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개골 재발성 탈구에 대한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 중첩술을 이용한 치료

        황병윤,최종혁,양익환,박윤길,Hwang, Byoung-Yoon,Choi, Chong-Hyuk,Yang, Ick-Hwan,Park, Yoon-Ghi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2

        목적: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서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관절경적 내측부 중첩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외상 후 발생한 재발성 슬개골 탈구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3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4.2세, 평균 추시 기간은 47.4개월이었다. 결과: 술 전 일치각은 평균 24.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평균 -6.2도, Lysholm score는 평균 75점이었다. 술 후 일치각은 평균 -2.8도, 외측 슬개-대퇴골각은 10.2도로 정상범위를 회복하였으며 Lysholm score도 95점으로 향상 되었다. 재발성 탈구는 총 5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3례에서 대퇴골 이형성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경피적 외측부 유리술 및 내측부 중첩술은 합병증이 드물고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재발성 슬개골 탈구에 대한 치료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대퇴골 활차의 선천성 변형이 있다면 다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for patients with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s the thirty-one cases of patients who have had a surgical operation from March 2001 to March 2008. All the patients had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after trauma history. The average age was 24.2 years old and the average follow up was 47.4 months (minimum 24 months). Results: The preoperativ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Lysholm score was $24.8^{\circ}$, $-6.2^{\circ}$, 75 points on average respectively. However, the postoperativ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Lysholm score was improved to normal range: $-2.8^{\circ}$, $10.2^{\circ}$, 95 points on average. Five cases showed the recurrent dislocation after operation. Among them, three cases showed femoral trochlear dysplasia. Conclusion: Percutaneous lateral release and arthroscopic medial plication showed satisfactory results for recurrent patella dislocation with low complication rate. However, in cases with femoral trochlear dysplasia, another surgical treatment may be 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Scorpio(R) system을 이용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중장기 결과

        양익환 ( Ick Hwan Yang ),황병윤 ( Byoung Yoon Hwang ),한창동 ( Chang Dong Han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Scorpio(R) system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의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고,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 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51명 72예를 대상으로 굴곡 구축, 운동 각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의 슬관절 평가지수, 및 방사선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한 31명 42예와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하지 않은 20명 30예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굴곡 구축, 운동 각도, HSS 점수는 술 후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방사선 투과성선은 경골 전후면 상에서 14%, 대퇴골 측면 상에서 11%로 관찰되었으며, 1예에서는 무균성 해리로 재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 사이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대치형 Scorpio(R) system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은 중장기 추시 상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슬개골 치환술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 간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with using the posterior substitution (PS) type Scorpio(R) system and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the patellar resurfacing group with those of the patellar non-resurfacing group. Materials and Methods: 72 TKAs in 51 patients with minimum 7 years` follow-up were evaluated in terms of flexion contracture, the range of motion, the Hospital for Specific Surgery (HSS) knee score and the radiologic findings. We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42 cases in 31 patients with patellar resurfacing with those of 30 cases in 20 patients without patellar resurfacing. Results: Flexion contracture, the range of motion and the HSS knee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TKAs. Radiolucencies were found in 14% of the cases on the anteroposterior views of the tibia and in 11% on the lateral views of the femur. One case of aseptic loosening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up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patellar resurfacing TYAs and the without patellar resurfacing TKAs. Conclusion: We achieved favorable results when performing TKAs with the PS type Scorpio(R) system during mid to long term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patellar resurfacing and non resurfacing groups in our study.

      • KCI등재

        상완골 병적 골절의 수술적 치료

        강호정 ( Ho Jung Kang ),황병윤 ( Byoung Yoon Hwang ),이재정 ( Jae Jeong Lee ),신규호 ( Kyoo Ho Shin ),한수봉 ( Soo Bong Hahn ),김성재 ( Sung Jae Kim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상완골 병적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0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상완골의 병적 골절로 치료받은 13예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인 분석을 하였다. 원발성 종양은 4예였으며, 전이암에 의한 골절은 9예였다. 수술방법으로는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4예, 도수 정복술 및 골수강내고정술은 8예 시행하였으며, 1예는 광범위 절제술 및 반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이암에 의한 골절인 경우 총 9예 중 3예는 골절 후 원발암이 발견되었다. 6예에서 암 진단 후 평균 36.7개월 (2∼144개월)에 병적 골절이 발견되었으며, 9예의 평균 생존 기간은 수술 후 22.8주 (12∼35주)였다. 원발암 4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이 관찰되었고 전이암에 의한 경우는 모든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11예의 환자에 있어서 양호한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이 관찰되었다. 결론: 상완골 병적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 통증의 완화와 기능의 회복에 대해 비교적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원발양성 종양의 경우는 상지의 기능회복 및 골유합을 얻기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전이암에 의한 경우는 골유합보다는 통증의 감소와 기능의 회복에 그 비중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analyze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after the surgical treatments of pathologic hume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1993 to September 2007,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3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for pathologic humeral fractures.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were as follows-four case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eight cases of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intramedullary nailing; and one of radical excision and hemiarthroplasty. Results: Of nine patients with metastatic bone lesions, three were diagnosed with primary cancer after the incidence of pathologic humeral fracture. The mean period between the diagnosis of primary cancer and pathologic fracture in the latter six cases was 36.7 (2∼144) months and the mean survival period after the surgical treatments was 22.8 (12∼35) weeks in all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Fracture unions were noted in all four cases of primary humeral bone lesion but none in metastatic cases.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were noted in eleven patients of this study. Conclusion: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with sustained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were observed after the surgical treatments of pathologic humeral fracture. Benign bone lesions require more active and early treatments in order to facilitate the functional recovery of upper extremities and fracture union. With pathologic humeral fractures originated from metastasis, palliative treatments were preferred to fracture union method for planning long-term pain relief and functional recovery.

      • KCI등재
      • 脊椎骨의 骨折 및 轉位에 對한 臨床的 考察

        黃丙潤 中央醫學社 1976 中央醫學 Vol.30 No.1

        Clinical analysis was done for 58 cases of fracture-dislocation of the spine admitted to Chunbuk Medical Center and our Department during recent four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total 58 cases, male and female were 53 and 5 respectively and in more than half of all (51. 8%) the injury involved person between 30 and 49 years of age. 2) The site of most frequent involvement was thoraco-lumbar region (58.6%). 3) Prime etiological factors in order were; fall down from height (32 cases), traffic accident (14), trauma by external force (7) and lifting a heavy weight (4). 4) Chief complaints at the time of admission were motor paralysis, back pain and urinary disturbances in most cases but occasional abdominal pain (3 cases). 5) Of the 58 cases, 38 were managed by conservative treatment, 20 by surgically and 6 by traction. Regardless of the treatment method, surgical or conservative, the result of inco?mplete paralysis was better than complete, indicating that the initial lesion to the cord seemed to play decisive role for the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