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ㆍ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황해익(Hwang Hae-Ik),최혜진(Choi Hye-Ji),배인숙(Bae In-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이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봄으로써,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돕고, 유치원 평가가 성공적으로 실시되기 위해 우선 파악되어야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과 울산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2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필요성 및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의 절차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인식,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 및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본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유치원 평가에 대한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도 교육과정영역과 종일반 운영 영역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조력활동에 대한 필요성이나 평가결과의 활용면에서는 공립유치원 교사들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and find out comments t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Ulsan, Busan. This study examined the common awareness, the process and method, assistance activity for kindergarten assessment and make use of result of kindergarten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was higher.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stronger view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that common awareness and necessity of kindergarten assessment in some items. Second,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re in agreement with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 in the first aim of kindergarten assessment is for ‘reconsideration of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national-level’. Third, both teacher's necessity on assistance activity was rated high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should be opened only to the evaluated kindergarten.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the teachers' awareness on the kindergarten assessment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hese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to help teachers who effectively participate with kindergarten assessment.

      • KCI등재

        보육교사 승급보수교육에 대한 교사와 시설장의 인식조사

        황해익(Hwang Hae-Ik),박성미(Park Seong-Mee),김정신(Kim Jeung-Shin),박선해(Park Sun-H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3

        본 연구는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보육교사 보수교육과정 중 승급보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승급보수교육 체계 구축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2급 보육교사(129명), 3급 보육교사(106명)와 시설장(264명)의 의견을 비교분석하여 승급보수교육에 관한 전반적 인식,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성과 등의 측면에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와 시설장 간의 의견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교육의 시기와 시간, 교육과목의 중요성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근거하여 보육교사 승급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 by directors and teachers on the child educare teachers' promotion in-service training currently conduc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educare teachers and to propose the way to make promotion in-service training more efficent. 264 child educare center directors, 129 second grade and 106 third grade certificated child edu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devised by the resarchers. Questionnaires consist of items about overall perception, contents, methods, and outcome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promotion in-service training. Perception on the currently conducted promotion in-service training was generally positiv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on the timing and duration on the training and on the priority of the subjects to be taught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황해익(Hwang, Hae-Ik),김은주(Kim, Eun-Ju),송주은(Song, Joo-Eun),김미진(Kim, Mi-Jin),유주연(Yu, J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숲유치원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숲유치원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숲유치원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 200명, 유아교사 20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3.8%), ‘보통이다’(26.9%)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았던 반면, 유아교사의 경우 ‘조금 안다’(42.9%), ‘잘 안다’(36.5%)라고 응답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숲유치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 응답자 전체가 ‘필요하다’(100.0%)라고 응답하여 숲유치원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사의 숲유치원에 대한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숲유치원의 운영방법, 숲 방문 횟수, 일일 운영시간, 보조인력, 활동공간, 활동공간 선정요소, 시작연령, 유아 대 교사 비율, 선결요건 및 문제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숲유치원 교사 및 교사의 자질, 영아 대 교사 비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숲유치원이 활성화 되고 정착되는 데 체계적인 대학교육 과정 및 숲유치원 연수과정, 관련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숲활동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 forest kindergarte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he forest kindergartens and to facilita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forest kindergarte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5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awareness of a forest kindergarten, man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plied that they were a little aware of it(43.8%) and that they were aware of it to a certain extent(26.9%), whereas a lo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 little aware of it(42.9%) and were well aware of it(36.5%). The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necessity of a forest kindergarten, every respondent of the two groups(100.0%) answered it was necessary, which showed that they felt strong needs for forest kindergart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needs for a forest kindergarten,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opinions on the operation of a forest kindergarten, the frequency of visiting a forest, daily office hours, assistant personnels, activity spaces,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of activity spaces, preschooler age, the ratio of preschooler to teacher, prerequisites and problem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ir opinions on forest kindergarten teachers, their qualifications and the ratio of infants to a teac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attempted to compare the two group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college curriculum, forest kindergarten training courses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re required for the successful entrenchment of forest kindergartens,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of diverse forest activities.

      • KCI등재

        유아의 수학학습잠재력 측정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및 전략유형 분석

        황해익(Hwang Hae-Ik),고은미(Ko Eun-M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 수학학습잠재력 측정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및 전략 유형을 분석해 봄으로써 오류의 개선과 효과적 전략 사용에 대한 수학학습잠재력 평가의 교수적 기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유아들에게 현재 나타나는 오류와 전략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교육방법이나 내용의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학학습잠재력 평가가 유아의 오류 및 전략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잠재력 평가를 통한 효과적인 수학교수활동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유아들은 수학학습잠재력 측정과정을 통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 무응답오류, 처리과정오류, 답말하기오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수학학습잠재력 측정과정의 훈련과 전이과정에서 구체물을 사용하는 전략을 경험함으로써 오류의 감소와 함께 정답률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function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 problem solving errors and effective use of mathematical strategy by analyzing types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error which was emerged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Namely this study is meant to provide educational data that selects proper instructional methods or content to improve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ies. It will also provide effective mathematical pedagogy by analyzing changes of young children's error and strategy affected by the process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The research content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score of each number range and math problem type in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for 4 years young children, (2) to analyze math problem solving error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3) to analyze math problem solving strategi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ubjects were 156 4 year-old children in 4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ignificant developmental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scores of each number range and math problem typesin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andthe token strategy was increased along with declining the rate of mathematical error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learning potentiality assessment.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강점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들의 인식

