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절제 후 증상의 관리

        이상전 대한대장항문학회 2008 Annals of Coloproctolgy Vol.24 No.1

        Many patients have functional disturbances after a traditional restorative rectal resection, complaining of urgency, frequent bowel movements, and occasional fecal incontinence. The rectal reservoir function is disturbed, and this is related to the size of the rectal remnant and the elastic properties of the neorectal wall. A straight anastomosis is recommended when the reservoir capacity of the rectal remnant is sufficient. A side-to-end anastomosis is probably preferable to an end-to-end anastomosis. If a straight anastomosis is considered, the descending colon is much better than the sigmoid colon. If optimal functional results are to be obtained soon after surgery, construction of a pouch is recommended when the rectal remnant is very short. There seems to be a balance between continence without urgency and evacuation ability. For patients with weak sphincter muscles and habitually loose feces, the surgeon should tailor the length of the pouch to be longer whereas it should be made smaller for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tendency toward constipation. In the long-term, bowel adaptation may also enable the function after a straight anastomosis to approximate that of a colonic J-pouch anal anastomosis. Where the pelvis is too narrow for a bulky colonic J-pouch anal anastomosis, a coloplasty-anal- anastomosis is an option. The latter results in postoperative bowel function comparable with that of the colonic J-pouch. Traditionally, poor bowel function has been managed expectantly. The colonic adaptation may take one or two years to occur after a low anterior resection. The patient is advised to take adequate soluble fiber in the diet and to avoid foods which aggravate the bowel dysfunction. Those with increased stool frequency are prescribed constipating agents to help control the symptoms. Patients with rectal evacuation problems are prescribed regular laxatives and enemas.

      • SCOPUSKCI등재
      • 소아 장중첩증 치료에서의 공기압 정복과 바륨 정복의 비교 : Air Reduction vs.Barium Reduction

        박진우,이상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1

        연구 목적: 소아 장중첩증은 2세 이하의 남아에서 호발하는 장폐색의 흔한 원인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바륨정복과 공기압 정복의 치료 성적과 이들 비수술적 정복의 실패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장중첩증 환아에서 시행한 비수술적 정복은 189예로, 공기압 정복이 59예, 바륨 정복이 130예였다. 이들 환아를 대상으로, 정복 방법에 따른 정복 성공률과 이에 관여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공기압 정복이 시행된 군과 바륨 정복이 시행된 군의 성별, 연령별 분포, 증상기간,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백혈구 증가, 선행된 상기도 감염의 병력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공기압 정복군에 비해 바륨 정복군에서 점액성 혈변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기압 정복의 성공률은 78.0%로, 바륨 정복의 65.4%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91) 공기압 정복군과 바륨 정복군 모두에서 정복에 실패한 환아는 성공한 환아에 비해 증상기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며, 장중첩 유형별로는 회장-회장-대장형의 경우와 대장-대장형의 경우에서 정복이 실패하였다. 그 외 공기압 정복에서는 점액성 혈변과 발열의 빈도가, 바륨 정복에서는 구토와 기면 빈도가 정복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비수술적 정복 후의 재발은 공기압 정복이 10.0%, 바륨 정복이 6.6%였다. 비수술적 정복이 합병증은 특별히 없었고, 공기압 정복의 1예(1.7%)에서 장 천공이 발생하였다. 결론: 공기압 정복은 소아 장중첩증의 치료에 있어,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안전하며 기존의 바륨 정복에 비교하여 높은 정복의 성공률을 보이는 비수술적 정복방법이다. Purpose: Intussuscep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2 years, especially in mal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ssure reductions according to the methods and identified the factors related with reduction fail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2 to Dec. 1997, 189 pressure reductions (59 air reductions and 130 barium reductions) were performed in childhood intussusception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uccess rate of pressure reduction and factors affecting on it were analyzed by pressure reduction methods. Results: Age, sex, symptom duration, clinical symptoms, signs, leukocytosis, and history of upper respiratory infection were similar between air reduction group(ARG) and barium reduction group(BRG) except for higher incidence of bloody stool in BRG. Success rates of pressure reduction were higher in ARG (78.0%) than in BRG (65.4%)(p = 0.091). In both groups, reduction failed cases showed longer symptom duration than successful ones and all of ileo-ileo-colic or colo-colic type intussusceptions were failed in reduction. Other factors related with reduction failure were bloody stool and fever in ARG, and vomiting and lethargy in BRG, respectively. Recurrence rate of intussusception after pressure reduction was 10.0% in ARG and 6.6% in BR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in pressure reduction except one case of bowel perforation in ARG. Conclusion: Air reduction in treatment of childhood intussusception is a simple and safe pressure reduction method with relatively higher successful rate compared with conventional barium reduction.

