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구약성서에 나타난 다문화 수용의 특징

        홍성혁(Seong Hyuk H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구약성서에 기초하여 이스라엘이 다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특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다문화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이에 근거해서 이스라엘의 다문화 수용의 특징을 연구한다. 다문화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이주가 필연적임을 바벨과 아브라함 서사에 근거하여 주장한다. 더 나아가, 야훼 신앙을 목적으로 이주하는 자로서의 아브라함의 삶의 궤적이 향후 이스라엘이 ‘게르’로서의 자의식을 형성하는 밑거름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게르’를 대우하는 기준이 되었음을 밝힌다. 이어 구약성서에서 포로기 이전 본문들에서 수용 집단인 이스라엘에 의해 대조적인 대우를 받은 ‘게르’와 ‘노크리’를 예로 들어 이스라엘 사회에 이주민들이 어떻게 수용됐는지를 살펴본다. 포로기 이전의 본문에서 ‘게르’는 호의적인 대우를, ‘노크리’는 홀대받았음을 말한다. 반면에, 포로기 이후의 본문에서는 ‘게르’는 냉혹한 대우를 받기도 했으나 포용적인 대우를 받을 때도 있었음을 말한다. ‘노크리’도 때로는 배타적인 대우를, 때로는 호의적인 대우를 받았음을 언급한다. 특히, 야훼 신앙과 이에 기초한 정체성의 문제에서는 ‘게르’든, ‘노크리’든 배타적인 대우를 받았음을 주장한다. 전반적으로 포로기와 포로기 이후에는 배타주의와 포용주의가 공존함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말론적 이상으로써 ‘게르’나 ‘노크리’가 이스라엘의 정체성의 핵심 토대인 예배 공동체에 함께 참여하는 통합의 꿈을 꾸었다고 주장한다. 종말론적 통합의 이상을 향해 나아가는 도상에서는 배타주의와 포용주의 공존은 주류 수용 집단인 이스라엘과 수용되는 이주민 집단이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호변화를 꾀하는 게 필요함을 제시한다.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각자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상호 유익이 되는 방향으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특히, 주류 수용집단은 ‘인정의 정치’를 통해 행정, 사법,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이주민이 차별받지 않도록 대우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정체성 위협에 근거한 동화주의의 유혹을 걷어내고 ‘역동적 상호작용’에 의한 유익한 변화를 추구하도록 제안한다. 당분간 이주민의 정체성을 존중하면서 인권, 생존권, 사법 정의, 고용 기회 등에서 정당한 대우를 해줘야 한다는 관점 형성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srael‘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Old Testament. First, we define what multiculturalism is, and based on this, w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srael"s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When talking about multiculturalism, I argue that migration is inevitable,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Babel and Abraham. Furthermore, it is mentioned that the trajectory of Abraham"s life as a migrant not only served as a foundation for Israel"s future self-consciousness as a ‘ger,’ but also became a standard for treating ‘ger.’ Next, I examined how sojourners, like ‘ger’ and ‘nokri’ who were treated in contrast by the host Israelites in the OT texts of the pre-exilic period, had been accepted in ancient Israel through history. I argue that in the pre-exilic period, ‘ger’ was treated favorably, while ‘nokri’ was treated badly. On the other hand, I say that in the post-exilic period, while ‘ger’ was usually treated harshly, but they were sometimes treated favorably. I mention additionally that as for ‘nokri,’ they were sometimes treated exclusively and sometimes favorably. In particular, in matters of the Yahweh faith and Israel’s identity, it is argued that ‘ger’ and ‘nokri’ were treated exclusively. I also confirm that exclusivism and inclusivism coexisted in the exilic and post-exilic period. Nevertheless, as eschatological ideals, I argue that Israel had a dream of unity in which ‘ger’ and ‘nokri’ would participate together in the worship community, which is the core foundation of identity. The coexistence of exclusivism and inclusivism, I suggest, requires that Israel, which is a mainstream receiving group, and a group of sojourners who are accommodated seek mutual change through “dynamic interaction.” It tells us that before complete integration is achieved, a caring and respectful attitude is necessary in a direction that is mutually beneficial while maintaining each individual"s own identity.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the mainstream groups need to ensure that sojourners are not discriminated in administrative, judicial, and socio-economic fields through ‘politics of recognition.’ In this respect, this paper will help us to clear the temptation of assimilationism based on identity threats and to form a perspective that pursues mutual beneficial change through ‘dynamic interaction.’ In addition, I think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view that fair treatment should be given in terms of human and judicial rights, right to live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while respecting the identity of sojourners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 KCI등재

