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일자리사업 예산결정요인과 상대적 효율성 분석 : 부산·울산·경남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홍지훈(Gi-Hoon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본 연구는 지역 일자리사업의 예산결정요인을 식별하고 일자리사업 수행기관의 효율성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자료를 기초로 부산·울산·경남지역 기초자치단체 일자리사업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재정자립도 및 고령인구비율이 일자리사업의 예산 규모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초자치단체를 의사결정단위로 하는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한 결과, 전체 51개 지자체 중 46개가(90%) 비효율적으로 분류되어 개선의 여지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토빗회귀분석을 통하여 일자리사업 효율성의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재정자립도가 지자체의 일자리사업의 효율성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량이 일자리사업의 효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자리사업 수행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사업수행기관이 재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중앙정부 및 광역자치단체의 정치적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budget for public job creation projects and to empirically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that carry out job creation projects. To this end, based on the data from the local job target disclosure system, we first analyze information on the public job creation projects in the Busan-Ulsan-Gyeongnam area and find that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are closely related to the budget size of the job creation projects. In addition,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through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the local government being the decision-making unit, we find that 46 out of 51 local governments(90%) are classified as inefficient. Finally, the results from the Tobit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fiscal self-reliance ratio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iciency of job cre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the discretion of local governments is closely tied to the effectiveness of job creation project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fisc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s and minimize political influence of centr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so that project implementers can secure sufficient discretio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job creation projects.

      • KCI등재

        주 52시간 근로제의 도입이 임금, 고용 및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민(Jun-Min Lee),홍지훈(Gi-Hoon H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21 한국경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2018년 시행된 주 52시간 근로제도의 도입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 이후 예상되는 임금 수준의 상승은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동시에 야기하기 때문에 제도변화에 따른 고용의 변화 방향은 이론적으로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20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주 52시간 근로제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법정근로시간의 단축이 2018년 7월 300인 이상 규모의 사업장에 우선적으로 시행되었음을 고려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전 52시간 초과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사업체를 중심으로 실제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시간당 임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근로시간 감소를 통해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려는 제도의 도입목적과 일치하는 방향을 보이고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주 52시간 근무제의 영향이 보다 집중되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체를 중심으로 고용 수준 및 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영세업체에 순차적으로 적용될 근로시간 단축이 고용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종별 특수성을 감안한 보완책의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abor market impacts of introducing the 52-hour workweek policy. Since the expected rise in the wage level after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causes both a substitution and a scale effect, the direction of employment change following the institutional change is theoretically ambiguou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effect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by analyzing the 2016~2020 work status survey by employment type. Considering that the reduction of statutory working hours was first implemented in workplac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in July 2018, we choose to employ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estimating an alternative model that includes the proportion of employees who worked over 52-hours per week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we find that the actual working hours decreased, with the hourly wage increasing, mainly in workplaces with a high proportion of employees working over 52-hours. Howev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mployment level and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decreased mainly in businesses that are expected to be more intensively affected by the 52-hour workweek policy. This implies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mployment effects of the 52-hour workweek policy, it is necessary to adopt complementary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each industry.

      • KCI등재

        기업의 오프쇼어링 활동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수정(Su-Jung Nam),홍지훈(Gi-Hoon Hong) 한국무역연구원 2021 무역연구 Vol.17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ffshoring on manufacturing firms’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by establishment size. Design/Methodology/Approach - Using data on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Korea between 2014 and 2018, we first apply Levinsohn and Petrin’s (2003) method to construct firm-level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Then we examine the effect of offshoring activities on manufacturing firms’ productivity by comparing regression results from pooled OLS, random effect panel analysis, and system GMM. Findings - When estimated for the entire manufacturing industry, the effect of offshoring is found to be positive, indicating offshoring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s productivity-enhancing. When estimated by establishment size, the offshoring activity was not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otal factor productivity among large-sized manufacturing firms, while the effect remained to b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Research Implications - The results from various estimation exercises show that the effect of offshoring activities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varies by establishment size. We confirm that the effect of offshoring is concentrated amo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dicating that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engaging in offshoring activity are greater for smaller firms, perhaps due to (relatively) higher opportunity costs of participating in the vertically integrated supply chain.

      • KCI등재
      • KCI등재

        소득효과와 자산효과에 의한 주택점유형태 분석

        이준민(Lee, Jun MIn),심승규(Sim, Seung Gyu),홍지훈(Hong, Gi Hoon) 한국부동산연구원 2022 부동산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주택/무주택 가구를 구분 짓는 특성을 자산 격차와 소득 격차라는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특히 자산과 소득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계 로짓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한 결과, 자가 확률에 대한 소득과 (순)자산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순수한 자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값을 갖는 반면, 소득과 (순)자산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순수한 소득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산 증가로 설명되지 않는 추가적인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오히려 ‘자가’에 살 확률이 낮다는 의미로, 주택 소유 여부는 소득격차보다는 (순)자산격차와 더 긴밀하게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reehold and leasehold households in terms of wealth and income. In particular, we exploit the two-stage logit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arginal effects of wealth and income separately. Our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i) the marginal effect of wealth after controlling the wealth effect explained by the income effect significantly improves the freehold probability. However, ii) the marginal effect of income after controlling the income effect explained by the wealth effect significantly lowers the leasehold probability. In other words, the household with additional income that is not explained by its own wealth is less likely to have freehold ownership. The results imply that homeownership relies on wealth disparity rather than income disp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