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3부 일반논문 및 서평 : 맹자의 "상지(尙志)"에 대한 고찰

        황순우 ( Soon U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맹자』의 「진심장구(盡心章句)」에서 “몸에 돌이켜보아 성실함(反身而誠)”에 대해 주희는 “성(誠)” 자에 주된 뜻이 있다고 본다. “성(誠)”을 이루려는 것은 성실히 하려는 생각이 앞설 거이고 이것은 자신을 돌 돌아보는 “반신(反身)”이라는 실천으로 이어질 것이 다. 본 논문에서는 반신의 계기 또는 조건을 “상지(尙志)”로 보로 그 개념을 논러적이 고 통일적으로 고찰한다. 상지(尙志)는 지(志)가 마음이 가고자 하는 바이기에 마음의 근원을 생각하고 그곳으로 되돌아가려는 것이고 이때 생각(思)온 마옴에 뿌리하고 있는 인의예지로 지(志)를 이끌어 자신을 돌이켜보게끔 하다. 이로써 상지는 개관적인 판단 과 근원적인 자기 회귀를 가눙하게 하고, 더 나아가 성실함을 이루게끔 하는 계기이자 조건으로서 행위자로 하여금 도덕적 주체로 설 수 있게끔 하는 애자 고 고유의 도덕성의 한 원리적인 개념이라 하겠다. Zhu Xi haelt “aufrichtig zu sein(誠)” fuer wesentlch in dem Satz “Rueckkehr zu sich selbst und aufrichting zu sein(反身而誠)” in Mengtzu. Wenn man aufrichtig sein will, werd man vorher beabsichtigen, aufruchtig zu warden und sich danach bemuehen, seine Absichi in die Tat umzusetzen. Diese Absicht ist das Denken, welches Mengtzu Si(思) nennt. In diesem Aufsatz wird das Motiv oder die Vorbedingung fuer die “Rueckkehr zu sich selbst” als das “Achten auf die Intention(尙志)” betrachtet und diesen Begriff logisch und einheitlich untersucht. Das “Achten auf die Intention(尙志)” bedutel, wohin das Gemuet sich zuneigt. Das “Shangzhi(尙志)” blickt auf den Grund des Gemuets und will darauf zurueckkehren. In diesem Moment leitet das Denken si die Intention(志) auf den Grund des Gemuets(仁義禮智) him, dass man sich drehen und auf sich selbst zurueckblicken kann. Das “Shangzhi(尙志)” ermoeglicht naemlich das objective Urteil und die urspruengliche Rueckkehr zu dem Selbst und wird damit a;s das Motiv und die Vorbedingung dafuer, “Cheng(誠)” zu ermoeglichen, angesehen. Das “Shangzhi(尙志)” bie Mengtzu ist ein prizipieller eigener Begriff der Moralitaet worunter man zum moralischen Subjekt werden kann.

