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5 ( s ) - 15 Methly Prostaglandin F2α질정에 의한 중기 임신 중절 및 만삭유도분만에 관한 연구

        황익하(IH Whang),김세광(SK Kim),송찬호(CH Song),곽현모(HM Kwa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2

        1976년 9월부터 1977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중기 임신중절이나 유분만을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중 임신중절 18예, 유도분만 7예, 총 25예에 대하여 15(s)-15 methyl prostaglandin F2α 질정을 사용하여 중기 임신중절 및 유도분만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공률은 중기 임신중절의 경우 94.4%였고 유도분만의 경우 100%였다. 2. 평균 소요시간은 중기 임신중절의 경우 17.71시간이었으며 유도분만의 경우 14.01시간이었다. 3. 질정의 평균 사용량은 중기 임신중절의 경우 11.82mg, 유도분만의 경우 9.28mg이 사용되었다. 4. 부작용으로는 오심과 설사가 각각 21예(84%)로 가장 빈번하였으며 구토가 15예(60%)이었다. 그 중 설사가 평균 발생횟수 4.33회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1。C 이상의 발열반응은 5예(20%)에서 볼 수 있었다. 5. 질정 삽입중 현저한 혈압 및 맥박의 변화는 없었다. 6. 이상의 결과로 보아 15(s)-15 methyl prostaglandin F2 질정은 중기 임신중절이나 유도분만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나 부작용의 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A Study of 15(s)-15 Methyl Prostaglandin F2α Vaginal Suppositories for Midtrimester and Induction of Labor The study is a clinical analysis of 25 case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t. of Ob. & Gyn. of Severance Hospital from September 1976 to February 1977.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 ollows: 1) The abor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in 17 cases (94.4%) of 18 cases and succe ssful induction-delivery was 100%. 2) The mean abortion time was 17.71 hours and the mean induction-delivery time was 14.01 hours. 3) The mean total dosage of 15(s)-15 methyl prost aglandin F2 was 11.82mg in mid-trimester abortion and 9.28mg in induction-delivery. 4) Th e most common side effects consist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neusea (84%), diar rhea (84%), vomitting (60%) and temperature elevation (2%). 5) No significant changes occurr ed 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 KCI등재

        자간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세광(SK Kim),황익하(IH Whang),이상용(SR Lee),홍순배(SB Hong),박찬규(CK Park),정순오(SO Chu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9

