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민의 안보갈등에 관한 사례연구

        황성훈(Seong hun Hwang) 한국정책개발학회 2015 정책개발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안보갈등이라는 관점에서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발생한 북한의 도발사례를 중심으로 안보갈등발생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과제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국내적으로 2002년 대통령 선거를 계기로 집중적으로 조명받기 시작한 이념균열과 정당균열, 세대균열의 중첩과 안보이슈가 이념갈등을 구성하는 주요 영향 요인임을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좋은 정책전략은 곧 국민적 안보갈등 해소의 준거가 되고, 국가역량 결집과 협력ㆍ소통을 이끌어내는 핵심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안보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과제로써 의사결정구조의 합리화, 제도적(법률적) 정비, 안보갈등관리 리더십 강화와, 무엇보다도 국민적 통합과 소통을 이끌어낼 최고 정책결정자의 리더십과 좋은 정책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과거의 실제사례를 적용하여 안보갈등의 원인과 심화요인이 무엇인지를 재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ith the theme of national security conflict in mind, analyzes the elements that has initiated conflicts; focusing especially on the cases of North-South conflicts since the start of Kim Jeong Eun's regime. It is also concerned with the task of solving such conflicts through the analysis. National security issues and the overlapping of ideological fracturing, party disintegration, and generation gap that has been brought into the limelight since the 2002 presidential election was identified as the key element of domestic ideological conflicts.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shown that a good strategical policy making is the basis of resolving popular national security conflicts and a critical milestone of focusing national potential,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leadership of the highest echelon of policy makers and good strategical policy making are critical in rationalization of decision making process, procedural(legal) repair, improvement of national security conflict management leadership, and ,more importantly, promoting popular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implications of past policies through reconstructing past incidents and identifying the cause of national security conflict and its exacerbation.

      • KCI등재

        IMF에 관련된 경제적 스트레스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유희정,황성훈,홍진표,김헌수,이철,한오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본 연구는 IMF에 관련된 경제적 스트레스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밝히기 위해 설계되었다. 스트레스 과정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문제 해결 양식, 그리고 무망감을 도입했으며, 이들에 의해 스트레스의 영향이 매개되는지를 검증하였다. 경제적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표집된 221명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우울, 불안, 신체화, 적대감, 사회적 지지, 그리고 문제 해결 양식 등을 측정하였다. 가정한 대로 실직으로 대표되는 경제적 스트레스는 정신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적 지지는, 높은 스트레스 조건에서 증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완충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두번째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경제적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번째, 경제적 스트레스는 문제 해결 양식의 다양한 구성요소중 문제 해결에 대한 무기력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번째, 무망감은 경제적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인과모형 검증을 통해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가 스트레스 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음을 논의 했고,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o-called IMF-related economic stress upon the mental health and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As the possible variables moderating the stress process, social resource, problem solving style, and hopelessness were included. 221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recrui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conomic stress and classified into four groups(employees of solid companies, employees of the companies at risk, short-term unemployed and long-term unemployed). Relevant measures including economic stress scale, selected SCL-90R subscales(somatization, depression, hostility, anxiety), social support scale, problem-solving scale, and job hopelessness scale were administered. As assumed, it was proved that economic stress had advers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In addition to this basic causal relationship, moderating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had the buffering effect upon the economic stress. That is, strong social support played the role suppressing the development of psychiatric symptoms under high stress. Second, men were more vulnerable to the adverse effects of economic stresses than women. Third, economic stresses had influence on the helplessness concerning the problem solving. However other problem solving strategies such as creative style, approach style, avoidance style, etc were proven to have no relationship with the economic stress. Fourth, in the analysis of unemployed group, it was found that hopeless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onclusion,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such findings in economic stress process were discussed and several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