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중 외부공간에 다양한 요소들이 도입되어 공간적 개념을 가지고 만들어진 87개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의 특성, 기념조각의 특성, 그리고 표현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트남전쟁 메모리얼 85개소(97.7%)에서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국가를 위한 헌신이 강조되었고, 84개소(96.6%)에서 지역 부대 집단의 명예를 고양하는 것이 기본적 설계개념으로 적용되었다. 2. 메모리얼의 공간적 형태는 59개소(67.8%)에서 원형이나 축적 구성을 통하여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이 추구되었고, 11개소(12.6%)에서 넓은 부지에 다양한 도입요소나 대지조형을 통하여 공간이 구성되었으며, 기념벽을 주요소로 한 것도 12개소(13.8%)에서 나타났다. 3.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주로 기념벽이 사용된 곳이 65개소(74.7%)였고, 대부분의 메모리얼에서 다른 전쟁메모리얼처럼 국가 및 지역, 부대의 명예 고양을 위해 기와 엠블렘이 사용되었다. 이 밖에 빈 의자, 기념비나 마커, 기둥 및 열주, 폰드 및 수로, 헬리콥터 등이 일부 메모리얼에 도입되었다. 4. 메모리얼에서는 V자형 검은색 기념벽을 자주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념조각은 상대적으로 적은 21개소(24.1%)에서 도입되었다. 이 중에서 승리를 고무하는 영웅적인 전투 장면보다는 병사상이나 부상 장면을 묘사한 사실적 조각이 16개소(18.4%)로 대부분이었고, 일부에서 추상조각 및 은유조각이 사용되었다. 5. 전사자 및 실종자 등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기념벽에 전사자 및 실종자 이름을 새기거나, 일부에서는 전사자 및 실종자의 사진 및 추모시를 음각하였고, 'DUTY, HONOR, COUNTRY'와 같은 상징적 문구를 적었으며, 전쟁으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전쟁포로 및 실종자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MIA/POW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6. 미국에서는 기념벽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여 전사자 실종자 참전군인의 이름을 새기고, 성조기 부대기 주기 등을 게양하며, 'ALL GAVE SOME, SOME GAVE ALL' 및 'DUTY, HONOR, COUNTRY'를 자주 표현하여 희생자를 추모하고, 명예를 고양하는 민주주의적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 반면, 베트남에서는 전쟁승리 및 민족 저항정신을 강조하였고, 사회주의의 대표적 양식인 기념조각 및 기념탑을 자주 사용하였으며, '조국은 당신을 기억한다'는 의미의 'TO-QUOC-GHI-CONG(토-국-기-공(土-國-記-功))'을 새기어, 민족주의, 사회주의, 애국주의를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향후 베트남 및 미국 이외에 베트남전쟁 참전국인 한국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국가적 기념성에 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Vietnam War Memorials(VWM) in the United States(VWMUS). Through site survey and internet research, the researcher selected 87 VWMUS except monuments simply with markers, and analyzed 5 analysis items: design concepts, spatial characteristics, landscape details, sculptures, and interpretive texts and symb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of VWMUS were to cherish victims of the Vietnam War(85 sites (97.7%)), show veteran's dedication for country(85 sites(97.7%)), and publicize the contribution of groups by troop, regional, and membership(84 sites(96.6%)). 2. Most VWMUS were located in memorial parks and plazas. 59 memorials(67.8%) were designed to pursue the completion of each memorial assuming the form of symmetry and circles. On the other hand, 12 memorials(13.8%) were typed memorial walls and 11 memorials(12.6%) were formed by spatial sequence including various landscape details and grading. 3. Stone walls were mainly used to cherish victims of the War at 65 memorials(74.7%), and also, Flags like the Stars and Stripes, POW MIA flags, and state flags were hoisted to symbolize memorial's identity at all memorials. Additionally, Benches, monuments, markers, posts and columns, ponds and channels, Helicopters were partially introduced some memorials. 4. Sculptures were used 21 memorials(24.1%) which were smaller in numbers than other War Memorial in the U.S.A., for black stonewall were used for the main element of VWMUS. Except for a few sculptures that aimed to represent the Vietnam War symbolically and narratively, 16 memorials(18.4%) were form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image of wounded soldiers and their hardship in the Vietnam War. 5. KIA, MIA, Veteran's name were written and their images depicted on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were written on the memorials walls, and the POW MIA symbols were printed on the flags and engraved on walls. 6.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Democratic patriotism was considered a main ideological value in VWMUS by engraving KIA MIA's names on the walls, hoisting flags Stars and Stripes and POW MIA, and writing symbolic phrases 'ALL GAVE SOME, SOME GAVE ALL' and 'DUTY, HONOR, COUNTRY'. On the contrary, in Vietnam, nationalism, patriotism, and socialism were emphasized as main ideologies through raising war victory and resistance to foreign power as well as writing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on memorial towers.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comparatively analyze VWM in order to understand national characteristics in Korea, Australia, U.S.A, and Vietnam.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이상석,정순원,박찬우,나복순,오지영,구재본,추혜용,Lee, S.S.,Jung, S.W.,Park, C.W.,Na, B.S.,Oh, J.Y.,Koo, J.B.,Chu, H.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9 No.6

