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그니와 효소의 활성화를 위한 섭생 요법 비교 연구

        이거룡,허 현승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3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5 No.-

        This study review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Agni enzymes and introduced the regimen for activation. An imbalance of Agni and enzymes in food digestion adversely affects the body's metabolism and increases exposure to disease. The regimen is the basis for promoting digestion and metabolism, removing toxins, and enhancing immunity, and is an important therapy for health. The regimen of Āyurveda medicine ca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doṣa, and food suitable for the doṣa should be consu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gularity of daily life, meal time and quantity, and cooking method. Modern medical enzymes are chemical molecules and are being quantified and refined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rough enzyme activation, the degree of absorption of calories and nutrients in food can be grasped by the human body,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absorption efficiency through various cooking methods. In additi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s a regimen to prevent chronic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and promote health through a healthy diet and lifestyle. Through this thesis, we will be able to see that the regimen that Āyurveda medicine and modern medicine commonly emphasize is the basis for maintaining health. 본 연구는 아그니와 효소의 종류와 기능을 고찰하고 활성화를 위한 섭생 요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음식 소화에 있어서 아그니와 효소의 불균형은 인체의 신진대사에 악영향을 주어 질병에 노출을 증 가시킨다. 섭생 요법은 소화와 대사를 촉진하고, 독소를 제거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기초이며 건강하 기 위한 중요한 요법이다. 아유르베다 의학의 섭생 요법은 개인의 도샤(doṣa)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 타낼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규칙성, 식사 시간이나 양, 조리방법 등을 고려해 도샤에 맞는 음식을 섭 취해야 한다. 현대 의학 효소는 화학적인 분자이며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수치화되고 정밀화되고 있다. 효소 활성화를 통해 음식의 칼로리와 영양소가 인체에 흡수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한 식사와 생 활 방식을 통해 만성 질환과 감염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섭생 요법을 권장하고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우리는 아유르베다 의학과 현대 의학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섭생 요법이 건강 을 유지하는 기본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짜라까상히타(Caraka-Saṃhitā)』에서 마음에 대한 고찰

        이거룡,이장원 한국아유르베다학회 2022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Vol.1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짜라까상히타』에 나타난 마음의 속성 및 작용 등의 분석을 통해 마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는 것이다. 인도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는 마음과 신체는 행복과 질병의 바탕을이루는 것으로 본다. 현대 서양의학에서는 오랫동안 방치했던 마음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대목이다. 아유르베다의 3대 의서 중의 하나인 『짜라까상히타』는 내과를 주로 다룬 의서이며, 아유르베다의우주론과 생명관 등의 철학 사상, 특히 마음에 관한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다. 『짜라까상히타』에서“인간의 생명은 마음, 신체, 감각기능, 그리고 영혼의 결합”이라고 정의하고, “마음-영혼-신체의 결합은 모든 것을 이루는 기초이다”라고 본다. 심리적으로 개인의 기질을 이루는 3구나의 우세 정도에 따라 마음의 유형을 16가지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정신장애를 다루기 위한 심리치료도 제시한다. 신체와 마음에 대한 불행은 전적으로 무지 때문이며, 전체적인 행복은 ‘올바른 지식’에 의지한다고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ind through analysis of the attributes and actions of the mind shown in the 『Caraka-Saṃhitā』. Āyurveda, a traditional Indian medicine, sees the mind and body as the basis of happiness and disease. This i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the mind that has been neglected for a long time in modern Western medicine. One of Āyurveda's three major medical books, 『Caraka-Saṃhitā』 is a medical text mainly dealing with internal medicine, and deals with many philosophical ideas such as Āyurveda's cosmology and outlook on life, especially the mind. In 『Caraka-Saṃhitā』, human life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ind, body, sensory function, and soul,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bination of mind, soul, and body constitute the substratum for everything. Depending on the degree of dominance of the three attributes that psychologically form an individual's temperament, the mental type is analyzed in detail into 16 types, and psychotherapy to deal with mental disorders is also presented. It emphasizes that unhappiness with the body and mind is entirely due to ignorance, and that overall happiness relies on correct knowledge.