      • 소아 장중첩증 수술예의 임상분석

        박진우,장이찬,이상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8 忠北醫大學術誌 Vol.8 No.1

        연구목적 : 장중첩증은 소아에서 위장관 폐쇄의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대부분의 환아에서 비수술적 정복을 통해 치료가 되지만, 이러한 방법이 실패하거나 처음부터 복막 자극 증세가 현저한 경우에는 바로 수술적 치료의 적응이 된다. 저자 등은 장중첩증으로 수술 받은 환아의 임상 분석을 통하여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환아의 임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8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장중첩증으로 충북대병원 외과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4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환아의 성별, 연령별 분포, 임상증상, 증상기간, 내원시 검사 결과. 장중첩증의 유형 및 수술적 치료의 종류, 수술후 합병증 등을 임상 분석하였다. 결과 : 1. 환아의 성비는 1.8 : 1 이었고, 평균 연령은 16 개월이었다. 2. 가장 흔한 징후는 혈변이었다(78.6%). 3. 내원시 백혈구 증가의 소견을 보인 경우는 전체의 61.9%였다. 4. 평균 증상 기간은 28.5 시간이었다. 5. 비수술적 정복은 38예에서 시행되었는데, 바륨관장이 29예, 통기법이 7예, 양쪽을 모두 행한 경우가 2예였다. 6. 장중첩의 유형은 회장-대장형이 34예, 회장-회장-대장형이 7예, 대장-대장형이 1예였다. 7. 수술은 29예에서 도수정복만 시행하였고, 13예에서는 장 절제가 필요하였다. 8. 술 후 합병증으로는 창상 열개가 1예, 술 후 장폐쇄가 4예 였으며, 술 후 장중첩의 재발은 없었다. 9. 장 절제가 필요했던 환아는 도수정복만 시행 받은 환아에 비해, 진단의 지연과 백혈구 증가, 발열, 회장-대장 이외의 유형, 술 후 합병증, 장중첩의 원인 등이 더 흔히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소아 장중첩증의 치료에 있어 진단의 지연, 발열, 백혈구 증가, 회장-대장 이외의 유형 등이 비수술적 정복의 절대적 금기는 아니더라도, 이러한 조건들이 있는 경우, 비수술적 정복의 실패나 나아가서 수술적 치료의 경우 장 절제의 가능성이 예견되므로 이에 대하여 충분한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intussusception that require operativ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 42 operative cases of pediatric intussusception which were performed at department of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in 1991 to July in 1997. Age and sex distribution, symptom and sign, duration of symptom, laboratory findings, type of intussusception, type of operative treatment,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 1. Sex ratio was 1.8 : 1, and mean age was 16 months. 2.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was bloody stool (78.6%). 3. On admission, 61.9% of patients showed leukocytosis. 4. Mean value of symptom durations was 28.5 hours. 5. Pressure reductions were performed in 38 cases. : barium enema (29 cases), pneumatic reduction (7 cases), and both of them(2 cases). 6. Types of intussusception were ileocolic (34 cases), ileoileocolic (7 cases), and colocolic (1 case). 7. Types of operative treatments were manual reduction in 29 cases and bowel resection in 13 cases. 8.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 case of wound dehiscence and 4 cases of postoperative intestinal obstruction, but there was no recurrent intussusception. 9. When bowel resection cases were compared with manual reduction cases, delayed diagnosis, leukocytosis, fever, intussusception other than ileocolic type, lead point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re more common in bowel resection cases. Conclusion : Longer symptom duration, fever, leukocytosis, and intussusception other than ileocolic type are not contraindication for pressure reduction but these anticipate possible failure of pressure reduction and possible chance of bowel resection.

      • 자궁탈에 동반된 직장질루

        이상전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자궁탈에 동반된 직장질루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본 증례는 자궁탈이 있던 노파로서 항문직장륜 직상방에 직장질루가 발생하여 이를 통해 직장 전벽이 탈출된 경우이다. 자궁탈이 질후벽의 약화와 긴 종주형 열개를 초래하고 직장 질루도 발생하여 누공을 통해 직장 전벽이 외번되어 탈출되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경복강으로 자궁전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하고 직장을 직장질루 수준 하방까지 박리한 후 절제한 다음 경회음 접근으로 결장항문 문함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질후벽 열개를 누공을 포함하여 복구한 후 망막을 질 후벽과 결장항문 문합부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시켰다. 수술후 재발의 징후나 변실금 증상이 없이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ctovaginal fistula associated with uterine prolapse is a very rare entity. The case presented here is that of an elderly woman with uterine prolapse, associated with the anterior rectal wall herniation through rectovaginal fistula just above the anorectal ring. It is thought that uterine prolapse had caused weakness and a long diastasis of the posterior vaginal wall, and also rectovaginal fistula, then the anterior rectal wall herniated with eversion through rectovaginal fistula.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The rectum was mobilized down to just beyond the level of the rectovaginal fistula and rejected at that point. Then, from a perineal approach, coloanal anastomo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Parks' sleeve anastomosis technique. After repair of the long diastasis of the posterior vaginal wall with inclusion of the fistula opening, a portion of the omentum was interposed between the posterior vaginal wall and the coloanal anastomosis site.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장운동 이상 질환