        최근 사물인터넷 통신이 화두로 대두되고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핵심기기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관점에서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기 및 터치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은 기초 연구단계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판과 전극 재질의 입장에서 최근 기술들을 정리하였다. 향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구현된다면 그 시장 및 응용성은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베트남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메모리얼의 유형적 특성,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 입지 및 공간적 특성, 도입요소의 특성, 조경디테일에 나타난 표현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문화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랜 전쟁으로 인해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은 군인묘지, 전적지, 전쟁박물관, 비극적 장소, 평화공원 등 10가지 유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전통적 양식에 근거한 군인묘지, 장소성을 강조한 전적지와 비극적 장소, 전쟁 승리와 잔혹함을 표현한 전쟁박물관, 평화공원이 특징적인 유형으로 나다났다. 2. 메모리얼에 나타난 주요한 설계개념 및 내러티브는 희생자 추모, 국가에 헌신, 전쟁승리와 저항, 장소적 기념성으로 나타났으며, 국제적인 민간단체의 협력에 의해 만들어진 미라이 평화공원(My Lai Peace Park) 및 한-베 평화공원(Han-Viet Hoa Binh Cong Vien)에서 비극적 사건을 극복하고 평화를 도모하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3. 메모리얼은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DMZ) 및 전쟁 루트였던 호치민 트레일(Ho Chi Minh Trail), 그리고 베트남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주요한 도로인 A1 국도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밖에 하노이 및 호치민 등 도시에 전쟁박물관 및 모뉴멘트가 조성되었다. 묘지 및 추모 메모리얼에서는 문과 기념탑(또는 제단)을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묘역이 배치되는 전통적 공간체계를 따랐으며, 전적지 및 비극적 장소에서는 장소성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설계를 통한 특정적인 공간 형태보다는 상징적 요소를 도입하여 기념성을 구현하였다. 4. 기념조각 및 기념탑은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의 대표적 양식으로 전쟁승리 및 저항정선을 표현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포획한 무기를 전시하고 박물관에 사진 및 모형 등 자료를 전시하여 전쟁의 긴장감과 리얼리티를 보여주고 있으며, 유교 및 불교 등 전통문화에 근거한 상징요소를 도입하여 추모감을 높였다. 5. 기념조각이나 기념벽에 그림을 그리거나 사진을 이용한 사실적 표현을 강조하였다. 또한 상징적 문구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TO-QUOC-GHI-CONG 토국기공(士-國-記-功)'에서 전사자의 업적과 국가적 관심을 나타냈으며, 이와 반대로'Quagmire'는 미군 참전용사들이 베트남에서 겪은 혼란스럽고 어려운 전투 상황과 베트남전쟁에 대한 미국사회의 혼돈을 묘사하는 정치사회적인 메타포(metaphor)로서 사용되었다.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는 민족주의, 애국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복합되어 있고, 유교 불교 도교 음양오행사상이 잘 나타났다. 한편, 유교적 전통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전쟁에서 영웅적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메모리얼에서 베트남전쟁에 대한 국내 외적 갈등이 내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설계특성을 연구하여 전쟁에 대한 인식 및 기념문화적 특성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emoration culture of Vietnam War Memorials (VWM) in Vietnam. Through site survey, the researcher selected 23 VWM in Vietnam and analyzed 5 categories: memorial type, design concept and narratives, location and spatial form, landscape elements, and content expressed in landscape detai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ecause of the long, drawn out Vietnam War, which lasted from 1955 to 1975, VWM were divided into 10 types mainly as soldier cemeteries based on a traditional memorial style, battlefields and places of tragedies considering sense of place, war museums representing victory and atrocity in war, and peace parks promoting reconciliation and peacemaking. 2.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concepts and narratives of VWM were to value the victims of the Vietnam War, remember soldiers' contributions, highlight the victory in war and resistance to the United States, and express a sense of place. Peacemaking applied only to My Lai Peace Park and Han-Viet Hoa Binh Cong Vien, built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3. Cemeteries and appreciation memorials were designed to follow a traditional memorial space form that highly regard both axis and symmetry. The design concept at battlefields and places where tragedies occurred depended mainly upon a sense of place and used symbolic landscape elements to compensate for the undefined concept. 4. Sculptures and towers were mainly used to highlight war victory and resistance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a Socialist country, weapons and pictures exhibited in war museums and battlefield showed the reality and strain of war. Symbolic element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often introduced as a way to venerate the memory of deceased persons. 5. The state and heroic actions in the Vietnam War were realistically depicted on sculptures and walls. Also, the symbolic phrase, 'TO-QUOC-GUI-CONG' meaning 'our country remember your achievement', were written on the memorial tower and 'Quagmiire' was used to metaphorically represent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U.S. military on battlefields during the war and the uncertainly that pervaded U.S. society in those days. 6. In VWM, ideologies like nationalism, patriotism, socialism, capitalism were mixed and traditional cultures like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were inherent. Differing from their Confucianism culture, war heroes, particularly including women, were often described by sculpture, monument, and pictures and the conflict in and outside the country regarding the Vietnam War was shown.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analyze design characteristics of VWM in the u.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commemoration cultures between Vietnam and the U.S.