      • KCI등재

        노자와 철학적 나르시시즘 서설

        황순우(Hwang, Soon-u)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1 No.-

        자신의 탁월한 아름다움 때문에 오만해진 나르시스는 네메시스 신으로부터 오만함(히브리스Hybris)에 대한 징벌을 받게 되는데, 그 징벌이 병적인 자기 사랑이다. 프로이트의 나르시시즘은 주관적 자기 동일성에 집착하는, 신화적 사유에 머물러 있는 나르시스를 모델로 한 ‘병적인 나르시시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노자 철학이 가진 사유의 틀로서 서양 철학의 시작을 의미하는 철학적 나르시시즘을 읽어내고자 한다. 나르시스의 히브리스는 노자에게는 경계해야 할 눈부신 빛을 뜻하는 ‘광’(光)이다. ‘광’은 자신을 타자와는 다르게 특별히 구분해서 드러내고 타자를 부정해버리는 눈부신 빛이다. 히브리스의 빛(光)에 대한 반성적 사유에서부터 지극한 ‘빔(허虛)’과 ‘고요(정靜)’에 이르는 길은 ‘나를 나의 몸에서부터 떼어내어서 나의 사랑의 대상이 나에게 있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 길은 철학적 나르시스의 ‘새로운 꿈’을 이루는 길이다. 그리고 이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구멍’(태兌)을 ‘막고’(색塞), 눈부신 빛을 거두는 것이다. 철학적 나르시시즘은 존재성이 있는 진실한 자기를 의식하려고 하고 또한 그러한 타자도 의식하려고 하는 ‘건강한 나르시시즘’을 말한다. 여기에는 아포리아(Aporia) 개념이 디딤돌 역할을 한다. 나르시스는 신화적 사유 때문에 빠져버린 아포리아를 인식해낸다. 신화적 사유는 히브리스를 인식했다면, 철학적 사유는 아포리아를 인식한 것이다. 아포리아 인식은 주관적 자기 동일성을 벗어나 객관적 자기 동일성을 지향하는 계기를 이룬다. 이것은 절대적 타자 의식에 갇혀 있던 나르시스에게는 ‘새로운 꿈’이 되고 본 논문에서는 철학적 나르시시즘이 된다. 프로이트는 철학적 나르시스의 ‘새로운 꿈’을 읽어내지 못했다.

      • KCI등재

        칸트와 도덕 법칙에 대한 의식

        황순우 ( Soon U Hwang ) 한국칸트학회 2011 칸트연구 Vol.27 No.-

        Die Schluesselbegriffe fuer die Verstaendigung der Bedeutung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koennen mehrere bekannte Begriffe sein. Dazu gehoeren z. B. die Begriffe der kategorischen Imperative, der Freiheit, der moralischen Gesetze, des guten Willen, der Persoenlichkeit und auch der Pflicht. Das erste Vorhaben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gemeinsame Eigenschaften oder Bestimmungen unter solchen Schluesselbegriffen herauszufinden. Sie sind die Notwendigkeit fuer die Gesetzgebung, welche die Vernunft uns vorschreibt, und die Unabhaengigkeit von allen zufaelligen Bedingungen, welche die Vernunft uns hinweist. Auf diesen zwei Eigenschaften oder Bestimmungen werden die Schluesselbegriffe selbst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struktuiert. Eben deshalb kann die Methode, diese Struktur herauszustellen, fuer wichtig gehalten werden. Kants strukturelle Methode steht sehr nahe der Cartesianischen. Das zweite Vorhaben dieses Aufsatzes besteht naemlich darin, diese Aehnlichkeit zwischen Descartes und Kant zu zeigen.

      • KCI등재

        『노자』의 허정 개념

        황순우(Hwang Soon-U) 새한철학회 2009 哲學論叢 Vol.57 No.3

        『노자』 책은 어둠('현玄')에 가려져 있다. 중요한 개념들 앞을 가린 어둠의 베일('현玄')은 노자가 살았던 당시 사회통념이 근본을 소중히 여겼던 그와는 정면으로 배치됨을 암시 한다. 사회통념은 눈부신 빛이었고 그것과는 다른 노자의 생각과 말은 그 빛에 가린 어둠이 돼버렸다. 세계와 존재를 근원적으로 이해하고 인식하려고 했던 노자의 작업은 바로 이 어둠의 베일을 걷어내는 것이었다. 이 작업은 세 개의 길을 제시한다. 첫 번째 길은 도를 드러내는 근원적인 길로서 근원적인 허정의 범주를 말한다. 두 번째 길은 허정의 범주를 통해 서로 대립한 다양한 하위 범주들의 근원적인 형식과 존재를 규정하는 길이다. 세 번째 길은 다양한 하위 범주들을 통해 다양한 일반적인 현상들을 근거지우고 인식하는 길이다. 이 길들은 세계와 존재자 일반을 위한 근원으로 향하는 같은 하나의 길이고 세계와 존재자 일반이 존재하는 같은 하나의 길이다. 같은 하나의 길은 "현(玄)"이라는 베일을 걷어 내는 길이다.