        1965년 1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만 12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분만하였던 산모 총 21,704명중 224예의 자간증을 대상으로 의무기록부의 자료를 중심으로 임상통계학적으로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분만수에 대한 자간의 발생빈도는 1000분만당 10.3이었고, 연도별로는 특기할만한 변화가 없었다. 2) 임신자간, 분만자간, 산욕자간의 빈도는 각각 70.1%, 19.2%, 10.7%였다. 3) 연령별 분포는 분만수가 제일 많은 25-29세군에서 38.9%로 가장 많았다. 4) 경산회수별 분포는 초산부가 66.5%, 경산부가 33.5%였다. 5) 계절별로는 동계에 29.4%로 가장 많았고 춘계, 추계, 하계의 순이었다. 6) 임신기간에 따른 분포는 37-40주군이 66.5%로서 가장 많았고, 평균임신기간은 37.7주였다. 7) 산전관리를 받지 않았던 경우가 86.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8) 경련회수는 1회가 29.5%로 가장 많았으며, 경련과 분만사이의 시간은 25-72시간군이 38.5%로서 가장 많았다. 9) 동반된 질환은 조기파막이 27.1%로서 가장 많았고, 빈혈이 22.9%, 쌍태아와 만성고혈압성 혈관질환이 각각 14.3%였다. 10) 분만방식은 질식분만이 88.9%, 제왕절개술이 11.1%였으며, 질식분만중 자연분만이 49.1%로서 가장 많았으며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중 아두골반불균형이 6.2%로서 가장 많았다. 11) 질식분만의 마취는 회음부 차단마취가 52.2%로서 가장 많았으며, 국소마취와 전신마취가 각각 12.9%, 1.4%였으며, 제왕절개술시의 마취방법은 대부분이 전신마취였다. 12) 모성사망율은 자퇴하거나 전과시킨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간증의 병발증으로 인하여 4명의 사망환자를 기록하여 모성사망율은 100,000 생아출생당 19였으며, 모성사망의 원인으로서는 패혈증, 뇌졸증, 폐부종 및 급성신부전증이었다. 13) 출생시 태아체중에 따른 예후는 사산이 11예, 신생아사망 8예로서 사산율은 1,000 출생당 48.2, 신생아사망율은 1,000 생아출생당 36.9로서 그 주산기사망율은 1,000 출생당 83.3이었다. 14) 태반의 무게는 600-699gm 군이 41.7%로서 가장 많았다. 15) 입원시에 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60-199mmHg군이 48.3%, 이완기혈압이 110-129mmHg군이 49.5%로서 가장 많았다. 16) 입원시 혈색소는 12.0-13.9gm%군이 49.1%로 가장 많았고, 10.0gm% 미만인 경우도 7.1% 있었으며, 혈구용적지표는 36.0-41.9%군이 48.7%로서 가장 많았다. 17) 혈액의 주요 화학적 검사소견인 Na, In order to study a variety of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ecalamptic patients, a retrospective survey of obstetric records of 224 eclampt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between 1965 and 1976, was carried out in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eclampsia was 10.3 per 1,000 deliveries. 2. The distribution of antepartal, intrapartal, and postpartal eclampsia was 70.1%, 19.2%, and 10.7% respectively. 3. 38.9% of the patients were in the age 25-29, which was most prevalent childbirth group. 4. 66.5% of the patients were primigravids. 5. 29.4% of the patients occurred in winter which was followed by spring, autumn, and summer in order. 6. 66.5% were in the gestational period 37-40 weeks. The average duration of gestation was 37.7 weeks. 7. 86.1% of the patients received no antenatal care. 8. 29.5% of the patients had a single convulsion, which was most frequent number of convulsion. 38.5% of the patients convulsed within 25-72 hours before and after delivery. 9. Among the associated diseases, the incidence of SPRM was 27.1% and anemia, twins, chronic hypertensive vascular disease were 22.9%, 14.3%, 14.3% respectively. 10. 88.9% of the patients were delivered vaginally, 11.1% were performed cesarean section. Among the vaginal delivery, 49.1% delivered spontaneously. The most frequent indication for cesarean section was CPD(6.2%). 11. 52.2% of the patients received pudendal blocks. In case of cesarean section the majority had general anesthesia. 12. The maternal mortality from eclampsia managed in YUMC was 19 per 100,000 live births. 13. The stillbirth rate was 48.2 per 1,000 births and the neonatal mortality rate 36.9 per 1,000 live births. The overall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83.3 per 1,000 births. 14. 41.7% of the patients were in the placental weight 600-699, grams. 15. 48.3% of the patients were in the systolic BP 160-199mmHg on admission and 49.5% the diastolic BP 110-129mmHg. 16. 49.1% of the patients were in the hemoglobin level 12.0-13.9gm%

      • KCI등재

        복강불임술 후에 발생한 흔적자궁파열 1 례

        김영식(YS Kim),김두표(DP Kim),김병언(BE Kim),유석권(SK Yoo),황익하(IH Wh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8 No.8

        인천 기독병원 산부인과에서 복강경 불임시술 후에 발생한 흔적자궁임신 1례를 체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rudimentary uterine horn wiht 5month gestation after laparoscopic sterilization which was diagnosed as a intra-abdominal pregnancy is presented ad some articles concerned to this subjent are reviewed briefly.

      • KCI등재

        피부까지 전이된 Krukenbergs 종양의 1례

        이정일(JI Lee),주괄(K Ju),김만성(MS Kim),황호연(HY Hwang),황익하(IH Whang),이숙환(S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4

        위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되는 1례로 난소뿐 아니라, 피부에까지 전이된 비교적 희귀한 양측성인 전이성 종양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 간단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A extremely rare case of Krukenbergs tumor in ovary being probably primary site in the stomach, which metastatic to the skin. The patient were 49 years old woman living now after surgery, and here we represent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s was made being briefly.