      • KCI우수등재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묘지에 나타난 기념성 - 서유럽에 있는 미국군, 영연방군, 독일군 묘지를 대상으로 -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5

        본 연구는 유럽에 있는 미국, 영연방, 독일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묘지에 나타난 공간적 배치 및 구성, 기념적 요소, 묘역 및 묘비에 나타난 기념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양식적, 정치적, 종교적 측면에서 기념문화를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각 나라별로 규모가 크고 고유한 양식적 특성을 보여주며, 장소적 의미가 있는 미국군 묘지 7개소, 영연방 묘지 3개소, 독일군 묘지 4개소 등 대표적인 전쟁 묘지 14개소를 선정하여, 현장조사, 문헌연구,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영연방, 독일군 묘지 모두 공간적 중심축을 강조하였고, 대칭적이며 방형, 원형, 나선형 등 정형적 형태를 취하고 있어 신고전주의적 양식을 보여주었다. 한편, 일부 미국군 묘지에서는 곡선 레이아웃 및 유기적 공간 구성을 한 근대주의적 형태가 나타났다. 둘째, 미국군 묘지에는 예배당, 실종자의 벽, 전투지도벽, 기념조각 등을 공통적 기념요소로 적용하였고, 영연방 묘지에서는 쉘터와 '희생의 십자가' 및 '기억의 돌' 등 고전주의 양식의 표준적인 기념 조형물이 도입되었다. 한편, 독일군 묘지는 분구묘와 공동묘지에 상징적 십자가 조형물을 설치하였고, 다른 기념 요소의 사용은 제한되었다. 셋째, 각 나라마다 기독교를 주제로 하는 십자가를 묘비의 주요한 형태적 모티브로 적용하였다. 미국은 라틴 십자가 묘비를 통하여 전사자를 추모하고, 동시에 순교자로서 미국의 희생과 기독교를 강조하였으며, 영연방과 독일은 기독교에 바탕을 두고 전사자의 영혼을 추모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 및 종교적 측면에서 미국은 공산주의를 극복하는 기독교 및 자유민주주의와 국가적 애국심을 강하게 표현하였고, 영연방은 제국주의 공통된 양식으로 묘지를 조성하였으며, 독일은 집단적 죽음을 동료애로 표현하는 전통주의와 화해 및 평화를 지향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서유럽에 있는 제2차 세계대전 전쟁묘지는 공간적 중심축과 정형적 공간 형태를 통하여 표준화되고 정형화된 묘지의 미학을 추구하면서, 국가별로 공간 설계, 상징적 기념요소의 도입, 종교 및 이념적 가치에서 고유한 기념문화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의 현충원 및 호국원 등 묘지에서 담아야 하는 숭고한 기념성과 국립묘지를 발전시키고, 기념문화를 정립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ommonwealth, and Germany through representative 14 military cemeteries of World war II in Western Europe. Based on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pacial characteristic, commemorative elements, and graves and headstone, the commemoration culture among U.S., the Commonwealth. and Germany were studied compara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king geometrical form with mainly square type, rarely circle and spiral patterned, most cemeteries were structured spatial central axis with symmetry, those cemeteries were styled neoclassical, but some of the U.S. cemeteries were modernistic, connecting spaces organically with curved line layout. Second, chapel, the wall of missing, the wall of battle map, and sculpture in the U.S military cemeteries, and 'the cross of sacrifice' and 'the stone of remembrance' as classical monument in the Commonwealth war cemeteries were commonly applied standardized commemorative elements, but commemorative monuments in German military cemeteries were restricted except monumental cross. Third, the symbolic cross of christianism was used all cemeteries to console and cherish the soul of soldiers, specially the Latin crosses in the U.S military cemeteries delivered political message as the american martyr for Western Europe and also the power of the U.S., but the cross in German and the Commonwealth war cemeteries were basically cherish and comfort individual spirit. Fourth, showing the power of victory with national patriotism, the U.S. strongly represented christianism and liberal democracy against communism, the Commonwealth showed imperialistic style, and German military cemeteries were quietly appeared as traditional style forwarding reconciliation and peace. This study suggest the war cemeteries have national identity with typical form and symbolic aesthetics.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materialize sublime commemoration in national cemeteries and to form advanced commemorative culture in Korea.

