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韓ㆍ中) 사전 비교 연구

        황은하(Huang Yinxia) 한국사전학회 2006 한국사전학 Vol.-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Chinese dictionaries systematically and comparatively and to point out problems that many of the Korean-Chinese dictionaries contain inappropriate information and insufficient equivalents. This study categorizes the Korean-Chinese dictionaries into three groups (a Chinese learners' dictionary, a Korean learners' dictionary and both the Chinese and Korean learners' dictionary)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The comparative analysis highlight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ix major Chinese learners' Korean-Chinese dictionaries, focusing on entry words, definitions, examples and Chinese equivalents of Korean entry words. It is often found that the bilingual dictionaries provide inappropriate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especially on equival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hinese equivalents of the high frequency lexical item 'Gada(가다)' in Korean in each dictionary and analyzes students' errors in composition to explore some problems the Korean-Chinese dictionaries face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 Korean-Chinese bilingual corpus should be constructed to extract appropriate information on compilation of Korean-Chinese diction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언어간 연구를 위한 대응어 주석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황은하 ( Huang Yinxia ) 한국언어정보학회 2017 언어와 정보 Vol.21 No.2

        The cross-linguistic study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based on parallel corpus is limited to Korean-English, Korean-Japanese, and Korean-Chinese linguistic pair. Moreover, the quality of parallel corpus is insufficient in terms of genre, register, text type, domain, and styles, except for the Korean-English and Korean-Japanese studies. In other words, representativeness and balance, the two criteria of the corpus are absent in parallel corpus of Korean and foreign language. This is because the raw texts of original and translated, except for the Korean-Japanese and Korean-English cases, are insufficient. To cope with this problem, this research proposes compilation and application method of translation-tagged corpus. The translation-tagged corpus is the correctly and variously translation-annotated corpus on the lexical or grammatical item. In this research, we first elaborate constructing process for the corpus. Second, we newly obtaine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etween languages through corpus analysis. Finally, we present a method to utilize the corpus for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s and writing of bilingual dictionary. (Paichai University)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 전공 진학 수요 조사 및 변인 분석

        황은하 ( Huang Yinxia ),심지영 ( Jiyoung S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국내 대학원의 한국어번역 전공(KFLT) 진학 수요를 조사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대의 79명과 대전 소재 P대의 96명, 총 중국인 유학생 총 169명을 대상으로 개인 인적 사항, 취업 선호 및 요인 인식, 자가 이중언어 능력 인식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원 진학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인 유학생의 53.8%가 대학원 진학을 원하며, 이 중의 반 이상은 KFLT에 진학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의한 영향 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개인 인적 사항에서는 재학 중 대학교, 전공 계열, 학년, TOPIK 등급 등이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자가 이중언어 능력과 관련 업무(번역) 경험 유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한국어 능력 향상에 대한 의지는 유의한 영향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응답자가 한국어와 취업 간 상관성을 높게 인식하는 경우와 대학원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볼수록 대학원 번역과정 진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원 유치 방안 마련에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mand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or admission to th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Translation (KFLT) course in graduate school and aims to analyze the drivers of graduate school admission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f 169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ocusing on personal information, job preference and factor recognition, and self-recognition of Korean and Korean-Chinese interpretation ability. In conclusion, 53.8%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ant to be admitted to graduate school, and more than half of them prefer to enter the KFLT course.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main drivers of such demand for furth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university, major, grade, and TOPIK grade during enrollment were observed as significant factors. Second, the self-recognition of Korean and Korean-Chinese interpretation abil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lated work (translation) experience did not work as an influential factor. However, the willingness of respondent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was observ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hird, respondents to chose to go to the KFLT course did so because they perceived Korean as a significant factor for employment, and they viewed Korean graduate school education as helping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to attrac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o Korean graduate school.

      • KCI등재

        이개어 사전의 대응어 기술을 위한 대응어주석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방안 연구

        황은하(Huang, Yinxia) 한국사전학회 2013 한국사전학 Vol.- No.21

        In this paper, a systematic method on building and using translation-tagged corpus is proposed for adding translation equivalents to bilingual dictionaries. Inaccuracies and insufficiencies of definitions and translations in existing bilingual dictionaries of Korean and other languages often cause the bilingual dictionaries to fail to function as active dictionaries. This problem is due to the conventional editing method of publishing dictionaries: adding translations to monolingual dictionaries of source languages. This study selected the entry word ‘停’ from one Chinese-Korean dictionary as an example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with translations in existing bilingual dictionaries. Using this exampl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build and analyze a translation-tagged corpus to suggest new methods of presenting transl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roughout the process, it suggested fresh implications for the publication of bilingual dictionaries, added new translations, and corrected the errors of existing dictionaries.

