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 연구 방법론을 적용한 가톨릭교회의 대북지원 구조

        황소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4 통일연구 Vol.28 No.1

        본 논문은 전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지니고 있는 종교 단체 가톨릭 교회의 대북지원 구조를 분석한다. 다원주의체제의 비정부기구와 권위주의체제의 관변단체 간 교류⋅협력의 양태를 파악하는 것과 같다. 1980년대 이후로 교황청과 북한의 비공식적인 접촉이 증가하고, 북한 지역에 관여하기 위한 가톨릭 교회의 접근이 여러 경로로 이루어졌다. 북한과 같은 권위주의 체제는 종교단체와 같은 규범 행위자와의 관계개선 내지 교류협력을 통해 자국의 이해를 도모하면서도, 이 외부 행위자의 영향력이 해당 지역에 침투하지 않게 해야 하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에 의거해 본 논문은 북한과 교황청, 가톨릭 교회의 비공식적 관계의 기원과 한계 그리고 이들의 정치적 의미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검토한다. 두 번째로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의 대북지원의 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북한 측의 양태를 확인한다. 세 번째로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 및 북한의 조직 및 인력이 어떤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으로 시각화된 구조를 확인한다. 네 번째로 연구 결과의 함의와 한계를 논하며 연구를 마친다. 본 논문은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가 국제수준과 국내수준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제3국을 우회하거나 비공식적인 소통 채널을 통해 북한에 접근해 온 노력을 확인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을 비롯해 북한이 주도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파악하며, 근 40여 년간 진행된 교회의 대북 접근이 의미있는 효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를 고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id structure for North Korea provided by the Vatican and the Catholic Church, which have vast international networks. The research herein endeavors to elucidate the public relationship betwee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pluralistic regimes and government-driven groups in authoritarian regimes. Since the 1980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unofficial meetings between the Vatican and North Korea, and the Catholic Church has made various efforts to engage with the regime. Authoritarian states such as North Korea should seek to enhance their gains by forming relationships with external normative actors while insulating themselves from political influences. With this agenda in mind, this study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the origins of Vatican and Catholic diplomacy and examines this approach’s limitations for the North Korean regime. Furthermore, this research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interactions between church organizations at various levels and North Korean pro-governmental groups. Finally, employing network analysis methods, this work utilizes network maps depicting the actors involved in this structure. This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essay’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suggesting future research topics. Importantly, this paper examines the Holy See’s and Catholic Church’s efforts to extend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North Korea by utilizing international networks and informal communication channels while bypassing third parties. This relationship offers insight into North Korea’s strategic stance and explicates why nearly four decades of engagement with Pyongyang have yielded few tangible results.

      • 반도체 CMP 용 세리아 슬러리의 AMP 함량에 따른 분산안정성에 관한 연구

        황소희,임진아,김운중,Sohee Hwang,JinA Lim,Woonjung Kim 반도체공학회 2024 반도체공학회 논문지 Vol.2 No.2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는 높아져 왔으며 이는 더 작고 밀도가 높은 회로 및 소자를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층간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여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고 고밀도 회로를 안정적으로 제작하는데 평탄화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반도체에서의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은 다층 구조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CMP 공정의 슬러리 조성은 세리아(ceria), 분산제(dispersant), 물(DI water) 이렇게 3 가지 성분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MP(2-Amino-2-methyle-1-propanol) 함량을 달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세리아 슬러리 안정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AMP 함량에 따라 카복실기(-COOH) 영향으로 pH 안정화 되었으며, 세리아 슬러리 응집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분산 안정성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es have become essential for creating multilayered component structure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ypically, the slurry composition in CMP processes involves a balance of three components such as ceria, dispersant, and deionized wat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stability of ceria slurries using an amphoteric surfactant with controlled concentrations of AMP (2-Amino-2-methyl-1-propanol). The results indicated pH stabilization influenced by carboxylic (-COOH) groups depending on the AMP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re was no occurrence of aggregation in the ceria slurry, confirming the absence of dispersion stability issues.

