written on the land, not in the space of the sea. Sixth, these maps describe the sea as 'Taehanhae (大韓海, Great Korean Sea)'. Seventh, these maps describe the sea as 'the Sea of japan' (日本海). Eighth, these maps have unique traditional names such as 'Changhae Uum, a blue expanse of water; Blue Sea)', and 'Tongyanghae (東洋海, the Oriental Sea), As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maps have no specific place names,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nalysis of this paper, and the analysis will be from the third through the eighth types of maps. After the 18th century, maps with the East sea mentioned as 'Tonghae' increased tremendously both in number and category. In almost all types of Korean old maps including world maps, general maps, provincial maps, and kun-hyon(county) maps there appears 'Tonghae (East sea), In particular, in terms of map maker, the government mostly produces the maps referring to the East Sea as Tonghae. As time goes by, a growing number of maps described the East Sea as 'Tonghae.' Beside, though small in number, it is noteworthy that they refer to the East Sea as blue sea, 'oriental sea', 'great Korea Sea'

      • KCI등재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소장 한국본 고지도 연구

        양보경(Bo-Kyung Ya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일본 최대의 한국본 고서 소장 도서관 중의 하나인 동양문고에는 풍부한 지리 관련 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지리지(地理志)의 편찬과 개선방안을 기록한 『기인한상량 杞人間商量』을 비롯해 다수의 군현읍지들, 조선 후기 도로와 유통의 발달을 반영한 도로망을 기록한 『해동도리표』 등 다양한 조선시대의 지리 자료들이 소장되어 있다. 동양문고 소장 지도와 지리지 중에는 한국에 소장본이 확인되지 않은 유일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중요한 지리학적 가치를 지닌다. 특히 지도 중에는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6종을 비롯해 매우 중요한 고지도들이 소장되어 있다.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의 소장인이 찍힌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 『수선전도』, 시데하라 다이라(幣原坦) 소장본이었던 20리 방안지도인 『강역전도』와 10리 방안지도인 『동여도』, 정상기의 『동국지도』 유형의 매우 훌륭한 팔도의 도별 지도인 『근구팔역 槿邱八幅』, 해주신본 계열의 『좌해지도 左海地圖』, 특히 함경도와 평안도의 병마절도사를 지낸 이삼(李森)의 서문이 기록된 북방 국경지역 지도인 『관북지도 關北地圖』 등은 조선의 지도 중 역사적 가치를 지니는 자료를 선별하는 안목을 지닌 수집가에 의해 소장된 자료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들로서, 한국의 지도학 발달사를 보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The Toyo Bunko (東洋文庫) in Tokyo, Japan is one of the largest library that holds the Korean old geographical documents. About 200 topographie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cluding Giinhansangnyang 杞人間商量 which recorded compil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geographical annals belong to it. Several maps and geographical annals of Joseon Period possessed in the Toyo Bunko are set high values on geography since the materials are only belong to it and have not yet been found in Korea. There are very important map collections including six copies of Daedongyeojido 大東輿地圖(1861, 1864) by Kim Jeongho(金正浩) and Suseonjeondo 首善全圖 by Kim, Jungho, collectible stamp of Maema Kyosaku(前間恭作) is imprinted on it, and Gangyeokjundo 疆域全圖 and Dongyeodo 東輿圖 which made with 20-ri and 10-ri grid, owned by Sidehara Daira(幣原坦). Especially Gwanbukjido 關北地圖 which is the northern border map recorded the Lee Sam’s(李森) preface who served as a military official of Hamgyeong and Pyeongan Province in early 18th century. These maps and some other maps have a historical value to supplement of the history of Korean Cartography.

      • KCI등재

        [논문] 경상북도 永川邑城의 空間構造와 그 變化

        양보경(Bo-Kyung Yang),민경이(Kyung-I Mi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4 문화 역사 지리 Vol.16 No.3

        영천읍성은 1591년 군수 元土容이 행정 군사적 목적으로 신축하였으며, 평지와 산지의 지형적 특성을 살린 方形의 平山城이었다. 읍성의 공간구조는 성외 남쪽의 성황단과 성내의 문묘를 제외하면 대체로 조선시대 일반적인 읍성 공간배치에 따르고 있다. 중심시설인 객사와 동헌은 十字形 도로의 교차점과 성내 상부에 자리하여 중심성과 위계성을 동시에 갖추었다. 의례시설인 사직단과 여제단은 城外 마현산 자락 서쪽과 북쪽에 각각 위치하였으며, 그의 창고 및 상업시설은 성 안팎으로 고루 분포하였다. 읍성은 일제강점기에 급속히 파괴되고, 성내 13개 洞里가 창구, 과전, 문내, 문외, 교촌, 성내의 6개 등으로 통합되었다. 성내 공간구조의 변화에는 새로운 도시설비와 도로의 건설이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성내를 관통하는 영천-청송 간 3등도로에 의해 객사가 양분되었고, 기존의 전통적인 十字形 도로가 축소되면서 대구 -경주간 2등도로와 동해중부선 철도가 교통의 중심축으로 부상하였다. 객사와 동헌의 파괴는 성내공간의 중심성과 역사성이 궤멸되는 순간이었다. 외압에 의해 영천읍성의 전통적 공간이 해체되는 가운데 식민지 수탈과 통치를 위한 행정시설 및 도로망이 확충되었으며, 상공업 가능이 강화되는 변화가 이어졌다. Eupseongs(castle counties) used to represent the traditional town landscape,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store Yeongcheon-eup to Its original shape This essay in particular reviews how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astle county chang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square Yeongcheon castle was built in the 1591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upsong is in accordance with the typical arrangement of Eupsongs during the Joseon period In addition, roads were built inside the castle in a typical cross-shape Yeongcheon-eupsong went through major changes during the Japanes colonial period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 roads and various facilities The gaeksa, which used to be a central feature of eupseong, was destroyed and the existing crossroads have been reduced giving way to the newly established roads and rad way The dongheon was used as a county office and new buildings of police stations and post box were built inside the castle for efficient colonial control and administ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