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산양에서 Xylazine으로 억제된 제1위 운동에 대한 Yohimbine의 효과

        황인갑,남치주,정창국,Hwang In-Gab,Nam Tchi-Chou,Cheong Chang-Kook 한국임상수의학회 198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5 No.1

        The effect of yohimbine HCI(0.25mg / kg) on xylazine(0.15mg /kg) induced depression of rumen motility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electromyography of luminal wall in korean native goats. Yohimbine was administrated 5 min pre-xylazine injection, 5 min and 15 min after xylazine injection. The duration of lumen motility in cases of xylazine alone administration, yohimbine administration 5 min pre-xylazine injection, 5 min post-xylazine, and 15 min post-xylazine was 47-64, 36-40, 28-29, and 15-17 min, respectively. It is demonstrated that lumen contractions were inhibited by xylazine and the inhibition was most rapidly reversed by the administration of yohimbine 15 min after xylazine injection in which goat was completely sedated.

      • KCI등재

        전기자동차의 3-코일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코일의 비 정렬에 관한 연구

        황인갑(In-Gab Hwa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1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3-코일 자기공진방식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등가회로 모델로 해석하여 시스템의 ∣S21∣을 3개 코일의 Q와 송신코일과 중계코일, 중계코일과 수신코일의 커플링 계수 k의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유도된 수식으로부터 중계코일이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의 중앙에 위치할 때 최대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수식으로 제시하고 실험으로 그 결과가 타당함을 보였다.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의 거리가 30 ㎝이고 두 코일이 정렬되었으며 중계코일이 두 개의 코일 중앙에 위치하였을 때 9 %의 최대 효율을 얻었다.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비 정렬된 경우는 정렬된 경우에 비하여 효율이 떨어지나, 중계코일을 회전시키면 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실험으로 보였다. 전기자동차의 무선충전 시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비 정렬되면 효율이 정렬 시와 비교해 많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런 경우 중계코일을 사용하고 중계코일을 회전시킴으로써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3-coil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was analyzed using an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the ∣S21∣ of the system was expressed as the equation of the Q of the three coils, the coupling coefficient k between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lay coil, the relay coil and the receiving coil. It is suggested that the maximum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en the relay coi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ransmitting and the receiving coil.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the receiving coil is 30 ㎝ and the two coils are aligned, maximum efficiency of 9 % is obtained with the relay coil centered between the coils. If the transmitting coil and the receiving coil are misaligned during a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the efficiency is expec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aligned case.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using a relay coil and by rotating the coil.

      • KCI등재

        고효율 특성을 갖는 양방향 공진컨버터

        박준형(Jun-Hyoung Park),이승민(Seung-Min Lee),김은수(Eun-Soo Kim),황인갑(In-Gab Hwang),공영수(Young Su Kong) 전력전자학회 2013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18 No.5

        In this paper, For achieving the high gain and resonant characteristics in both of the power flow directions, a bidirectional resonant dc-dc converter with auxiliary switches is proposed. Auxiliary switches are connected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 of the bidirectional resonant dc-dc converter, respectively. A 800W prototype bidirectional resonant dc-dc converter for interfacing the 400V DC buses in the energy storage system is built and tes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is proposed convert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0.18㎛ NMOS 캐스코드 전류원 구조의 2.4㎓ 콜피츠 전압제어발진기 설계 및 제작

        김종범(Jong-Bum Kim),유정호(Chong-Ho You),최혁산(Hyuk-San Choi),황인갑(In-Gab Hwang)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Vol.59 No.12

        In this paper a 2.4㎓ CMOS colpitts type microwave oscillato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H-spice and Cadence Spetre. There are 140㎒ difference between the oscillation frequency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a tank circuit of the designed oscillator. The difference is seemed to be due to the parasitic component of the transistor. The inductors used in this design are the spiral inductors proposed in other papers. Cascode current source was used as a bias circuit of a oscillator and the output transistor of the current source is used as the oscillation transistor. A common drain buffer amplifier was used at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The measured oscillation frequency and output power of the oscillator are 2.173㎓ and -5.53㏈m.

      • KCI등재

        PHEMT 크기 최적화를 이용한 무선랜용 5 GHz 대역 MMIC 전력증폭기 설계 및 제작

        박훈,황인갑,윤경식,Park Hun,Hwang In-Gab,Yoon Kyung-Sik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6A