      • KCI등재

        무엇이 북한의 3대 세습을 가능하게 하는가?: 지도자와 엘리트의 연합 관계를 중심으로

        황소희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27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what has made the North Korean regime’s hereditary succession possibl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nd elites. North Korea has successfully extended hereditary succession to three generations, which is rare in the world sinc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tate system, with the exception of a few monarchies. This paper opposes the existing argument that its success is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North Korean politics. Instead, this paper argues that the two heredity successions from Kim Il Sung to Kim Jong Il and from Kim Jong Il to Kim Jung Un are the result of a union between the leaders and North Korean power elites, in accordance with theories regarding authoritarian regimes. Specifically, this paper utilizes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selectorate theory,’ according to which the smaller a winning coalition, the stronger the leader’s influence because coalition members can expect more private goods from the leader. First, this paper reviews theoretical resourc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 and elites according to comparative authoritarianism. Second, based on these theoretical resources,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work is derived using a variation of the ‘selectorate theory.’ Third, the paper argu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elite accounts for why Kim Il Sung won power, and for the subsequent hereditary succession through three generations. Fourth, this paper summarizes the discussion,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s topics for further study. 본 논문은 북한 정권의 3대 권력 세습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을 지도자와 엘리트의 관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근대국가 형성 이후 군주제를 제외하고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북한의 3대 권력 세습이 다분히 북한 정치의 특수성에 입각해 분석이 가능하다는 기존의 입장에 반대하며, 김정일 시대의 권력 승계와 김정은 시대의 권력 승계가 권위주의체제론의 관점에서 엘리트와의 관계를 띈 연속적인 이벤트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북한 정치의 특수적인 입장을 강조하는 접근은 지도자가 집권하고 정치적 생존인 정권을 유지하려는 것을 가장 기본적인 목표로 상정하는 비교권위주의체제론의 측면에서 평가할 때 부차적인 변수로 북한을 분석한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승리연합의 규모가 줄어들수록 지도자의 영향력은 강화되며, 승리연합이 지도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차별적 재화는 커지게 된다는 ‘선거인단이론’을 변용해 대안적 분석틀을 도출해 내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첫 번째로 비 교권위주의체제의 지도자와 엘리트 관계와 관련된 이론적 자원을 검토한다. 두 번째로 이론적 자원을 토대로 선거인단이론(selectorate theory)을 변용한 대안적 분석틀을 도출해 낸다. 세 번째로 북한 정치가 김일성이 권력을 쟁취하고 아들 김정일, 손자 김정은으로 3대에 걸쳐 권력이 세습 가능했던 이유를 지도자와 엘리트의 관계로 살펴본다. 네 번째로 논의를 종합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 KCI등재

        남북 화폐 공동체에 대한 정치학적 상상 :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남북경협 화폐도입을 중심으로

        황소희,임지현,류혜민 국회입법조사처 2019 입법과 정책 Vol.11 No.2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institutional approach and reasoning about adopting cryptocurrency system in North Korea’s Special Economic Zones to invigora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economic integration and monetary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is paper describes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to argue that securing transparency of financial activities in North Korea should be considered as a main factor for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Then, this paper discusses political significance of currency and examines whether the inter-Korean monetary community initiative could be an alternative for North Korean government as high degree of dollarization has been a threat to its regime durability. This paper also shows that adopting cryptocurrency system in North Korean Special Economic Zones could be a trial for the inter-Korean monetary integration and discusses institutional approaches for implement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unification is inevitable for economic growth of both Koreas. 본 논문은 남북경제교류협력 활성화 방안으로 북한 경제 특구 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 역화폐 도입을 제안하며, 이것이 궁극적으로는 남북경제통합, 남북한 화폐통합을 이루기 위 한 사전 단계로 기능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첫 번째로 본 논문 은 국제정치의 이론적 자원을 검토해 북한에서 융통되는 자금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남 북 교류협력 증진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을 도출한다. 두 번째로 화폐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달러라이제이션의 지속적 심화로 체제내구력의 저하 가능성이 높은 북한 정권 에게 남북한 화폐 공동체 형성이 대안이 될 가능성을 검토한다. 세 번째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지역화폐 도입이 남북 화폐 통합의 시범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관련 제도 와 이를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결론으로는 통일은 정체되어 가는 남한의 경제성장 과 낙후된 북한의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국제정치가 대북정책에 건네는 대화: 이익에 대한 논의

        황소희 국회입법조사처 2017 입법과 정책 Vol.9 No.1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many of the past South Korea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y had been shaped by international relation theory. Perhaps this is because South Korean society were shaped and influenced by ‘ideological factors’ when it comes to North Korean issues. Thus, the analysis of inter-Korean relations has also been inevitably dictated by the dichotomy of ideology. Moreover, it assumes that the divergence North Korean policy among different administrations in South Korea is due to vast perceptions on how they interpreted ‘international relations’. The paper aims to define ‘anarchy’, then its goes to explain realism, liberalism, constructivism and how they understand ‘anarchy’ and ‘national interests’. Furthermore, its analyzes how these theories formulate inter-Korean relations. It includes comprehensive discussions of the various international relation arguments using conceptual literature analysis. 본 논문은 역대 주요 정권의 대북정책이 국제정치적 이론에 근거해 입안되고 있다는 점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남한 사회에서 북한의 존재는 오랫동안 이념적 사고의 틀 안에서 논의된 까닭에 남북관계에 대한 분석도 정밀한 학술적 논의보다는 진보와보수라는 이분법적 구도 안에서 진행되었다는 것이 본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이에 본 논문은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 간 차별성의 배경이 근본적으로 국제정치에 대한 상이한 인식 때문이라고 선험적으로 가정하며, 국제정치를 설명하는 기초적 개념과 이 개념에 따라 형성된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의 동학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국제정치의 기본적인 준거 조건인 무정부상태(anarchy)를 정의한다. 둘째, 국제정치이론의 3가지 기조인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와 각 이론이 무정부상태를 해석하며 다르게 파악하는 이익에 대한 논의를 설명한다. 셋째, 국제정치에 대한 세 이론이 어떻게 남북관계를 이해하고 대북정책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국제정치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개념적으로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국제정치이론과 이에 따른 정부의대북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 내용을 제공한다.