        이상전 대한대장항문학회 2005 Annals of Coloproctolgy Vol.21 No.5

        Human colonic motor activity is quite a complex issue and is a relatively difficult topic to investigate, still only partly understood and investigated, due to anatomic and physiological difficulties. Colonic motility measurement are hampered by the relative inaccessibility of the colon, especially in the unprepared state. Major motor events are infrequent, necessitating long observation periods. Moreover, correlating intraluminal pressure changes with stool transport is difficult. Disturbances of normal colonic motor activity may interfere with healthy colonic physiologic function.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responsible for colonic motility disorders are still less understood. In recent years, however, some more data have been obtained, even in proximal segments. These data have helped in elucidating, although only in part, som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colonic motility disorders. In this review article, after a brief of relevant normal aspects of colorectal motility in man, we limit our discussion to more common motility disorders involving the colon and rectum. In particular, what is known or hypothesized regarding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slow-transit constipation, diverticular disease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is reviewed.

      • 직장류의 경질적 교정술

        이상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1

        연구목적 : 직장류로 경질적 교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여 이 질환의 임상적 양상과 이 술식의 술후 성적을 분석하여 이 술식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충북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직장류로 진단 받고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여도 증상의 현저한 호전이 없어 경질적 교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했던 22명(33세-72세, 평균 43.6세)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술 전 임상증상에 관한 문진, 회음부 진찰을 통해 직장류를 진단하였으며 확진과 동반된 질환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배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대상은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여도 증상의 현저한 호전이 없으며 변을 배출시키기 위해 질 속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직장을 향해 질후벽을 누르거나 직접 손가락으로 변을 파내는 경우, 배변조영술에서 직장류에 모조변이 고이는 경우, 크기가 아주 크며 직장 전방벽 탈출이 동반된 경우로 제한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는 모두 여자였으며 나이는 33세에서 72세로 평균 43.6세였으며 30대와 40대가 가장 많았다. 임상 증상으로는 만성적으로 배변시 항상 힘을 주는 것 21예, 배변을 하여도 변이 남아 있는 느낌 20예, 변을 배출시키기 위해 손을 사용하는 것 15예, 직장충만감 14예 등이었다. 증상 발생 시부터 교정술을 시행하기까지의 경과 기간은 4개월에서 25년으로 평균 3.4년이었다. 이학적 진찰상 동반된 질환으로는 치액 7예, 직장점막탈출 5명, 치골직장근이완부전 2예, 방광류 1예, 소장류 1예 있었다. 배변조영술상 직장류만 관찰된 경우가 14예이었고 그 외 동반 병변으로는 직장내부중첩 10예, 치골직장근이완부전 3예, 소장류 1예 있었다. 동반 질환에 대한 수술로 치핵절제술 6예, 탄성고무결찰 술 1예, 직장내부중첩에 대한 Gant-Miwa 수술 6예, 소장류 교정술 1예 시행하였다. 술후 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보인 경우가 19예로 86.4%를 차지하였으나, 별 변화가 없었던 경우도 2예 있었으며 일시적인 증상 호전을 보였으나 직장류가 다시 발생한 경우도 1예 있었다. 그리고 창상 감염은 단 한 예도 볼 수 없었다. 결론 : 직장류 환자에서 수술 적응증을 신중히 선택하여 경질적 교정술을 시행하면 우수한 성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ur experience with patients with rectoceles using selective criterior for operative repair and to critically review our surg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 : Clinical review about twenty-two women who underwent transvaginal repair of rectocele was performed. Preoperatively clinical interview, physical examination on the perineum, and defecography was done. Indications for the repair were 1) Sensation of a vaginal mass or bulge that required digital support and/or rectal digitizing for evacuation 2) Retention of artifical stool in the rectocele on defecography 3) Very large rectocele with internal anterior rectal wall prolapse. At sixth month postoperatively clinical interview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any evidence of rectocele were performed. Result : Symptoms for rectocele consisted of excessive straining, sensation of incomplete evacuation, manual assistance, sense of fullness in 21, 20, 15, 14 cases respectively. Associated diseases on the physical examination were hemorrhoid, rectal mucosal prolapse, nonrelaxing puborectalis, cystocele, enterocele in 7, 5, 2, 1, 1 cases respectively. Findings on the defecography were rectocele only, intussusception, nonrelaxing puborectalis, enterocele, in 14, 7, 3, 1 cases respectively. Operation for associated diseases were hemorrhoidectomy, elastic band ligation, Gant-Miwa operation, repair of enterocele in 6, 1, 6, 1 cases respectively. Postoperatively the symptoms remarkably improved in 19 patients, whereas they did not in 2 patients. In one patient the symptom improv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but it recurred 5 months thereafter. We could not find any sexual or wound complication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 Our data suggest that careful selection of patients using specific criteria may result in very good clinic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