      • KCI등재

        타밀(Tamil)불교의 가락국 전래 가능성 고찰- 허황옥의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

        이거룡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Gaya (Garak) Buddhism is intertwined with Heo Hwang-ok who came to Garak Kingdom from Ayutha kingdom which is mentioned in the Samgukyusa. In other words, the review of Heo Hwang-ok's migration route can be said to examine the origin and process of Gaya Buddhism. The fact that the name Heo Hwang-ok is mentioned in the inscription of Boju (Anyue), Sichuan Province of China, suggests that she did not come directly from Ayutha kingdom to Garak Kingdom, but before arriving in Garak Kingdom she stayed in Boju. In this study, while accepting a part of Professor Byeong-mo Kim's hypothesis that Heo Hwang-ok reached Garak Kingdom via Boju, I considered that Gaya Buddhism was transferred to Garak Kingdom under the premise that Heo Hwang-ok was from South India rather than Ayodhya. In other words, Heo Hwang-ok's movement path was viewed as Tamil-Boju-Garak Kingdom. not' Ayodhya-Boju-Garak Kingdom. To this end, first of all, I found out why the starting point of Heo Hwang-ok route cannot be Ayodhya. Professor Kim argues that Heo Hwang-ok's ancestors migrated from Ayodhya to Boju based on the agreement between the twin fish emblem of the two places, but these two emblems are considered to have different origins. Ayodhya's emblem was derived from Persia and have a meaning of 'protection', but Boju’s fish emblem have origins in China (the Yellow River basin) and have a meaning of abundance. While the former reflects the Persian (Zoroastrian) dualism, the latter is based on the yin and yang theory of Chinese philosophy. So Ayodhya cannot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Heo Hwang-ok route. There has been an active commercial and cultural exchange from ancient times between Assam, the starting point of the Tea-horse Road, and Tamil, South India. Hayagriva Madhav Temple in Hajo is a prime example. The temple's main god Hayagriva is traditionally a widely worshiped deity in the Tamil region, and this temple is the only Hayagriva temple outside of Tamil. This proves that most people who went to China by Tea-horse Road were Tamil peoples. Hayagriva Madhav Temple is still a representative temple of Assam and has many traditions related to Buddhism as well as Hinduism. Hayagriva is depicted in many forms, including Horse-headed Quan Yin (Hayagrīva Avarokiteśvara), in many Hindu-affected Asian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Hayagriva faith, several cultural similarities are noted between Tamil and Assam. Thus, assuming that Heo Hwang-ok was from Tamil Kingdom, it was possible that the ancestors would have traveled north by sea or by land along the Coromandel Coast to Assam, and then migrated to Sichuan by way of Myanmar along Tea-horse Road. 가야불교는 허황옥의 가락국 도래와 맞물려 있으며, 허황옥의 이동경로[허황옥루트]에 대한 검토는 가야불교의 전래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주(普州) 서운향(瑞雲鄕) 신정기(神井記)의 “허녀황옥(許女黃玉)”이라는 명문에 의거하여 허황옥은 아유타국에서 직접 가락국으로 온 것이 아니라 보주를 경유하여 가락국에 왔다고 보는 김병모의 보주경유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김병모의 보주경유설의 일부 수용하면서도, 그 인도기점은 아요디야(Ayodhya)가 아니라 남인도라는 입장에서 타밀불교의 가락국 전래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즉 허황옥의 이동경로를 ‘아요디야’-차마고도-보주가 아니라, ‘타밀’-차마고도-보주로 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쌍어문(雙魚紋)을 중심으로 허황옥루트의 기점이 아요디야가 될 수 없는 이유를 규명하였다. 김병모는 보주의 쌍어문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근거로 허황옥의 조상이 아요디야에서 보주로 이주했다고 주장하지만, 이 두 곳의 쌍어문은 각기 다른 기원을 지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의 쌍어문은 페르시아에서 유래했으며 ‘보호’의 의미를 지니지만, 보주의 쌍어문은 중국(황하유역의 앙소문화) 자체에 기원을 지니며 풍요와 길상의 의미를 지닌다. 전자가 페르시아(조로아스터교)의 선악 이원론을 반영하고 있다면, 후자는 중국의 음양론에 그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아요디야는 허황옥루트의 기점이 될 수 없다. 차마고도(茶馬古道)의 인도 기점인 아쌈(Assam)과 남인도의 타밀 사이에는 고대로부터 상업적 문화적으로 활발한 교류가 있었다. 아쌈의 하조(Hajo)에 있는 하야그리바 마드하브(Hayagriva Madhav)사원은 그 단적인 예다. 이 사원의 주신(主神) 하야그리바는 전통적으로 타밀지역에서 널리 숭배된 신이며, 이 사원은 타밀 이외의 지역에 있는 유일한 하야그리바사원이다. 이것은 차마고도를 오간 대부분의 사람들이 타밀사람들이었다는 방증이다. 하야그리바 마드하브사원은 지금도 아쌈지역을 대표하는 사원이며, 힌두교뿐만 아니라 또한 불교와 관련된 여러 전승들을 지니고 있다. 하야그리바는 힌두교뿐만 아니라 불교와도 깊은 관련을 지니며, 힌두교의 영향이 강한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마두관음(馬頭觀音) 등 여러 가지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야그리바신앙 외에도 타밀과 아쌈 사이에는 여러 가지 문화적인 유사성이 지적된다. 따라서 허황옥의 출자(出自)가 타밀왕국이었다고 가정할 때, 그 조상들이 뱃길 또는 육로로 코로만델(Koromandel)해협을 따라 북상하여 아쌈에 닿은 후, 차마고도를 따라 미얀마를 통하여 사천의 보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납릉정문 신어상의 아요디야 유래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거룡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9 남아시아연구 Vol.25 No.3