      • KCI등재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규의 개선방향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놀이시설의 안전관리를 합리적으로 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관련법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의 기본법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및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주택법", "아동복지법", "영유아보육법", "건설기술관리법" 등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첫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와 관련된 법률의 조항을 도출하여 분석하고, 둘째, 조경산업의 활동영역과 일치하게 어린이놀이시설의 제품개발,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전체적인 흐름에 기초하여 단계별로 법규의 적용 특성과 불합리한 문제점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체계를 운영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석 결과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을 제정하고 안전검사기준 및 안전인증기준을 준비하면서 전문성이 있는 조경분야의 참여가 부족하였고, 소량 다품종의 특성을 갖는 어린이놀이시설의 특성과 어린이놀이행태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또한, 안전인증의 정기검사기간이 짧고, 사소한 변화에도 재인증을 받아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나타났으며, 제품검사와 공장심사의 중복과 수출입 놀이시설의 안전인증 중복, 설치검사의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품질관리 및 감리규정과 중복, 기 설치된 놀이시설의 설치검사 소급적용, 안전검사기관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2. 바람직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를 위해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을 유지 발전시키고 관련법규와 상호조정을 통하여 종합적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체계의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안전인증 검사 기준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정비하는 동시에 국제적인 수준에 부합되도록 해야 하며, 안전인증 검사의 절차 방법을 합리화하여 안전인증 및 검사절차가 중복되거나 과다한 비용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고 안전검사기관의 전문성 향상 및 안전검사기관의 확대가 필요하다. 향후 종합적인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관련법규의 재정비 및 법조항의 개정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aws related to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LRSMCPF) including the "Safety Supervision Law of Children's Play Facilities(SSLCPF)" and the "Quality Management and Industrial Products Safety Management Law(QMIPSAL)",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by 4 phases-development of products, landscape design, landscap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nsidering landscape project procedure-and to propose a revision of the la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arious LRSMCPF, SSLCPF and QMIPSAL, as basic laws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regarding the features of children's play facilities and play spaces, which are both comparatively varied and complex. 2. In development of products, the one-year duration of safety certification based on QMIPSAL was too short and the procedure for safety certification were redundant in both products and plants inspection, and export and import product inspection. 3. The field inspection of construction sites based on SSLCPF was repeated with quality control and a consultation of rules based on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Law". 4. There are not enough safety inspection organizations regarding children's play facilities to meet the demand of safety certification, safety inspection, and safety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5. For children's play safety,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play connected with the phases is needed to ensure safe play equipment, to construct safe playgrounds, and to manage play facilities. The criteria, regulations, and procedure regarding safety certification and safety inspection of play facilities must be revised efficiently and standardized to a global level as well. To improve the system and contents of safety certification and inspection, authorization of safety inspection organizations based on landscape architecture is needed.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concretely analyze in detail the laws, enforcement decrees and rules, and ordinances that consid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professional landscape architects, inspectors, and lawyers.

      • KCI등재

        조경건설업의 기성실적 변동 특성

