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에서의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모색 : 교육전문가 대상 AHP를 중심으로

        황영아(Youngah Hwang),정소미(So-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로써 대학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 지원 관련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온라인 강의 지원 영역 및 하위요소’를 질문의 주요 내용으로 교육전문가 13명에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계층화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강의 지원 영역 관련 항목들을 일대일로 비교하고, 가중치를 산출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온라인 강의 지원 영역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분석 결과, 학습관리시스템 및 기자재 지원, 콘텐츠 품질 향상 지원, 교수학습 설계 및 강의 운영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교육 관련 전문가 정성 의견 분석 결과, 교수법 특강 프로그램에서는 저작권, 온라인 강의 유형⋅학문 특성 등에 맞춘 맞춤형 교수법 특강에 대한 요구가 주로 나타났다. 그밖에 우수 사례 공유, 실시간 수강의 상호작용 방법, 최신 교수방법에 대한 내용도 도출되었다. 결론 대학에서의 효율적인 온라인 강의 운영을 위해서는 학습관리시스템 및 기자재 지원을 통한 학습 환경 구축,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 개발⋅배포, 온라인 강의 유형 및 학문 분야 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수방법 개발과 체계적인 교수 지원 프로그램 제공, 온라인 강의 질 관리 체계 구축 등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for online lecture support for university education experts as a basic study to prepare a support plan for operating university online lectures. Methods ‘Online lecture support areas and sub-elements’ were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 and 13 professors and learning experts from the university were surveyed and analyzed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Priorities were derived by comparing sub-elements related to the online lecture support area one-on-one and calculating weight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online lecture support area, support for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equipment, support for content quality improvement, and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course operation were shown in orde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opinions of experts related to online education, the demand for customized special lectures tailored to copyright, online lecture typ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were mainly found in the special teaching method program. In addition, information on sharing of best practices, interactive methods of real-time lectures, and the latest teaching methods were derived. Conclusio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online lectures at universities, the establishment of a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equipment suppor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uides for content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teach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online course types and academic fields, and the provision of systematic teaching support programs,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le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 KCI등재

        수업분석을 통한 성인 대상 수업 개선 방안 모색 : H 대학 성인학습자 대상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황영아(Hwang You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분석을 통해 성인학습자 대상 교실수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에 성인교육의 원리 및 수업분석 이론에 근간하여 수업전략 및 교수자 항목으로 구분된 성인학습자 대상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대학 내 성인학습자 대상 학위과정으로 운영되는 5개 교과목의 수업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전략 측면에서는 참여형 수업운영과 후속 강의 안내가 부족한 측면이 있었으며, 학습목표제시나 선행학습 촉진, 정리제공 등도 외연적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측면에서는 움직임과 대화 장려 측면에서 미흡한 장면이 발견되었으며, 목소리, 호명, 질문활용 및 피드백 측면에서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수업 운영 개선방안으로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질의나 간략한 퀴즈 등의 활용을 통한 학습자 이해수준 확인,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교수학습활동 설계, 학습자 경험에 근간한 사례 활용, 동영상이나 시범 등 시청각적 경험 제공, 학습자 간 통일된 적정 호칭 사용, 질의 시 충분한 기회(시간) 제공, 응답에 따른 긍정적 피드백 제공, 다수 학생 간 상호작용을 위한 개방형 질문 활용 등이 개선방안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ing method to improve classroom instruction for adult learners through classroom analysis. Accordingly, based on the principles of adult education and the theory of class analysis, a classroom analysis tool for adult learners divided into class strategies and instructor items was developed. And classroom analysis of five subjects on the degree program for adult learners on universit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in term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lack of participatory class operation and follow-up class guidance was found. And the presentation of learning goals, promotion of prior learning, and provision of arrangements were conducted at an external level. Second, in terms of instructors, insufficient parts were found on movement and encouraging communication, and it was found that supplementation was also needed in terms of voice, calling, questioning and feedback. Therefore, as a ways to improve classroom instruction, checking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through the use of questions or brief quizzes that enable interactive communication,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enabl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using actual cases based on learner experiences, and providing audiovisual experiences such as videos and demonstrations, the use of unified appropriate titles among learners, sufficient opportunities(times) for inquiries, positive feedback according to responses, and the use of open questions for interaction among multiple students were drawn as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교수학습과정의 변화 : H대 교원 대상 사례를 중심으로