        Since the publication of Jong-ki Lee's Garakguk-tamsa(Exploration of Gaya Kingdom) in 1977, the results of Prof. Byeong-mo Kim's archaeological research have been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 and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Tomb of King Suro of Gaya Kingdom) Gate originated in Ayodhya of India was taken for grant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scholars who deny the possibility that the Divine fish originated in Ayodhya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and the twin fish of Ayodhya because the Nableung Gate was built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originated in Ayodhya.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was identified in the relief of the Nableung Gate, and in this process, we looked a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details of the relief. I tri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Divine Fish, focused on the context of the entire relief, and examined the orig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the twin fish in Ayodhya based on the results of my field trip in Ayodhya and Faizabad. Twin fish emblem is widely distributed not only in Ayodhya but also in adjacent Faizabad, and is usually built on the main gate of old buildings. The history of the gates of the buildings suggests that Ayodhya's twin fish emblems were formed in the early 19-20th century, while Faizabad’s ones were formed in the 18th-19th century. It is unlikely that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buildings was introduced to Gaya Kingdom along with Huh Hwang-ok,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win fish emblem appeared in Ayodhya and Faizabad after 18th century.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similarities between the Divine Fish of Nableung Gate and the twin fish emblem of Ayodhya. 1977년 이종기의 『가락국 탐사』(駕洛國探査) 이래 쌍어문(雙魚紋)과 허황옥에 관한 김병모의 고고학적 연구 결과는 무비판적으로 수용되었으며, 납릉정문(納陵正門) 신어(神魚)의 아요디야(Ayodhya) 유래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문화전파론에 의거한 김병모의 연구는 이 두 곳 신어상과 쌍어문의 기원과 유래를 간과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지적되었다. 한편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가능성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단지 납릉정문이 조선 중기에 건축되었기 때문에 납릉정문 신어와 고대의 가락국 또는 가락국과 아요디야를 직접 연결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납릉정문 신어의 아요디야 유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납릉정문 부조에서 신어의 의미를 규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부조의 변형과정과 세부 내용에 대한 오해도 살펴보았다. 부조 전체의 콘텍스트에서 납릉정문 신어가 지니는 의미를 규명했으며, 현지답사를 토대로 아요디야 쌍어문의 특징적인 양식뿐만 아니라 기원과 유래를 규명하였다. 쌍어문은 아요디야뿐만 아니라 인접한 파이자바드(Faizabad)에도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대개 오래된 건축물의 정문 위에 조성되어 있다. 쌍어문이 있는 건축물의 역사로 볼 때, 아요디야 쌍어문의 조성시기는 대체로 19-20세기 초이며, 파이자바드의 쌍어문은 이보다 1-2세기 이른 18-1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요디야와 파이자바드에 쌍어문이 나타난 것은 18세기 이후라는 사실로 볼 때, 납릉전문의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뿐만 아니라 그 외양이나 의미에서도 이 둘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납릉정문 신어상이 아요디야의 쌍어문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으며, 납릉정문 신어상과 아요디야 쌍어문의 일치를 전제로 한 김병모의 ‘허황옥루트’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인도철학의 관점에서 본 대순사상

        이거룡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9 대순사상논총 Vol.20 No.-

        There is no place in the scriptures of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where Indian philosophy is directly discussed. The philosophies dealt with in Daesoon thought are mostly those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f course, the thoughts that are not widely known and those that are not considered to be worth comparing with the Daesoon thought must have been omitted. It seems that Indian philosophy and Daesoon thought have considerable similarity. First of all, the two philosophies are rooted in religion. True, there is no dearth of religious philosophies in the East, for instance, Confucianism and Taoism, and yet comparing Daesoon thought and Indian philosophy is significant because they both presuppose a theistic paradigm. At the core of the two perspectives, there is personal God, i.e., Isvara or Gucheon Sangje(九天上帝), upon whom human beings and the world absolutely depend as his creation. Unlik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the two philosophies are alike in being indifferent to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deity and focusing on his form and role.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y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four tenets of Daesoonjinrihoe(Eumyanghapdeok 陰陽合德, Shininjohwa 神人調化, Haewonsangsaeng 解寃相生, Dotongjingyeong 道通眞境) from the perspective of Indian philosophy in general, Purusa-sukta of Rig-veda, theistic Upanisads, and Ramanuja's Visistadvaita(限定不二論) in particular. Before making up the main subject, the author inquire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Ultimate Reality in Daesoon thought and Indian philosophy.