        이상석,Lee, Sang-Suk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건설업의 중요한 생산지표인 기성실적을 조사분석하여 조경건설업의 매출액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조경건설업을 일반건설업인 조경공사업, 전문건설업인 조경식재공사업과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으로 구분하고, 타 건설업과 조경건설업의 기성실적 비교분석, 조경건설업의 지역별 연도별 기성실적, 공사1건당 평균기성금액, 업체당 연평균 기성실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조경건설업의 기성실적의 변동 특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경건설업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 타 건설 분야에 비해 기성실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왔는데, 일반건설업에서 조경공사업의 기성실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0.9%에서 1.9%으로 증가하고, 전문공사업에서 조경식재공사업의 기성실적이 차지하는 비중은 1.3%에서 2.5%,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의 기성실적은 0.5%에서 1.5%로 증가하였다. 또한 조경공사업의 기성실적 증가율은 367%, 조경식재공사업은 328%, 조경 시설물설치공사업은 51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지표인 2006년 계약실적 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향후 이러한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지역별 기성실적에서 서울, 경기의 기성실적이 상대적으로 높아 조경공사업은 전체의 53.5%, 조경식재공사업은 전체의 55.1%,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은 전체의 71.2%를 차지하고 있어, 조경건설시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조경건설업의 단위공사당 평균기성금액은 조경공사 5억 4,000만원, 조경식재공사 7,320만원, 조경시설물공사는 7,740만원으로 조경 공사의 1건당 평균계약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조경공사와 조경식재공사는 연도별로 뚜렷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고 있으나, 조경시설물설치공사는 지속적으로 공사규모가 커지고 있어 2002년부터 조경식재공사보다 1건당 평균기성금액이 높아지고 있다. 4. 조경건설업 업체당 연평균 기성실적은 조경공사업 19억 7,000만원, 조경식재공사업 7억 9,080만원,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 4억 6,890만원으로 조경공사업의 업체당 연평균 기성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경공사업 및 조경식재공사업은 전체 기성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연평균 기성실적이 증가하지 못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조경건설업의 기성실적은 타 건설업역보다 높은 성장을 해왔고, 이러한 성장추세가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조경건설업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조경공사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과 조경건설업체수의 급증에 따라 조경건설업체의 기성실적이 영세하다는 문제는 해결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차지하는 기성실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조경건설시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changes of ready constructed record(RCR) in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for 10 years from 1997 to 2006.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 construction industry,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were classified into landscape constructor as a general constructor, landscape planting constructor and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 as special constru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CR in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have increased for 10 years higher than other construction industry. Concretely the RCR ratio of landscape constructor has increased 0.9% in 1997 to 1.9% in 2006, the RCR ratio of landscape planting constructor 1.3% to 2.5%, and the RCR ratio of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 0.5% to 1.5%. Futhermore this increasing trend has been strengthened during the last a few years. 2. Differently from landscape constructor, the subcontract ratio of landscape planting constructor and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 were higher, especially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 was highest amount for 71.1% in the subcontract ratio. 3. The RCR of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Kyunggi, was higher than other region's, and the ratio of RCR of landscape constructor in this area was 53.5%, landscape planting constructor's 58.2%, and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 75.0%. 4. The yearly RCR per company and the RCR by project of landscape constructor and landscape planting constructor were stagnant. However, landscape facilities constructor's RCR showed an upward trend as years go by.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RCR of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further study on the factors to affect the RCR of landscap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RCR by project types is required in the near future.