      • KCI등재

        임신중 자궁파열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정창조(CJ Chung),홍순배(SB Hong),김세광(SK Kim),황익하(IH Whang),박찬규(CK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8

        1966년 1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만 11년간 연세의료원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 20,977예중 자궁파열 환자 47예와 1970년부터 1976년까지 만 7년간 연세의료원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분만한 산모 3,835예중 자궁파열 환자는 18예로서 총 24,812예중 65예의 자궁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통계적 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파열의 발생빈도는 382:1이였으나 본 의료원 입원후 파열된 실제 자궁파열 빈도는 2063:1이였다. 2. 가해 자궁파열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반흔파열 및 자연 자궁파열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3. 연령별 자궁파열 빈도는 30~34세군에서 높았으며 또한 고령다산부에서 많았다. 4. 분만회수별로는 제왕절개후 생긴 반흔파열은 기왕분만회수가 1~2회군에서 높았으나 가해 및 자연 자궁파열은 기왕분만회수가 2~4회군에서 높았다. 5. 자궁파열의 원인적 요소를 보면 제왕절개후 반흔파열과 자연 자궁파열이 각각 36.9%, 가해 자궁파열이 26.2%이었다. 6. 제왕절개후 반흔파열은 자궁체부 제왕절개후 반흔파열이 월등히 많았으며 자궁체부 제왕절개후 반흔파열 시기는 진통이 있기전 57.9%에서 발생하였다. 7. 모체 사망율과 주산기 사망율은 각각 4.6%, 73.5%이였으며, 가해자궁파열에서 제일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신중 자궁파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의학지식의 발달은 물론 임신 및 분만에 관한 교육, 산전관리의 철저, 의료시설의 확장, 병원분만의 증가 및 의료인의 재교육이 요망된다. Among 24812 deliveries who were admitted to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65 patients presented the documented evidence of uterine rupture. In terms of uterine rupture a variety of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mother and fetus were analyzed. Most of uterine ruptures were probably preventable. In order to prevent uterine rupture, proper antenatal care and hospital delivery, adequate family planning, reeducation of medical personnels, and extension of current medical insurance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Eisenmengers Syndrome

        황익하,임경주,김두표,이남기,이봉규,윤경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저자들은 비교적 희귀한 질환인 Eisenmengers syndrome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대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have experienced 1 case of pregnancy with Eisenmengers Syndrome in Incheon Christian Hospital. Eisenmengers Syndrome may be defined as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due to a gigh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ssociated with reversed or bidirectional shunt through a larg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irculation at Aorto-Pulmonary, Ventricular or Atrial level. It is clear that women with this condition tolerate pregnancy poorly.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a brief review of concerned literature.

      • KCI등재

        임신 10 개월의 흔적자궁각 임신

        황익하,김두표,이남기,이봉규,윤경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2

        1. G2P1L1D0A0인 31세된 기혼환자로, 흔적자궁임신이 10개월까지 유지되어 반복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1.95 kg, A/S 1`-5, 5`-7의 여아를 분만하였다. 2. 치료는 임신된 흔적자궁각, 부착된 자궁부속기 및 원형인대를 절단제거한 후 절단부를 결찰하였으며 원형인대를 주자궁과 연결하였다. Pregnancy in a rudimentary uterine horn is very rare case. We experienced a case of rudimentary uterine horn with 40 weeks gestation. After delivered a living female baby weighing 1.95 kg with A/S 1`-5, 5`-7 by cesarean section, excision of rudimentary uterine horn was performed. And some articles concerned to this subject are reviewed briefly.

      • KCI등재

        복강경 난관불임술 후 발생한 속발성 복강임신 1 예

        황익하,전선희,김두표,임전주,송희진,이장현,윤용복,박상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

        Abdominal pregnancy is a very rare and life threatening variant of ectopic pregnancy with high maternal mortality and perinatal mortality. In most instances abdominal pregnacy is secondary, result from tubal abortion and from rupture of tubal pregnancy or a previous uterine incision. The conceptus then reimplants onto the peritoneal surfaces, omentum, and bowel. We experienced a case of abdominal pregnancy after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diagnosed at emergency laparotomy and reported it with brief review of a literature.

      • KCI등재

        복강임신

        황익하,전선희,김두표,임전주,김병수,이정래,박덕련,송희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10

        Abdominal pregnancy is extremely rare, which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conditions, obstetrically. Abdominal pregnancies are classified as either primary or secondary. Primary abdominal pregnancy is much less common. The diagnosis is very difficult. Frequently the diagnosis is made during pregnancy. We experienced a case of abdominal pregnancy in first trimester and reported it with brief review of a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