      • KCI등재

        바가바드기따(Bhagavadgītā)의 보편성 : 까르마요가(karma-yoga)를 중심으로

        이거룡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The Bhagavadgītā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Gītā) is perhaps the most famous, and definitely the most widely-read, religious text of ancient India, which is contained in the Bhīṣma-parva of the Mahābharata, the greatest Sanskrit epic. The Gītā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that define the essence of Hinduism, and all over the world Hindus chant from The Gītā during most of their religious ceremonies. Mahātmā Gāndhi calls it "the universal mother whose door is wide open to anyone who knocks," and further says that "a true votary of the Gītā does not know what disappointment is. He ever dwells in with perennial joy and peace that passeth understanding." The Gītā deals with metaphysics, religion and ethics, and has been rightly called the 'Gospel of Humanity.'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popularity of the Gītā in India as well as throughout the world, centering on karma-yoga, one of the most significant messages of the Gītā. First of all, we can find out the basis of universal popularity of the Gītā l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Kṛṣṇa, the most venerated and popular of the incarnations of Lord Viṣṇu. Because Kṛṣṇa was originally a primitive non-Aryan god and became an avatāra of Viṣṇu, he could be acceptable to both Aryans and non-Aryans. Also, as Puruṣottama, Kṛṣṇa in the Gītā has dual characteristics of Īśvara and Brahman, and therefore He is regarded as the meeting point of personal theism and impersonal monism which are the two mainstream of Indian philosophy. Karmayoga makes the Gītā the 'Gospel of Humanity.' As the Gītā said, "None can ever remain really actionless even for a momen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abstain from action. The universe itself depends on actions. Work keeps up the cycle of the universe and it is the duty of every individual to help it. Karmayoga is the way of renunciation in action. The Gītā points out that the binding quality of an action does not lie in its mere performance but in the motive or desire that prompts it. Karmayoga is not negation of action, but performance of actions in a detached spirit. Again, karmayoga in the Gītā is not opposed to jñānayoga. In fact, the former is possible only when the latter is attained. The Gītā represents a unique synthesis of action and knowledge. I also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Gītā instructed niṣkāmakarma (desireless action) or karmayoga on the basis of the law of karma it could get the universal popularity. 이 논문의 목적은 바가바드기따가 인도에서 뿐만 아니라 서양과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읽히는 근거를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기따가 인도 안에서 계급과 지역을 초월하여 널리 읽힐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도 기따의 주신(主神)인 끄리슈나(Kṛṣṇa)가 지닌 보편성에서 찾을 수 있다. 끄리슈나는 아리야(Ārya)적인 요소와 토착적인 요소를 동시에 지니며 또한 인도의 유신론전통과 초신론(超神論, super-theism)전통을 동시에 지닌다. 이런 까닭에 끄리슈나는 인도의 모든 사람들에게 거부감이 없는 신일 수 있었으며, 기따의 가르침 또한 인도의 모든 대중들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로 다가갈 수 있었다. 기따의 뿌루숏따마 개념이 궁극적 실재의 인격적 측면과 중성적 형이상학적 실재로서의 측면을 구유(具有)한다는 점에서 보면, 기따의 궁극적 실재는 인도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모든 종교전통이 추구해온 궁극적 실재 개념의 접점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기따가 인도를 넘어 범인류적인 구제의 도를 전하는 고전일 수 있는 근거는 기따의 주요 가르침인 까르마요가(행위의 길)에 있다. 까르마요가는 행위 속에서 행위의 초월 또는 행위로 업을 없애는 ‘행위의 기술’이다. 살아있는 한, 행위는 모든 사람이 겪는 보편적인 현상이며, 까르마요가는 지식이나 신에 대한 헌신이 아니라 행위를 통하여 삶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범인류적인 보편성을 지닌다. 해탈에 이르는 길이라는 점에서 까르마요가는 까르마의 법칙과 상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까르마요가는 오히려 까르마의 법칙을 그 전제로 수용하면서 까르마의 초월을 가르친다는 점에서 보다 광범위한 보편성을 지닐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