      • KCI등재

        『실천이성비판』과 『논어』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에 대한 연구

        황순우 ( Soon U Hwang ) 한국칸트학회 2010 칸트연구 Vol.25 No.-

        Das allgemeine Prinzip der Selbstliebe macht sich selbst nach den subjektiven Bestimmungsgruenden seiner Willkuer, also der Befriedigung der Neigungen die eigene Glueckseligkeit zum objektiven Bestimmungsgrund. Die Eigenduenkel entsteht jederzeit und will das moralische Gesetz ohnmaechtig machen, wenn sie sich nach jenem Prinzip der Selbstliebe gesetzgebend und zum unbedingten praktischen Prinzip macht. Deshalb schlaegt das moralische Gesetz ununterbrochen den Eigenduenkel nieder, und dadurch entstehen ein Gefuehl der Demut vor dem Gesetz und zugleich ein Gefuehl der Achtung fuers Gesetz. Sowie die Achtung fuers moralische Gesetz die einzige moralische Triebfeder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ist, ist das Jing(敬) fuers moralische Gesetz des Ren(仁) in Lunyu. Als Wirkung vom Bewusstsein des moralischen Gesetzes sind die Gesinnung des Chi(恥-Schamgefuehl) und des Jing(敬-ehrfurcht) nichts anderes als das Gefuehl der Demut und der Achtung. Wie diese Zwei Gefuehle die beiden Seiten von ein und demselben Gefuehl der Achtung sind, sind das Chi(恥-Schamgefuehl) und das Jing(敬-Ehrfurcht) die beiden Seiten von ein und derselben Gesinnung des Jing(敬).

      • KCI우수등재

        칸트의 초월 연역(1787년)의 증명 구조 분석

        황순우(Soon-U Hwang)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6 No.-

        이 논문은 칸트의 초월 연역론 연구에 있어서 범주의 객관성과 타당성에 관한 ‘증명 구조에 대한 분석’이다. 1787년의 연역에는 두 개의 증명이 아니라, “두 단계로 나누어진 하나의 증명”이 있을 뿐이며, 칸트는 이 두 단계에서 서로 다른 두 가지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는 헨리히(D. Henrich)의 논제는 80년대와 90년대 독일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면서 합의점을 이끌어 내게 된다. 연역 속에 나타난다는 두 개의 결론은 범주의 타당성의 ‘제약’(첫 번째 증명 단계)과 ‘폐지’ (두 번째 증명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그러나 범주의 타당성이 첫 번째 증명 구조 속에서 제약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범주가 연역의 처음부터 그리고 모든 직관 일반과의 연관 속에서 보편적이고 타당하게 자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헨리히와의 논쟁을 통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 입장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 등장하는 관용적 표현에 대한 의미 분석과 오역 문제를 중심으로―

        황순우 ( Soon U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 있어서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고찰의 중심은 초판 머리말에 있는 “모든 학문들의 여왕”이면서 “끝없는 분쟁들의 싸움터”로 전락한 형이상학에 대한 대상과 자격에 관한 글이다. 칸트는 형이상학의 피할 수도 없고 답할 수도 없는 “운명적인 물음들”의 대상으로부터 이성 자신의 “인식의 첫째 근거들”이라는 대상으로의 전환을 통해 형이상학을 아포리아에 빠트린 “운명적인 물음들”을 “해결”하면서 칸트 자신의 형이상학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In diesem Aufsatz geht es darum, Kants Stellungnahme zur Metaphysik durch die Betrachtung uber den Gegenstand ihrer “Schicksalsfragen” in der ersten Vorrede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zu verstehen. Der Kern der Betrachtung ist der Text zum Gegenstand und Verdienst der Metaphysik als “die Konigin aller Wissenschaften” und “der Kampfplatz dieser endlosen Streitigkeiten.” Kant nimmt die Stellung zur Metaphysik, indem er diese Fragen, mit den sie “in die Verlegenheit gerat”, durch die Wende des Gegenstandes ihrer nicht zu vermeidenden und auch nicht zu beantwortenden “Schicksalsfragen” zum Gegenstand der “Erkenntnis der ersten Grunden” auflo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