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극적 관찰요법을 시행한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의 주산기 예후

        황종대(Jong Dae Whang),노정래(Cheong Rae Roh),양순하(Soon Ha Yang),이지수(Ji Soo Lee),김우영(Woo Young Kim),유진경(Jin Kyung Yo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본 연구는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에 있어서 관찰요법후의 주산기 예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임신 20-28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32례에 대하여 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산과적 처치의 목표는 일차적으로는 관찰요법을 통하여 임신 32주까지 분만을 지연시키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집중감시와 적극적인 처치를 통해 태아 안녕을 유지시키는 것이었다. 모든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 임신 20-28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총 30명의 산모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으며 조기 양막파열의 시점은 14례에서 20-25주(평균 24.2주)였고 16례에서 26-28주(평균 27.2주)이었다. 분만까지의 잠복기의 중앙값은 임신 20-25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경우는 309시간, 임신 26-28주에 발생시는 234시간을 나타냈다. 전체 대상군에서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발병률은 각각 10%와 72%를 보였다. 연구대상 중 태아사망은 없었으며 신생아 사망은 8명이었다. 주산기 생존율은 임신 20-25주에 조기 양막파열된 경우에서는 50%, 임신 26-28주군의 경우는 94%를 보였다. 결론 : 임신 2기 조기 양막파열에 있어서 관찰요법은 이제까지 알려져온 것 이상으로 주산기 생존율의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inatal outcomes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OM) during the second trimester. Methods : Thirty-two consecutive pregnancies with PROM at 20-28 weeks of gestation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goals of management were to prolong the pregnancies to 32 weeks through active expectant management and to avoid fetal compromise through close monitoring and active intervention.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Results : Total 30 pregnant women with rupture of membranes at 20-28 weeks were included.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mean 24.2) in 14 women and at 26-28 weeks(mean 27.2) in 16 women. The median latency periods to delivery were 309 hours and 234 hours when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 and at 26-28 weeks, respectively. Overall incidences of clinical and histologic chorioamnionitis were 10% and 72%. There were no fetal deaths and 8 neontal deaths. When rupture of membranes occurred at 20-25 weeks and at 26-28 weeks, the perinatal survival rates were 50% and 94%, respectively. Conclusion : Active expectant management of second-trimester PROM offers better perinatal survival than previously thought.

      • KCI등재

        자궁 원인대의 복막외 부위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2 예

        황종대(Jong Dae Whang),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노정수(Jeong Soo Noh),김정식(Jeong Sik Kim),주인숙(In Sook J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

        Extraperitoneal inguinal endometriosis often presents as an inguinal mass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Approximately 40 cases of inguinal endometriosi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sutgical and gynecological literature. The overall incidence is in the range of 0.4% of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right side is much more commonly involved than the left (almost 90% of the time in one series of 23 patients), and rarely is the condition bilateral. The most frequent complaint of patients with inguinal endometriosis is an inguinal mass, followed by pain and enlargement of the mass near menstruation. Authors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endometriosis of the extraperitoneal portion of the round ligament of uterus and report with a brief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연부 포상육종 ( Alveolar soft - part sarcomas ) 1 예

        김지영(Ji Young Kim),황종대(Jong Dae Whang),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1

        Alveolar soft-part sarcoma of the female genital tract are extremely rare. Fewer than 30 cases have been described in the literature. We experienced a case of alveolar soft-part sarcoma of the female genital tract which was diagnosed by routine light microscopic study using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경부암 검진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의 임상적 의의

        신경자(Kyung Ja Shin),황종대(Jong Dae Whang),유진경(Jin Kyung Yoo),한국선(Kuk Sun Han),오영륜(Young Lyun Oh),노정래(Cheong Rae Roh),박창수(Chang Soo Park),배덕수(Duk Soo Bae),이제호(Je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2