        예레미야 31장 23-40절에 나타난 새 언약과 이스라엘과 유다의 통일 이상

        홍성혁(Seong Hyuk Ho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본 논문의 목적은 예레미야 31장 23-40절에 근거하여 북왕국 이스라엘과 남왕국 유다의 통일 이상을 사회-수사학적으로 연구하는데 있다. 본문의 연대와 저자를 예루살렘이 멸망한 주전 587년 얼마 후에 예레미야가 기록한 것으로 보았다. 이어서 본문에 나타난 ‘이스라엘과 유다’란 용어가 통일과 연관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단독으로 사용된 ‘이스라엘’도 통일 이스라엘을 가리킨다고 보았다. 이는 예레미야 31장 23-40절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다섯 개의 소단락(렘 31:23-26, 27-30, 31-34, 35-37, 38-40) 사이의 형식적 연관성은 물론 주제 연관성을 도외시한 주장과 차별된다. 본문의 저작을 포로기나 포로기 이후의 편집자에 의한 작업의 결과로 보던 기존 주장과도 구별된다. 본문이 교차대구를 이루는 하나의 수사 단락으로 통일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배경이 되는 사회적 상황이 예레미야의 통일 이상과 연관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예레미야가 말한 통일 이상은 이스라엘과 유다 둘 다 멸망한 상황, 곧 제로베이스에서 출발해야 함을 말하였다. 또한 죄 용서에 초점을 둔 ‘새언약’ 단락(렘 31:31-34)을 중심으로 하여 대구를 이루는 예레미야 31장 23-36, 38-40절이 이스라엘과 유다의 공유 가치인 예배의 자리로서의 시온의 회복을 다루고 있음을 말하였다. 또 다른 대구 단락인 예레미야 31장 27-30, 35-37절은 통일 이스라엘의 ‘씨 뿌림’과 ‘씨 보존’이 창조주의 창조와 창조질서 유지 능력에 의존함을 말함으로써 통일에 있어 하나님의 절대 은총이 본질적임을 말하였다. 이를 통해 예레미야의 통일 이상에 나타난 모티브가 하나님의 절대은총, 공유 가치, 죄 용서임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놓인 상황은 다르지만, 이 모티브가 한반도의 통일 과정에 던지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거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socio-rhetorical analysis concerning the ideal of unification of northern Israel and southern Judah by using Jeremiah 31:23-40 as the basis. The present writer argues that the unit showing chiasmus was written by Jeremiah himself right after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in 587 BCE. I also argue that the term “Israel and Judah” is not only relevant to the unification of both kingdoms, but the term “Israel,” even when used alone, also points to the unified Israel.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the unit is split into five separate units (Jer. 21:23-26, 27-30, 31-34, 35-37, 38-40) which are redactional items in the postexilic period. Such views ignore th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forms and themes of the five units. Not only the oracles show unity as a rhetorical unit, but also form the chiastic structure around the unit of the “new covenant” (Jer. 31:31-34). I propose that Jeremiah’s ideal of a unified Israel begins with the complete destruction of Israel and Judah; essentially, from “zero base.” The Zion oracles (Jer. 31:23-26, 38-40) mention the restoration of Zion as the center of worship and of unity for restored people. This value is shared by Israel and Judah. The “seed” oracles (Jer. 31:27-30, 35-37) stress the intervention of God as creator and sustainer of created order represented by “seed scattering” and “seed preservation.”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divine absolute grace. The center unit (Jer. 31:31-34) of the whole unit is focused on the forgiveness of sins by the divine grace. Thereby, I clarify that the motifs present in Jeremiah’s ideal of unification are of shared value, divine absolute grace and forgiveness of sins. Although the socio-political situations in Israel during those times and modern-day Korea are different, I make the argument that the aforementioned motifs give some indications as to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호세아 9장 13절의 의미와 번역에 관한 제안 - 호세아 9장 10-17절의 맥락 속에서 -