      • 듀플렉서의 최근 기술동향

        이상석,박정래,전동석,이석진,이창화,김태홍,최태구,Lee, S.S.,Park, J.R.,Jun, D.S.,Lee, S.J.,Lee, C.H.,Kim, T.H.,Choy, T.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5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0 No.3

        이동통신 기술은 수요의 증가에 따라 눈부신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그중 에서도 단말기 및 기지국 시스템 사용의 간편성 및 휴대성을 고려한 소형화 추세는 계속 연구대상이 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부품의 소형화, 고기능화 및 저가격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단말기와 기지국 시스템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안테나 바로 밑단에 사용되는 듀플렉서의 기술동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SrTiO_3$계 세라믹에서 조성비와 입계 절연화제의 확산온도가 전기전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석,이석진,최태구,조희작,Lee, S.S.,Lee, S.J.,Choy, T.G.,Cho, H.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8 No.4

        최근의 정보 통신 기기들은 정보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따라 다기능, 고속 및 대용량화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으며 휴대 통신 단말기의 경우 이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소형화 및 경박 단소화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에 대한 요구 사항도 이들 추세에 따라 소형화, 다기능화 및 고신뢰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소자로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다기능성 소자의 개발이 바람직하다. $SrTiO_3$를 모체로 하는 세라믹 유전체는 반도체화 세라믹의 결정입계에 산화물로 절연층을 형성하여 하나의 소자로 Capacitor 와 Varistor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 소자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SrTiO_3$조성비 및 입계절연화제의 확산 온도에 따라 이들이 전기전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KCI우수등재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이상석,Lee, Sang-Seok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입지, 공간, 조경디테일, 기념조각, 그리고 기념텍스트 등 조경의 관점에서 나타난 기념성을 분석하고, 여기에 나타난 기념문화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전쟁 당사국인 베트남과 미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특성을 규명하였다. 연구는 베트남전쟁과 관련하여 국가보훈처에서 지정한 현충시설과 전사자 및 참전군인을 위한 국립묘지인 현충원 및 호국원 등 59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현장조사, 문헌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성과 개방성이 높고, 별도의 부지매입비용이 필요하지 않은 국립묘지, 공원, 가로, 광장에 모뉴멘트를 세웠으며, 6 25전쟁 메모리얼과 함께 설치하기도 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참전군인의 명예를 고양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립묘지에서는 홍살문${\rightarrow}$현충문${\rightarrow}$현충탑으로 이어지는 중심축을 강조하고, 주변에 노단식으로 묘역을 조성하는 전통적 방식을 따른 반면, 규모가 작은 모뉴멘트는 대칭축과 사각형을 기본적 형태로 사용하고, 사각형 기단에 기념탑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습적인 방법 때문에 메모리얼이 획일적으로 단순해졌다. 셋째, 기념탑, 기념비, 참전부대 문장(紋章), 기념벽 등을 기본적 도입요소로 사용하였고, 표준적이며 사실적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적 양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베트남전쟁 참전기념탑 건립과 관련된 사회적 담론이 허용되지 않았고, 예술가 스스로도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을 만드는데 있어 시대에 뒤떨어진 양식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넷째, 참전군인을 영웅이나 전사로서 용맹성을 강조하였고, 아이구출 조각을 통한 인도주의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등 사실적 근대조각이 많았으며, 세밀한 표현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사자, 해태, 태극 등 전통적 상징물을 이용하여 국가적 기념성을 높였다. 다섯째, 한국에서는 베트남전쟁 참전의 명분으로써 자유수호', '세계평화', '국가경제발전의 초석' 등 반공주의 및 애국주의의 이념적 가치를 내세우고, 지역 및 부대별 참전군인명을 새기어 명예를 고양하는 집단성을 표현하였다. 