      • KCI등재

        말뭉치 기반 한외(韓外) 대조언어학 연구에 대한 일고찰

        황은하 ( Huang Yinxia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최근 언어학계는 단일언어의 연구는 물론, 언어간 연구에서도 말뭉치에 대한 관심과 활용 사례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그러나 언어간 연구에 필요한 말뭉치가 갖춰야 할 요건이나 연구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에 필요한 말뭉치(corpus)의 유형과 개념, 구축 과정, 활용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대조분석 연구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연구 방법론, 즉 단방향 대조분석(또는 대응 연구(correspondence analysis))과 쌍방향 대조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 방법별로 어떤 말뭉치를 필요로 하는지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두 말뭉치, 즉 병렬말뭉치(parallel corpus)와 비교말뭉치(comparative corpus)의 개념, 대조언어학 연구에 활용될 시 각각의 장점 및 말뭉치의 설계에서 시작해 자료의 선별과 수집, 텍스트의 전산화, 전처리, 문장 정렬 등의 구축 과정 전반에 대해 기술한다. 덧붙여 이 두 가지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와 외국어간의 대조분석 연구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본다.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interests and applications based on a corpus in both monolingual and cross-linguistic studie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lingual corpus design, compilation issues, and its application methods in cross-linguistic research.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esent different corpus types and corpus compilation methods for contrastive study, and discuss useful applications of a corpus for contrastive linguistics. To this end, we first compare two research methods: one-way and two-way contrastive analyses. Second, we show that a parallel corpus can be used for one-way contrastive analysis, and a comparable corpus can be used for two-way contrastive analysis. Moreover, we describe the concept and merits of parallel and comparable corpora, as well as their compilation process: corpus design, data collection and computerization, and mark-up. We also give a full briefing of the current state of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using parallel and comparative corpora. Finally, we discuss the remaining problems for corpus applications in contrastive linguistics.

      • KCI등재

        사전에 없는 구어 확장 어휘 단위 표제어의 수집과 기술

        안의정(Ahn, Euijeong),황은하(Huang, Yinxia) 한국사전학회 2021 한국사전학 Vol.- No.38

        단어의 의미는 시간이 가면서 계속 변하고 결합 양식도 다양해져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있다. 하지만 사전은 변화하는 의미를 모두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언어의 동적 변화를 반영하는 보다 적극적인 표제항의 발견이 필요하다. 이때 표제항은 새롭게 생겨난 신종 단어 외에 확장 어휘 단위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언중이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지만 사전에는 없는 구어 확장 어휘 단위 표현을 수집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되, 형식적으로는 기존의 2어절의 구 단위를 포함하되 1어절의 특수 곡용꼴 또는 활용꼴에서 문장에 이르는 보다 다양한 확장 형식 어휘를 포괄하였다. 아울러 외국인 학습자들이 이러한 표현을 정확히 사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용법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는 문어 중심 기술을 넘어서는 사전을 위한 것으로, 구어라는 새로운 사용역에 주로 등장하는 의미 단위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사전에서의 부표제어의 확장뿐 아니라, 구어 표현 사전과 같은 특수한 사전을 편찬하기 위해서 필요한 표제항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찾아내어 실제 사전에서 그 용법을 쉽게 기술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구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기존 사전에서의 부표제어 수록의 관행에 대해 분석하며, 구어 확장 어휘 단위의 누락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최근에 방영된 드라마 두 편을 중심으로 구어 확장 어휘 단위표현을 수집하면서, 수집의 기준과 수집된 목록의 형식적, 의미·기능적 유형 분류에 대해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먼저 기존 관용표현 사전의 형식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3장의 분류에 따라 일부 확장 어휘 단위 표제어 유형에 대한 원고 모형을 기술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원고 모형을 보인 유형에는 확장 어휘제약, 문장 구성체, 속된말이나 통속적 표현, 관례화된 표현 등이 있다. Words vary in combination patterns and change in meaning over tim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dictionaries do not promptly reflect all the changing meanings and usages. Therefore, a more active selection of extended lexcial units is needed to reflect dynamic changes in language. To this end, we focused on daily and frequently used extended lexcial units, which is used in real life but not listed in dictionaries. It includes the existing two-word phrase and more diverse extended lexcial units ranging from one-word particular conjugation to sentences. This research aims at dictionaries compilation beyond written language-oriented and raises discussion on the extended lexcial units that usually appears in spoken language. This paper finds helpful extended lexcial units, not in the general dictionary, but not often used in real life. These expressions are in the intuition of the native speaker, but most of them are unfamiliar to foreign learners. To define the usage of extended lexcial units, we tried to categorize these expressions semantically and functionally and seek a description method for each type. First, Chapter 2 discusse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of missing spoken word unit headings in the existing Dictionary. Then, chapter 3 presents the extended lexical units collected from two recently aired dramas, discusses the criteria for collecting them. Furthermore, it inductively discusses semantic and functional type classifications based on the collected lists. Finally, chapter 4 reviews the existing idiomatic dictionary format and presents a method for describing specific manuscript models around types classified in Chapter 3. The types include syntactic phraseology with open structure, pragmatic phraseology used in a specific context, pragmatic phraseology functioned as discourse markers, and semantic phraseology including sl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