        홍성혁(Seong-Hyuk Hong) 한국구약학회 2020 구약논단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meaning of Hosea 9:13 and then propose an appropriate translation of it. Hosea 9:13 (MT) is difficult not only to understand but also to translate. This is due to its syntactical or grammatical irregularity and the omission of words as well as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its socio-cultural background. To solve this problem, scholars are making various proposals on its translation by changing, modifying, or assuming the spellings of the text based on textual criticism. In understanding and translating Hosea 9:13, however, the textual criticism alone is limited. Thus, based on the literary unit of Hosea 9:10-17, to which Hosea 9:13 belongs, the writer tried to analyz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meaning and translation of Hosea 9:13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 attempted to prove by the literary structure of the text that the act of taking children to a slaughter in Hosea 9:13b is not a future event but a past event. In the process, I argued that Hosea 9:13 is not a judgment which would occur in the future of Israel, but a charge against rebellion which served Baal in the past. Second, I contended that Tyre mentioned in Hosea 9:13a should not be changed or replaced to find any other meaning, but should be left untouched. By doing so, I proved that the mention of Tyre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well connected with the immediate context of Yahweh’s declaring the deprivation of life as a judgment against the rebellion of child sacrifice, but also showing the continuity between Tyre and Israel in socio-cultural terms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child sacrifice. Third, from a grammatical point of view, I made it clear by comparison that Hosea 9:13b serves to shed light on the ambiguity of the problem of Tyre expressed in Hosea 9:13a. I also argue that the infinitive construct in Hosea 9:13b can be translated into a perfect form when understood as an emphatic lam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in line with the meaning of an accusation against the past rebellion.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which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not only the context of the text and its literary structure are analyzed, but also any word in the text is not carelessly dealt with through social-cultural background research. It also confirms the importance of clarifying the grammatical ambiguity of the text itself through grammatical explanations.

      • KCI등재

        EDF를 이용한 국내산업 간 신용리스크 전이량 측정방안

        홍성혁(Seong Hyuk Hong),박만식(Man Sik Park),조재범(Jae Bum Ch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최근 금융리스크 중 신용리스크(credit risk) 측정대상 개체들 간에 전이되는 전이 위험량을 어떻게 측정할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반면에 측정방법에 대한 소개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전이효과 측정 시 많이 활용되는 전이효과지수(spillover index)를 이용하여 국내 대표적 내수산업과 수출산업 및 이들 관련 산업들을 대상으로 이들 업종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효과를 예상부도확률(EDF)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생산을 유발하는 유발효과가 큰 업종일수록 타 업종에 미치는 신용리스크의 전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이효과지수가 신용 전이 위험량 자체의 측정보다는 전이효과를 비중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므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전이효과의 비중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신용 개체들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량의 측정방법을 새로이 제안하고자, 업종 간 VAR모형에 의한 예측PD와 업종별 ARMA모형에 의한 예측PD의 차이를 이용하여 특정산업이 타 업종으로부터 받는 신용 전이 위험량을 측정 및 분해하는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국가 간 등 거시적 측면에서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는 미시적 측면에서 신용 개체들 간에 신용 전이 위험량을 어떻게 측정할 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향후 개별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신용 보유자산에 대해, 관심 있는 신용 개체 간의 신용리스크 전이효과를 반영한 적정 경제적 자본관리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lots of interest in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transferred between credit objects among financial risks but the measurement methods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ye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agion effects among the domestic and export industries, and their related industries using spillover index in terms of EDF. Our analysis shows that the greater the effect inducing domestic production, the greater the transfer effect of credit risk to other industries. The spillover index measures the transfer effect as a weight rather than the measure of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itself and most of previous literature focused on weight of the transfer effec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of measuring and decomposing the amount of credit contagion risk from other industrie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PD by VAR model and the predicted PD by ARMA model for each industry. We expect that our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appropriate economic capital management reflecting the risk contagion effects for the assets related to credit risk held by individual financial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한국성결교회 이명직 목사의 구약성서 예언서의 해석 원리 -이사야서를 중심으로