        황영아(Youngah Hwang),정소미(So-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교수학습과정의 변화를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여 온라인 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 대학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FET)에 참여한 H대학교의 2019년과 2020년 교원 응답 자료를 비교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시간활용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학부수업을 위한 준비시간과 학부수업 시간에 활용 한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방법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강의, 동영상 강의, 중간기말시험을 더 빈번히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방법을 비교한 결과, 2019학년도에 비해 2020학년도에 동료 학생들 간의 평가와 수업참여도에 대한 평가가 더 적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별 중간기말보고서와 팀 프로젝트 결과보고서에 대한 평가는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생 간 상호작용 내용을 비교한 결과,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상호작용은 2019학년도에 비해 늘어난 반면, 기타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은 2019학년도에 2020학년도에 비해 적게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에서 교수자가 수행하는 수업 준비, 교수방법, 평가, 상호작용 등 교육 활동을 중심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에서 교수자의 전반적인 교육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의 변화를 교수자의 교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online education situation by Corona 19, and to find ways to improve onlin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Methods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2019 and 2020 teachers response data from H University, which participated in a survey o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NAFET)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ime usage, it was found that the preparation time for undergraduate classes and the amount of time used for undergraduate classes in 2020 were more than those in 2019.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eaching methods, it was found that lectures, video lectures, and midterm exam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20 than in 2019.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found that evaluation among fellow students and evaluation of class participation was less conducted in 2020 than in 2019, and evaluation of individual mid-term report and team project result repor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2019 and 2020 school year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s on career and employment increased compared to the 2019 school year, while the interactions on other topics were less conducted in 2019 than in 2020. Conclus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changes in university education caused by Corona 19 with a focus on the role of professors.

      • KCI등재

        대학 내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황영아(Hwang youngah),이선희(Lee Sunhee),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대학 내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선행연구 고찰 및 요구조사를 토대로 프로그램(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14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보완하는 절차에 따라 최종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하였다.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건강한 대학생활을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특성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 및 심리·정서적 지원을 목표로 한다. 둘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①‘진단 - 지원 - 적응 -성장’의 단계를 통한 개인의 성장 도모, ②학습자 요구 및 특성을 고려한 ‘정서·심리, 학습, 진로, 대학생활 적응’ 영역 설정, ③‘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고려한 체계적인 지원’이다. 셋째, 세부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으로는 심리검사의 경우, 학령기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사에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심리검사를 추가하였다. 상담은 정서·심리(자기이해), 대학생활 적응, 학습, 진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교육은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애설계, 정신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주제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적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향후 성인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program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studies related to adult learners and a demand survey for adult learners,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14 experts. Based on the expert opinion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omple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aimed at learning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in order to ensure a healthy university life. Second,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ogram was ① facilitating personal growth through the stages of ‘Diagnosis-Support-Adaptation-Growth’, ② area division of ‘Emotions, Psychology, Learning, Care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consideration of adult learner needs and characteristics, ③ systematic support considering the level of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 Third, the main feature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Psychological tests were add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Counseling centered on emotion, psychology (self-understanding),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learning, and career. Education included topics aimed at promoting life design and mental health,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veloped a practical support program for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and provided source for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adult learners in the future.

      • KCI등재

        뷰티서비스 분야 재직자 재교육을 위한 4년제 대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서울 소재 H 대학 뷰티디자인학과를 중심으로 -

        권오혁 ( Ohhyeok Kwon ),황영아 ( Youngah Hwang ),이선희 ( Sunhee Lee ) 한국미용학회 2020 한국미용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using DACUM method for beauty design departments for adult learners at University in Seoul. The curriculum development was conducted through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including industry and academia experts.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industry demand and the job-related data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for department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Secondly, job and task were derived from the progres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Committee meeting based on industry demand analysis data. Thirdl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43 field experts to verify the job model. Fourth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f the identified tasks were derived, and the curriculum design considering these is conducted. Lastly, H University's beauty design department consists of a four-year curriculum of 38 subjects, based on the type of human resources training centered on beauty artists, global beauty management, beauty education, and beauty designer practices. Among subjects, a total of six courses, including Basic Practices 1 and 2 and Beauty Field Studies 1,2,3,4, were established separately for supporting the basic level learn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cludes more systematic management of beauty management and beauty education, which is required in the field, in addition to education and training that provides beaut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