        In this paper an MMIC 2-stage power amplifier i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5GHz wireless LAN applications using $0.5{\mu}m$ gate length PHEMT transistors. The PHEMT gate width is optimized in order to meet the linearity and efficiency of the MMIC power amplifier. The $0.5{\mu}m\times600{\mu}m$ PHEMT for the drive stage and $0.5{\mu}m\times3000{\mu}m$ PHEMT for the amplification stage are the optimized sizes to achieve more than 25dBc of third order IMD at the power level of 3dB back-off from the input P1dB and more than 22dBm output power under a supply voltage of 3.3V. The two-stage MMIC power amplifier is designed to be used for the both of HIPERLAN/2 and IEEE 802.11a because of its broadband characteristics. The fabricated PHEMT MMIC power amplifier exhibits a 20.1dB linear power gain, a maximum 22dBm output power, a 24% power added efficiency under 3.3V supply voltage. The input and output on-chip matching circuits are included on a chip of $1400\times1200{\mu}m^2$. 본 논문에서는 게이트 길이 $0.5{\mu}m$의 GaAs PHEMT를 이용하여 5 GHz 대역 무선랜에 사용 가능한 MMIC 2단 전력증폭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PHEMT 게이트 폭을 MMIC 전력증폭기에 요구되는 선형성과 PAE(전력부가효율)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최적화하였다. 입력 P1dB로부터 3dB back-off전력에서 25dBc이상의 IMD와 공급전압 3.3V에서 22dBm 이상의 출력을 얻기 위하여 $0.5{\mu}m\times600{\mu}m$크기의 구동단 PHEMT와 $0.5{\mu}m\times3000{\mu}m$ 크기의 증폭단 PHEMT를 사용하였다. 2단 MMIC 전력증폭기는 광대역 특성으로 HIPERLAN/2와 IEE802.11a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제작된 PHEMT MMIC 전력증폭기는 3.3V에서 동작할 때 최대 20.1dB의 선형 이득과 22dBm의 최대 출력전력, 24%의 PAE을 보여주며, 입력과 출력 정합회로를 온 칩으로 설계한 전력증폭기의 칩 크기는 $1400\times1200{\mu}m^2$이다.

      • KCI등재

        피드백 저항 제어에 의한 무선랜용 가변이득 저전압구동 저잡음 증폭기 MMIC

        김근환,윤경식,황인갑,Kim Keun Hwan,Yoon Kyung Sik,Hwang In Gab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0A

        본 논문에서 ETRI 0.5$\mu\textrm{m}$ MESFET 라이브러리 공정을 이용하여 동작 주파수 5GHz대 저전압구동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MMIC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 저잡음 증폭기는 HIPERLAN/2의 Adaptive Antenna Arrays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득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는 2단 캐스케이드 구조이며, 게이트전압에 따라 채널저항이 제어되는 증가형 MESFET과 저항으로 구성된 부귀환 회로를 제안하였다. 제작된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의 측정값은 $V_{DD}$ =1.5V, $V_{GG1}$=0.4V, $V_{GG2}$=0.5V일때 5.5GHz의 중심 주파수, 14.7dB의 소신호 이득, 10.6dB의 입력 반사손실, 10.7dB의 출력 반사손실, 14.4dB의 가변이득, 그리고 잡음지수 2.98dB이다. 또한,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는 -19.7dBm의 입력 PldB, -10dBm의 IIP3, 52.6dB의 SFBR, 그리고 9.5mW의 전력을 소비한다.다.다. A variable-gain low-voltage low noise amplifier MMIC operating at 5GHz frequency band i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TRI 0.5$\mu\textrm{m}$ GaAs MESFET library process. This low noise amplifier is designed to have the variable gain for adaptive antenna array combined in HIPERLAN/2. The feedback circuit of a resistor and channel resistance controlled by the gate voltage of enhancement MESFET is proposed for the variable-gain low noise amplifier consisted of cascaded two stages. The fabricated variable gain amplifier exhibits 5.5GHz center frequency, 14.7dB small signal gain, 10.6dB input return loss, 10.7dB output return loss, 14.4dB variable gain, and 2.98dB noise figure at V$\_$DD/=1.5V, V$\_$GGl/=0.4V, and V$\_$GG2/=0.5V. This low noise amplifier also shows-19.7dBm input PldB, -10dBm IIP3, 52.6dB SFDR, and 9.5mW power consumption.

      • KCI등재

        거동모델을 이용한 무선랜용 MMIC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 설계

        박훈,윤경식,황인갑,Park, Hun,Yoon, Kyung-Sik,Hwang, In-Gab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6A

        본 논문에서 0.5$\mu\textrm{m}$ GaAs MESFET을 이용하여 5GHz대 무선랜에 사용 가능한 MMIC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이득과 잡음성능이 우수한 증가형 GaAs MESFET과 선형성이 좋은 공핍형 MESFET 조합의 캐스코드 구조로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Turlington의 점근선법을 이용하여 MESFET의 비선형 전류 전압특성에 대한 거동 모델 방정식을 도출하였다. 이로부터 캐스코드 증폭기의 공통 소오스 FET는 4${\times}$50$\mu\textrm{m}$ 크기의 증가형 MESFET으로 공통 게이트 FET는 2${\times}$50$\mu\textrm{m}$ 크기의 공핍형 MESFET으로 설계하였다. 제작된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기의 잡음지수는 4.9GHz에서 2.4dB, 가변 이득범위는 17dB이상, IIP3는 -4.8dBm이며, 12.8mW의 전력을 소비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an MMIC variable gain LNA for 5GHz wireless LAN applications, using 0.5${\mu}{\textrm}{m}$ gate length GaAs MESFET transistors. The advantages of high gain and low noise performance of E-MESFETS and excellent linear performance of D-MESFETS are combined as a cascode topology in this design. Behavioral model equations are derived from the MESFET nonlinear current voltage characteristics by using Turlington's asymptote method in a cascode configuration. Using the behavioral model equations, a 4${\times}$50${\mu}{\textrm}{m}$ E-MESFET as a common source amplifier and a 2${\times}$50${\mu}{\textrm}{m}$ D-MESFET as a common gate amplifier are determined for the cascode amplifier. The fabricated variable gain LNA shows a noise figure of 2.4dB, variable gain range of more than 17dB, IIP3 of -4.8dBm at 4.9GHz, and power consumption of 12.8m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