        목적 :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로 미확정 비정형성 편평세포변화(ASCUS) 혹은 그 이상으로 판독된 여성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DNA 검사를 시행하여 고등급 편평 상피내 병변(HSIL)과 편평 상피암의 진단에 대한 임상적 가치를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에서 검진받은 총 자궁경부세포진 검사상 조직검사로 확인된 169명을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법(PCR)을 이용한 고위험군 HPV DNA (아형 16, 18, 33)검사, 반복 세포진 검사 그리고 질확대경 조준하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결과 : HPV DNA 양성유무는 비정상 세포진 검사와 조직검사 상 HSIL 및 편평상피암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34). 169명을 대상으로 조직검사로 확인된 38명의 HSIL과 편평상피암을 동정해내는 확률을 단계적 프로토콜로 비교 검토했을 때 세포진 검사와 HPV DNA 검사는 민감도 65.8%(25/38), 특이도 85.5%(112/131), 양성 예측도 56.8%(25/44) 그리고 음성 예측도 89.6%(112/125) 를 나타내었다. 결론 : PCR을 이용한 HPV DNA 검사는 비정상 세포진 소견을 가지고 있는 여성에게 치료가 필요한 HSIL 및 편평상피암을 향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라 할 수 있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clinical value of human papillomavirus deoxyribonucleic acid(HPV DNA) testing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specifically to examine whether HPV testing could identify the women with Pap smears read as mostly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ASCUS) or more. Methods : HPV DNA testing by PCR for 3 high-risk cancer associated genotypes(HPV 16, 18, 33), repeat Pap smears and colposcopically directed punch biopsie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on 169 women referred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test with a previous Pap smear read as ASCUS or more. Results : HPV DNA testing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bnormal cytology and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HSIL) and squamous cell carcinoma(SCC) in histology(P=0.034).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of Pap smear and HPV testing for identifying 38 cases of histologically confirmed HSIL and carcinoma by different triage protocols(HPV positive or HSIL or SCC) among 169 women were 65.8%(25/38), 85.5%(112/131), 56.8%(25/44) and 89.6%(112/125), respectively. Also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were varied by ages and more higher in older. Conclusion : HPV DNA testing by PCR appears to offer an effective means by which women whose cervical Pap smears have been read as ASCUS or more could be triaged for colposcopically directed biopsy. The sensitivity for HSIL could be maintained in high and specificity markedly improved by HPV genotypes 16, 18, 33.

      • KCI등재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분만 잠복기의 예측지표로서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의 유용성

        양순하(Soon Ha Yang),박선혜(Seon Hye Park),오성희(Sung Hee Oh),황종대(Jong Dae Whang),노정래(Cheong Rae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만삭전 조기양막파열 산모에서 잔여 양수량의 측정방법으로 양수지수를 사용하여 양수지수와 입원에서 분만까지 잠복기간의 연관관계를 증명하며,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있어 양수지수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양수지수에 따른 주산기 예후를 비교함으로써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입원시 양수지수 측정의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조기양막파열로 진단된 24-34주의 단태임신 10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환자에서 입원직후 경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양수지수를 측정하였다. 모든 산모와 신생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임신경과와 주산기 예후를 조사하였고 입원에서 분만까지의 시간 간격을 분만 잠복기로 정의하였다. 통계처리에는 Spearman's rho rank correlation, ROC curve analysis, survival analysis 및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와 분만 잠복기간에는 의미있는 정비례적인 연관관계가 있었다. ROC 곡선분석에 의하면 양수지수는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있어 유용함을 보이고 있었다. 양수지수 5.0 이하인 경우는 5.1 이상의 경우보다 분만잠복기가 짧았으며, 이는 교란인자의 보정 후에도 그 유의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양수지수 5.1 이상인 군과 이하인 군의 임신결과와 주산기 예후를 비교할 때, 5.0 이하인 군에서 태아곤란증에 의한 제왕절개 빈도가 높았으며, 융모양막염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제태주령을 보정한 후의 주산기 사망률 및 감염성 이환을 비롯한 신생아 이환율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만삭전 조기양막파열에서 입원시 측정한 양수지수는 분만 잠복기와 정비례적인 연관관계가 있으며 48시간 이내의 짧은 분만 잠복기의 예측에 진단적 유용성을 갖고 있다. 5.0 이하의 양수지수는 보다 짧은 분만 잠복기의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sidual amniotic fluid volume, as measured by the amniotic fluid index(AFI), on the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and perinat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PPROM). Methods: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03 singleton pregnancies with PPROM between 24 and 34 weeks' gestation. Amniotic fluid index was determined using transabdominal ultrasound at admission. Latency period was defined as time interval in hours between admission and delivery. All medical records of mothers and neonates were reviewed. Spearman's rho rank correlation, receiver-operator characteristic(ROC) curve analysis, survival analysis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tency period and AFI at admission. ROC curve analysis showed that AFI at admission had a significant predictive value in the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 48 hours. Surviv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AFI < 5.0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shorter latency perio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indicated that AFI < 5.0 was a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occurrence of latency period < 48 hours even after adjustment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The patients with AFI < 5.0 had a higher rate of cesarean section due to fetal distress than those with AFI > 5.0 but the incidence of chorioamnionit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mparing the perinatal mortality and neonatal morbidity including infectious morbidity between the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AFI < 5.0 and those with AFI > 5.0, there was no significance after adjustment of gestational age at birth. Conclusion: AFI at admiss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ency period and predictive value in prediction of latency period in the patients with PPROM. AFI < 5.0 is a independent predictor for the shorter latency period.