        황해익(Hwang, Hae-Ik),채혜경(Chae, Hye-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목적은 은유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가 유아교사의 강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7명, 부모 6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아교사의 강점은 이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 ’의 은유분석 설문지를 통해 유아교사의 강점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수집하였다. 체계적 은유 분석 절차를 통한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강점은 개인적 영역의 건강, 관용, 인내, 끈기, 공정, 순수, 긍정, 사랑과 전문적 영역의 능력자, 지원자, 조형자, 반영자, 안내자, 관찰자, 양육자, 연구자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 집단만이 가지는 독특한 강점을 살펴볼 수 있었고, 유아교사 강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are perceiving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metaphoric analysis. The participants(57 preschool teachers and 66 parents) completed a prompt,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 is like Because .” and then the metaph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following 18 themes as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tolerance, patience, endurance, pureness, justice, affirmation, love, a teacher as god, a teacher as supporter, a teacher as a molder, a teacher as a model, a teacher as a guide, a teacher as observer, a teacher as fosterer, a teacher as investigator. These results show the particular strengths existing with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group recognized by the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strength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황해익(Hwang Hae-Ik),박선해(Park Sun-Hae),박성미(Park Seong-Mee),김정신(Kim Jeung-Sh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교육원 운영과 발전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전국의 76개 보육교사교육원의 행정실무자와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보육교사교육원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학생 현황으로는 연령대가 다양했고, 고졸학력 뿐 아니라 2년제 이상의 대졸의 비율이 높았고, 미혼과 기혼자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또한 교직원 현황, 학생 모집 및 선발, 재정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양성교육 외에 보수교육, 기타 보육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교사교육원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교육원 관련 개정 법령 중 '보육교사 국가자격증 제도 도입'을 가장 적절하다고 보았으며,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학점은행제 도입에 대해 찬성하였고, 보육교사교육원 종합평가인증제의 실시는 필요하나 충분한 시간과 검토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plans of 76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 152 full-time staff members from 76 child educare teacher training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devised by the researchers were used. Questionnaires consist of item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roles of their centers, appropriation of new revised law concerning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pproval hours in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for training hours and necessity of evaluative-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cademic credit banking system for training hours in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nd evaluative-certification system for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are suggested for development plans of the child educare teachers training cent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child educare teacher.

      • KCI등재

        유아교사의 개인적 특성 및 근무환경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인식 연구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느끼고 경험하는 의사결정, 전문성 신장, 지위, 자아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6개 영역 56문항으로 구성된 교사 임파워먼트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전문성 요인에서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 정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아효능감, 자율성, 영향력, 의사결정, 지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는 연령, 학력, 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에 따른 임파워먼트는 설립 형태, 근무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mpowerment their perceptions on decision-making, professional growth, status, self-efficacy, autonomy, and impact, and the difference of empowerment perception level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y to prepare preliminary data as a way to lessen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250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56 items in 6 domains to measu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empowerment.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growth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empower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elf-efficacy, autonomy, impact, decision-making, status a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The perception of empowerment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experience and the positio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type and working hours are the main factor for the stress at work.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황해익(Hae Ik Hwang),김은정(Eun J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직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성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가 갖추어야 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개념 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기성적 표본과 예비유아교사의 개방형 응답을 통한 자연적 표본을 토대로 114개의 진술문으로 Q모집단을 구성하였고, 그 중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7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여, 그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인성에 대한 주관성은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각 유형을 ‘관계성과 안정성 중심의 사회관계적 인성형’, ‘새로움과 융통성 중심의 창의적 인성형’, ‘평등성과 존중성 중심의 민주적 인성형’, ‘이타성과 사회성 중심의 인간애적 인성형’, ‘긍정성과 열정 중심의 성취적 인성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to enable an accurat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formulation of the character or disposition requir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gaining an in-depth view of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subjective models of teacher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Based 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114 statements were derived to configure the Q population. Of these, 40 Q samples were selected for 37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to classify.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The results produced five subjective models of teacher disposi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five models or personality types can be labeled as follows: 1) social relations oriented (values relationships and stability); 2) creative (values novelty and flexibility); 3) democratic (values equality and respect); 4) humanity-oriented (values altruism and social skills); and 5) achievement-driven (values positivity and enthusiasm).

      • KCI등재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 개발연구

        황해익(Hwang Hae-Ik),남미경(Nam Mi-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원장역할의 중요성에 비추어 원장의 자질향상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는 유아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원장 평가를 위한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문헌고찰과 전문가 검토 및 1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3개 영역, 7개 부문, 53문항으로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결과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는 최종적으로 총 3개 영역, 7개 부문,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의 문항 양호도인 문항통과율과 문항변별도, 척도의 신뢰도인 문항내적합치도, 척도의 타당도인 공인타당도 자료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 literatures related to role and natural disposition of principal of kindergarten.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equacy of the items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Second, the validity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Third, the reliability o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consisted of 53 items in 7 sub-areas of 3 major areas with 5-point rating. The major areas was general,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 as the result of adequacy of the items, response distribution on each items and means, standard deviation was goodness. And as the result of t-test, between the higher 27% and lower 27% of self-evaluation score, the all items were significantly discriminated. Second, as the result of validity of the scale, 7 factors of 37 items explained 65.29%. Third, as the result of reliability of the scal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77~.92 in the sub-areas and .96 in the total scale. In conclusion, this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principal of kindergarten turns out to ha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o measure principal's abilities of kindergar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