        홍성혁 ( Seong Hyuk Hong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1910년에 창립된 한국성결교회는 역사의 질곡을 거쳐오면서 성서 해석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 성서 해석과 관련된 많은 자료를 유산으로 남겼다. 특히, 초창기 성서 해석의 대부분을 담당했던 이명직 목사의 성서 해석의 유산은 매우 방대하다. 그러나 자료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 그러한 유산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근래에 발간된『이명직 목사 전집??은 그의 성서 해석의 유산에 대한 통전적인 연구를 가능케 했다. 본 연구는 한국성결교회 초기에 성서 해석의 초석이 되었던 이명직의 구약성서 해석의 원리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있다. 그는 구약성서만 해도 2천 쪽 이상의 방대한 분량을 저술하였다. 그 가운데 1925년부터 1937년 사이에 ?활천?지에 기고한 이사야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사야서에 대한 그의 성서 주해가 어떤 성서 해석 원리에 입각하여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것이다. 성서 해석이 해석자가 처한 사회적 현실과 유리될 수 없기 때문에, 먼저 그가 이사야서를 집필한 19251937년 사이의 시대적 상황을 살폈다. 일제시대라는 억압적이며 암울한 상황이 그의 이사야서 주해에 어떻게 반영돼 있는지 짚어본 것이다. 그런 다음에 그가 주해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 얻은 여섯 가지 성서 해석의 원리에 따라 이사야서 본문을 분류하여 소개하되, 앞서 분석한 사회적 상황과 연관시켜 그의 주해의 성서해석학적 의미가 무엇인지 언급하였다. 물론, 여섯 가지 성서 해석의 원리는 이해의 편리를 위한 것이지 절대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끝으로 이명직이 여섯 가지 해석 원리에 천착하게 된 근원적 이유를 거론하면서 그가 전수받은 성결교회의 신앙적 뿌리와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지금까지 이명직의 성서 해석 원리에 관한 기존 연구가 있었지만, 대부분 부분적인 본문 인용에 머무르고, 한 권의 성서 본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직접적인 분석을 시도한 일은 없다. 이사야서 전반을 대상으로 이명직의 주해를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체계적인 해석 원리를 찾아냈다는 점과 그것이 한국성결교회의 신앙적 뿌리와 연동돼 있다는 점을 확인 시켜줬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EHC), which was founded in 1910, has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develop biblical interpretation. As the result of such efforts, KEHC has left an inheritance of an expansive library of sourc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Reverend Myung-Jik Lee was particularly instrumental in building this inheritance through his early involvement in biblical interpretation at the initial stage of KEHC`s history. Yet his biblical materials were scattered all over the place, which made studying his materials in a systematic fashion incredibly difficult. The recent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his materials has made it possible for us to thoroughly analyze Lee`s work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biblical principles that Lee relied on. Lee wrote over two thousand pag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A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all of Lee`s works,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what he wrote for Living Waters between 1925 and 1937 for our analysis of the book of Isaiah. Namely, our analysis of Lee`s works attempts to find out on what principles he rested his interpretation of Isaiah. Given that biblical interpretation cannot be bifurcated from the writer`s social situation, the present writer first examined the social situation between 1925 and 1937 when Lee had written the analysis on the book of Isaiah. Lee`s commentary on Isaiah reflected the oppressive and gloomy situ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n the present writer classified the whole book of Isaiah into six principles for interpretation and interpreted the whole text of Isaiah according to the principles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context. Of course, the six interpretive principles are not absolutely distinctive, but were distinguished for hermeneutic convenience. Finally, this study showed why Lee`s biblical interpret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hurch`s religious tradition which he had inherited. Even before this study, there has been several attempts to investigate Lee`s biblical interpretive principles. Yet such attempts merely dwelled on partial analysis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his biblical materials. The value of this study first of all lies in looking at the book of Isaiah as whol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Lee`s biblical interpretation. Secondly, this study revealed through his commentary on Isaiah his interpretive principles in a systematic way. In addition, this study has reconfirmed Lee`s interpretive principles as those that are rooted in the religious origins of KEH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