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Electoral Campaign Finance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Washington, D.C., Virginia, and Maryland in the 2000 US General Election

        도수,Jiamin Wa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1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 No.21

        This study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to investigate the nature, basis, and strength of linkages among major political action committees for both Democratic and Republican parties in the United States. Using campaign finance data from the 2000 general election, and focusing on races in Washington, DC, Virginia, and Maryland, the paper measures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PACs, identifies the most potent PACs in terms of network centrality and coreness, and identifies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donor networks associated with each party, providing insights into party performance. Consistent with anecdotal evidence, the liberal networks associated with the Democratic Party held some of the most powerful political action committees (e.g. AFL-CIO, National Abortion and Reproductive Rights Action League), but were characterized by weaker relationships and greater divisiveness than the conservative networks. This likely represents the disparat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references of the members and candidates of this network. In contrast, the conservative networks associated with the Republican Party had both powerful PACs (e.g. National Right to Life, National Rifle Association Political Victory Fund) and extensive interrelationships among its groups. While the liberal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largely-disconnected clusters of PACs, the conservative movement is highly centralized, and apparently more effective at uniting disparate groups and coordinating its donors. Not surprisingly, inter-party networks and cooperation were scant. The next step in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2000 general election to the 2004 and 2008 general elections, exploring whether unification occurred within the liberal movement prior to the 2008 general election, possibly accounting for Democrats’ victory in that election.

      • KCI등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배분적 형평성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지역 수준의 소득불평등을 중심으로

        도수 대한지방자치학회 202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양자 간의 상 호작용이 각각 지역 수준의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불평등 측면에서 배분적 형평성 수준을 나타내는 다양한 측정지표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각 측정지 표에 따라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작용이 각각 지역 수준 의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였 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차원적인 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사회자본 변수는 지니계수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정도를 완화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은 대체로 지역의 상대소득지수나 지역별 1인당 GRDP 격차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수준 완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였 을 경우에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은 대체로 지역의 지니계수나 소득 10분위배율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수준 완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 의 핵심적인 하위 구성요소들을 보다 세분화하여 일반적 신뢰, 제도적 신뢰, 소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적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사회규범(시민의식) 변수들을 회귀분석에 활 용하였을 경우 이들 변수들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 변수와의 상호작용 변수들이 지니계수, 상대소득지수, 소득 10분위배율, 지역별 1인당 GRDP 격차로 측정된 지역의 배 분적 형평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배분적 형평성 측정지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 준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작용 관계가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는 사회자본 개념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하위구성요소와 다양한 배분적 형평성 측정지표 들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둔 소득불평등 측면뿐만 아니라 향후 배분적 형평성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과의 연계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최근 사회적경제 영역의 확대 속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그에 따른 경제적 성과의 형평성 있는 배분 을 위해 사회자본 개념의 긍정적 기능과 역할을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in South Korea. By using various measures of distributional equity such as Gini index, relative income index, 10% income decile ratio, and GRDP per capita gap in terms of income inequality,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promoting distributional equity and estimates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Results from panel regression (fixed-effect and random-effect) models indicate that multidimension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measured by Gini index. Empirical results show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s contributable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measured by relative income index and GRDP per capita gap. When various interaction terms between core construct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generalized trust and institutional trust), social network (passive membership and active membership), and civic norm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are included in empirical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interaction terms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depend on measures of distributional equity such as Gini index, relative income index, 10% income decile ratio, and GRDP per capita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olicy that focuses on instruments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Thus, governments of each region need to make efforts to promote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because they can be contributable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dimensions of regional inequality as well as regional income inequality needs to be considere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distributional equity in the knowledge economy. Finally, the positive role of social capital in distributional equity needs to be explored in detail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제조업체 구성원들의 직무능력개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도수관(Soogwan Doh)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5

        이 연구는 지역 중소·중견 제조업체의 직무능력개발 지원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지방정부가 지역 중소·중견 제조업체 구성원들의 직무능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지방정부의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중소·중견 제조업체 구성원들의 직무능력개발을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적 지원방안으로 찾아가는 직무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직무능력 향상 교육훈련 프로그램 무상 지원, 업종별 수요 맞춤형 E-Learning 콘텐츠 개발 및 지원, 직무 관련성이 높은 자격증 취득 지원 및 교육비 지원금 확대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외에도 지방정부가 지역의 중소·중견 제조업체 구성원들의 직무능력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status of support for job competency development of local manufacturing SME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 policies needed to support the job competency development of employees of local manufacturing SMEs. Mai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operation of onsite job training programs, free support for employment skills development programs using nearby university campuses, and developing and delivering E-Learning content tailored to the needs of each manufacturing SME, support for obtaining a highly job-related certificate, and expansion of subsidies for education expenses for obtaining the certificate as the local government support policies. In addition to these local government support policies, various alternatives can be considered by each local government to support the job competency development of employees of local manufacturing SMEs.