아쉽게도 전쟁메모리얼에서 본질적으로 추구해야하는 희생자 추모 및 전쟁 자체에 대한 해석은 소홀히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의 기념문화적 특성을 종합해 보면, 양식적으로는 관습적이고 표준화된 전근대적 메모리얼의 만연하고 있고, 정치사회적으로 국가의 공식적 기억과 지역 및 부대의 집단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념적으로는 반공주의적 애국주의가 강하게 나타났다. 향후 전쟁메모리얼에서 기본적으로 담아야 하는 전쟁, 죽음, 참전군인의 경험 등 숭고한 기념성에 대하여 재사유가 필요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메모리얼을 만들고, 바람직한 기념문화를 세우기 위한 학문적 연구 및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fifty-nine Vietnam war memorials in Korea(VWMK) including monuments and national cemeteries from landscap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such as location, spacial characteristic, landscape detail, sculpture, and interpretive text. Based on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alysis, the commemoration culture among Vietnam, the U.S.A., and Korea were studied and differences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numents were mainly located in public open space such as national cemeteries, parks, and plaza, and some of them were elected along with Korea war memorials to honor Vietnam war veteran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because the monuments were relatively small and memorial towers were conventionally built on a square platform, the memorial style had been simply standardized to stereotype the commemoration characteristics. Third, outmoded memorial towers, stone plates, emblems, and memorial walls were used as main landscape details and standardized facilities were considered from an artistic and social point of view. Fourth, realistic soldier statues to show heroic and humanitarian image were in majority, while symbolic and abstract sculpture were small in number, they were mostly conventional and unexpressive. Fifth, the causes of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were predominantly expressed as 'defending freedom', 'keeping world peace',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anti-communism and patriotism, and also the collectivity of Vietnam War veterans by troop and local level was emphasized through engraving each veterans's name on towers, plates, and walls. VWMK are mostly conventional and stereotyped in style and show strongly national official memory and the collectivity of veterans from a sociopolitical perspective, and aim for anti-communistic patriotism ideologically. Further study and projects will be required to make creative and innovative memorials and to study how to rethink sublime fundamental themes like war, death, and the individual veteran's experience in VWMK.

      •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의 연구개발 동향

        이상석,김명수,박정래,구본희,전동석,이석진,이창화,김태홍,최태구,Lee, Sang-Seok,Kim, Myeong-Su,Park, Jeong-Rae,Gu, Bon-Hui,Jeon, Dong-Seok,Lee, Seok-Jin,Lee, Chang-Hwa,Kim, Tae-Hong,Choe, Tae-G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1 No.3

        이동통신의 급격한 증가 추세와 멀티미디어로의 사용자 요구 및 한정적인 주파수 자원을 고려할 때 향후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은 필연적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미 선진 각국에서는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에 대한 기초 연구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선진 각국의 밀리미터파 응용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 역사와 실용화 연구개발 동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는 중점적으로 연구개발해야할 문제점도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