      • KCI등재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Dexamethasone 다회 투여가 임신부 및 신생아의 주산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태중(Tae Joong Kim),김우영(Woo Youg Kim),유진경(Jin Kyung You),황종대(Jong Dae Whang),양순하(Soon Ha Yang),이제호(Je Ho Lee),노정래(Cheong Rae Ro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에서 산전 dexamethasone 투여가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과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 및 융모양막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 대상 및 방법 : 임신 24주에서34주 사이의 조기양막파수로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 산모를 dexamethasone 투여횟수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 (1) 산전 dexamethasone 을 투여받지 않은 군 (대조군) (2) 5mg dexamethasone 4회를 12시간 간격으로 근주 또는 정주 투여받은 군 (1회 요법) (3) 초기 1회 요법이 끝난 후 1주 간격으로 dexamethasone 추가 투여받은 군 (다회 요법). 모든 산모들은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받았다. 불연속 변량은 Chi-squre test, 연속 변량은 analysis of variance를 통해 세 군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교란변수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는데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 및 융모양막염의 위험인자로 여겨지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와 융모양막염을 각각 종속변수로 삼아 통계분석을 하였다. P<0.05 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결과 : 129명의 조기양막파수 임신부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는데, 대조군 37명, 일회 요법군 68명, 다회 요법군 24명이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과 융모양막염 및 조기발생 신생아 패혈증의 발생 빈도는 산전 dexamethasone 투여횟수와 상관성이 없었다.결론 : 조기양막파수에서 산전 dexamethasone 투여횟수에 따라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이 감소되거나 신생아 및 모체 감염이 증가되지 않는다.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enatal dexamethasone exposure on the incidence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in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others admitted between 24 and 34 weeks' gestation afte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dexamethasone exposures: (1) none (control subjects), (2) four 5-mg doses in a 12-hour interval on admission (single course), and (3) weekly administration after the initial single course (multiple courses). All included patients received prophylactic antibiotics. Discrete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with the x2 test. Continuous data were tested for significance with an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founding effect of the multiple variables that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All P value of <.05 were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 One hundred twenty nine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were included, 37 of whom were evaluated in the control group, 68 in the single-course group, and 24 in the group receiving multiple courses of dexamethasone. The incidence of neonatal RDS, chorioamnionitis and early-onset neonatal sepsi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antenatal dexamethasone exposures.Conclusions : Multiple courses of antenatal dexamethasone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is not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neonatal RDS and an increased risk of early-onset neonatal sepsis and maternal chorioamnionit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