      • KCI우수등재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고용창출간의 관계 분석: 2007~2011년 인증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도수,박경하 한국행정학회 2014 韓國行政學報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재정지원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인증 사회적기업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에 대한 다양한 외부지원금이 사회적기업의 일자리사업 참여자수, 자체 근로자수, 일자리사업 참여자와 자체 근로자수의 총합, 취약계층 추가 고용수, 일반인 추가 고용수 등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일자리사업 참여자수와 자체 근로자수를 합한 총고용 증가에 다양한 유형의 외부지원금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자리사업 참여자수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타 부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금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체 근로자 고용 증대에 있어서는 지방자치단체, 타 기업 후원,모기관, 일반기부 등에 의한 지원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일자리사업 참여자수 증대뿐만 아니라 자체 근로자수 증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사회적기업의 고용 증대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사회적기업이 처한 상황이나 조건, 지역 특성 등을 좀 더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사회적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더 강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기업이 일자리사업이나 자체 고용을 통한 고용 창출에 추가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취약계층과 일반인에 대한 추가 고용을 늘리는 데에는 타 기업의 후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비즈니스 동반자로서 타 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은 사회적기업이 추가적인 고용을 통해 기업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는데 매우 긍정적인 요소임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향후 사회적기업들은 외부 기업들로부터 필요한 지원을 제공받음으로써 자체 경쟁력을 갖추고,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기업활동을 영위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시장에서 성공적인 기업활동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공유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들과의 네트워킹 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회적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서비스와 후원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KCI우수등재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

        도수,장덕희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a cross-section of countries. To build empirical models for explaining varia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across countri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development. It is shown that countrie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exhibit higher economic development as measured by GDP per capita. It is also shown that countries with high levels of both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exhibit higher economic development.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depends on social entrepreneurship, as measured by nascent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Finally, the import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in explaining the vari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cross countries sheds light on the social capital theories of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country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본 연구는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사회자본 수준과 사회적 기업 가정신 발휘 수준의 관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라 개별 국가들의 경제발전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좀 더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먼저 사회자본,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경제발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의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개발한 다음 이를 본 연구의 분석에 활용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론자들이 주장하는 바와 같이 사회자본 개념은 기존의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다양한 개념들과 마찬가지로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에 따라 사회자본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향후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좀 더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개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자본 수준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이 모두 높은 유형에 속하는 국가들은 경제발전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경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이 의미 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경제발전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Impact of Human and Social Capital on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도수 한국정부학회 2011 한국행정논집 Vol.23 No.1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at the country level. To measure the level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f each country, the author uses the data from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and the World Values Survey.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studies, this study produce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dicators. The human capital indicator consists of life expectancy, educational attainment, and standard of living. The social capital indicator consists of (generalized and institutional) trust, associational activities (passive and active membership), and norms of civic behavior. After testing several models with time lag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innovation and between human and social capital and economic performance at the country level across 49 different countries. This implies that human and social capital would be drivers of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of each country.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ood evidence of the positive contribution of human and social capital to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of each country. This is also in line with most previous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roles of human capital in innova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

        사회자본과 지식공유의 관계 분석: 대구·경북지역 보육교사들의 사회자본적 속성을 중심으로

        도수,김경민,문성호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과 그들의 지식공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육교사는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의 수준이 평균적으로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보육교사의 사회자본적 속성이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사회자본적 속성은 지식공유 의도, 기여, 수용, 축적 등 지식공유 개념을 구성하는 하위개념 각각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연구의 분석결과들은 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이 보육교사의 보육과 관련된지식을 공유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보육교사의 지식공동체 구축과 전문성 향상 등 효율적인 어린이집 운영을 위한 지식경영에도 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사회자본적 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f child care teachers and knowledge sharing by the child care teachers. To build empirical models for explaining variations in knowledge sharing by the child care teacher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sharing. It is shown that child care teachers think that they have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It is also shown that child care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social capital exhibit higher knowledge sharing consisting of intention, contribution, acceptance,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sharing.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social capital of child care teacher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ir knowledge sharing in the area of child care services. Results of this study also imply that social capital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child 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s improvement of specialty in child-care institutions.

      • KCI등재

        학습환경과 개인변인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 영향분석

        도수정(Soo Jung Do),박춘성(Choon Sung Park)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iversity classroom environment and develop a classroom model to promote creative competen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case studies on spaces in education and creative working places,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that foster creative competenc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expert content validity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niversity classroom standards for a creative environment that include size, structure, arrangement, the color of the wall, and lighting. Furthermore, the classroom environment should express autonomy, sociability, flexibility, and diversity through arrangement. The creative compet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 should improve in various ways, including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curiosity, task commitment, and problem-solving leadership. Therefore, establishing a university classroom encompassing these elements, arrangement, colors and creating differentiated spaces according to the area of study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및 2020년 A대학교 대학생 중에서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 경험, 대학환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9년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450명, 2020년 온라인 학습환경은 454명으로, 총 904명을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학번을 기준으로 2019년과 2020년에 응답한 대상을 추출하여 총 66명의 동일 대상을 확보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환경별 학습참여에서 오프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온라인 학습환경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습참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계열에 따라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환경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비교해봤을 때, 이질집단 및 동질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오프라인 학습환경이 온라인 학습환경보다 학습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온라인 학습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