      • KCI등재

        보상과 간호 전문직 자부심이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소희,박효정,윤정희 병원간호사회 2023 임상간호연구 Vol.2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urses on the nursing intentions in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nurses with over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measure belief factors, core factors, rewards, and nursing professional pride, as well as nursing intentions in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nurses' intentions to provide care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26, p<.001), clinical experience (β=-.14, p=.008), behavioral beliefs (β=.31, p= .010), feeling of vocation (β=.29, p=.012) and attitudes toward behaviors (β=.08, p=.034). Conclusion: Enhancing nurses' intentions to provide care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requires the implementation of systemic and educational strateg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and beliefs.

      • Bimodal 다공성 탄소지지체에 담지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전극촉매 제조

        황소희(Hwang, So-hee),박구곤(Park, Gu-Gon),임성대(Yim, Sung-Dae),박석희(Park, Seok-Hee),김한성(Kim, Han-Sung),양태현(Yang, Tae-Hyun),김창수(Kim, Chang-So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The bimodal porous carbons were synthesized by using imprinting method with templates of SBA-15 particle and silica sphere and applied as supporting materials for the electro-catalyst of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PEFC). The silica spheres with diameter size of 100 nm and SBA-15 particle having 200 nm -250 nm diameter and 700 nm -900 nm length were synthesized in this work. The bimodal porous carbons (S100) were prepared by using the silica spheres and SBA-15 as templates and mesophase pitch as a carbon source. The PtRu nanoparticle of ca. 1.9 nm were supported on the bimodal porous carbon support and the resulting PtRu/S100 catalysts was tested by the cyclic voltammetry. The use of bimodal porous carbon showed in comparable electro-catalytic activities with commercial catalyst. Though unclear effects of bimodal porosity of supports could be obtained in the scope of this study, morphological advantage in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considered on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비정부기구정치학으로 분석한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교황청

        황소희(Sohee Hwa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1 OUGHTOPIA Vol.35 No.3

        본 논문은 양차대전 이후 교황청을 중심으로 한 가톨릭 교회의 반공주의와 민주주의 확산을 위한 정치 활동을 대한민국 독립 정부 수립과 외교적 승인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분석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NGO정치학의 관점에서 1950년 이전 가톨릭 교회가 미국과 연합해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을 초대 주한교황사절 패트릭 번(Byrne, J. Patrick) 주교의 인식과 한국에서의 활동을 통해 설명한다. 본 연구는 ‘메리놀외방전교회본부’의 문서고가 소장한 패트릭 번 주교의 서간 모음집을 근거로 작성되었다. 분석 결과 교황청과 가톨릭 교회는 규범의 정치와 국제 가톨릭 네트워크를 동원하는 방법으로 반공주의 외교 활동을 벌였다. 구체적인 사례로 1947년 미군정시기 교황청의 한국 독립국가로 인정, 1948년 5·10 총선거 및 당해 11월 UN 제3차 총회에서 진행된 한국정부 수립 및 외교적 승인과 같은 사례에서 대한민국 초대 번 주교와 가톨릭 교회가 미친 영향력을 추적하여 분석한다. 이는 한국-교황청 관계사를 발굴하는 토대연구의 의미를 지니면서도, 세간에 잘 공개되지 않는 국제관계 내에서 교황청 외교활동의 편린을 살펴볼 수 있는 소재라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by exploring how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recognized diplomatically after the two World Wars, analyze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Catholic Church centered on the Vatican’s anti-communism and its role in spreading democracy. Adopting an NGO politics perspective, this outlines the Church’s effort to oppose communism through the discernment and actions of bishop Patrick J. Byrne, the first Apostolic Nuncio for Korea, based on Byrne’s letters kept in the Catholic Foreign Mission Society of America(Maryknoll). The Vatican and the Catholic Church acted diplomatically to thwart communism by employing norm-driven politics and mobilizing international Catholic networks. This study traces how Byrne and the Catholic Church affected the Vatican’s approval of the independence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 1947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on the May 10 1948 general elec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on the diplomatic accession of the Korean government at the third General Assembly of the UN in 1948.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in that it is not only foundational because it is focused on exploring the Korea-Vatican relationship but also because it includes an examination of the Vatican’s political activities, which have not been publicly discl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