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의 풍경들

        홍석경(Seok-Kyeong Ho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2

        이 연구는 블로그에서 발견되는 장소 사진들을, 담론적으로 생산되는 공간 경험의 사회문화적 실증성(positivity)이 발현되는 공간으로 간주하고, 이 사진들을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채택했다. 블로거들의 사진을 대표성 있게 표집하여 서울시의 장소성, 도시 공간을 살아가는 공간실천의 유형에 대한 기본 데이터로 삼고, 이것을 바탕으로 서울의 풍경을 구성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지배적인 시선을 확인해 낼 수 있었다. ① 우편엽서의 미학을 드러내는 박물관 시선, ② 세부 일상을 세계화의 스펙터클로 만드는 이국정서의 시선 ③ 도시공간의 체험이 텅 빈 것임을 드러내는 자기지칭적 시선. 이 작업은 공간의 재현을 분석하거나 개인의 사진작업 속에서 사회학적 의미를 발견하던 사진사회학적 접근과 구분되고, 특정 현실에 속하는 사진의 전체 코퍼스를 이론적인 환원없이 시각화(visualization)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려는 문화분석학(Cultural Analytics)과도 구분된다. 이 연구는 문화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 디자인 속에 사진영상을 도입하려는 다분히 시험적인 연구 프로젝트이며, 연구문제가 서울이란 도시공간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베냐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와 세르토의 공간의 문화실천연구, 김홍중의 골목길 연구에서 이론적 영감을 얻었다. This study considers location photographs that are found in online blogs as social practice that manifest the sociocultural positivity of discourse, produced through individual’s experience of space. As a result, the study selects online blog photographs of Seoul as research corpus. By selecting photographs through representative sampling and setting them as fundamental data that show Seoul’s placeness and spatial practice of living a cityscape, the study was able to find three dominant perspectives that construct landscapes of Seoul: (1) museum-like gaze that show postcard aesthetics (2) foreign-sentiment gaze that make daily lives as global spectacles (3) self-referential gaze that shows the emptiness of city space experience. This project differentiates from the sociology of photography approach that analyzes representations of space or observes sociological meaning from an individual’s photography project. It also differentiates from Cultural Analytics approach that attempts to produce new knowledge by visualizing a total set of photographs on a particular reality without theoretical reduction.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project that introduces photographic images into qualitative research design on a cultural phenomenon. Also, in the aspect that the study’s research question is on spatial experience of the city of Seoul, it gained theoretical inspirations from Benjamin’s Arcade project, De Certeau’s researches on spatial practices of culture , and H. J. Kim’s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alley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 KCI등재

        SNS를 통한 현실인식 가능성에 대한 고찰

        홍석경(Seok-Kyeong Hong),오종환(JongHwan Oh)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1

        본 연구는 트위터라는 사회관계망 서비스(SNS)가 정합성 있는 현실의 모습을 제공함으로써 대안적인 현실구성 매체로 기능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람들은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해 개별적인 정보를 생성하고 각각의 트윗은 상이한 현실 이해를 담고 있지만, 궁극적인 트윗의 경험은 의미 있는 내러티브 구조로 파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세트의 구성을 위해 태풍 하이옌 해시태그(#Haiyan)가 포함된 트윗을 수집하였으며, 하이옌이 상륙하기 4일 전부터 9일 후까지 14일간 생성된 트윗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해당하는 트윗에 포함된 사진의 내용에 따라 사진을 7개의 범주로 나누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떤 사진들이 더 많이 공유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기간 동안 재난을 예고하고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사진을 시작으로, 참혹한 재난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 주를 이루다가, 피해자에 대한 구호 독려를 담은 사진, 현장이 복원되고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이미지로 대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사후 분석 상황에서 이러한 트윗의 흐름은 재난 현실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내러티브 구조를 따르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트위터 사용자의 실시간 하이옌 사진 경험은 시간의 추이를 벗어나서 무작위적인 것이고,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에 표집하여 내러티브가 발견된 데이터 세트도 트위터 알고리듬과 트위터 사용자들의 반응에 따라 변동하는 불안전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데이터 세트의 위상과 트위터라는 SNS가 소통시키는 정보의 현실구성 가능성은, 기존 미디어담론의 현실구성 연구의 전제를 변경시킬 필요를 제기한다. 본 논문은 SNS시대의 새로운 현실구성 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포스트모던 내러티브 이론과 항시적 저널리즘, 집단지성의 입장에서 성찰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입장이 기존의 빅데이터 연구의 전수조사 방식 및 패턴 읽기와 어떤 차별성을 갖는지, 라투르(Latour)의 모나드론을 통해 사회이론적 시선에서 새롭게 고찰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i. e. Twitter, has a potential to function as a medium that represents the reality in a consistent way. On Twitter, each user generates information individually and each tweet contains different comprehension on the reality. Yet, the analysis informs that through the use of Twitter the reality can be perceived as a combined whole, which is constructed by the narrative of the thread, not as a sum of individual piece. We collected tweets uploaded for a certain period that include a hashtag #Haiyan-the Typhoon Haiyan hit the Philippines in early November 2013-and a photograph. Initially, all collected tweet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according to the visual theme in the photograph of each tweet. Reading the fluctuation of the photographed discourses, we analysed how discourses on the typhoon are organised to finally construct a coherent story, a conventional disaster narrative. As a real time experience, Twitter users should have seen Haiyan images in a random way, the data set extracted for this study being an unstable entity mediated by the Twitter algorithm and the Twitter users’ continuous reactions. The possibility of the reality construction by the time depending data set of Twitter acclaims changes in the theories of reality construction of the media. The discussion continued under the perspectives of postmodern narrative theory, ambient journalis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Finally, we attempt to provide explanation on the phenomenon under the light of Latour’s monadology, which inspire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the collected data set through SNS, compared to previous SNS studies that extract patterns from the “big data.”

      • KCI등재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홍석경(Seok-Kyeong Hong),박소정(Sojeong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1

        먹는 행위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것을 넘어서서 삶과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한국은 전통적 건강담론과 엄격한 예절문화를 바탕으로 한 음식문화를 형성해왔다. 그런데 최근 한국에서 이러한 지배적인 음식문화의 가치와 전통적 정체성에서 이탈하는 인터넷 ‘먹방’(‘먹는 방송’의 약자) 문화가 등장하여 주목을 끌고있다. 이것은 기존의 미디어가 다루어온 음식문화에 대한 지배적인 코드를 흥미롭게 변화시키거나 배반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먹방을 한국의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발달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이자 음식문화를 매개하는 독특한 미디어문화의 한 양상으로 정의하고, 먹방의 포맷이 기존 미디어에 도입되면서 어떤 헤게모니적 과정을 거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먹방 문화에 대한 심층적 관찰부터 시작해, 먹방의 사회맥락적 이해와 독특한 가치의 소구방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1인 가구의 증가와 잉여문화라는 배경을 바탕으로 자라난 먹방은 이제 주류 미디어인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에 의해 차용되고 있다. 먹방이 기존의 미디어 가치를 어떤 식으로 반박하는지, 기존 미디어가 이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교섭이 일어나는 지를 탐구하는 것은 새로운 음식 담론과 미디어 헤게모니 과정을 고찰하게 해준다. Eating is closely intertwined with people’s lives and culture. Korea has developed its own food culture based on traditional health discourse and strict table decorum. Recently, however, Mukbang(an abbreviation of food broadcasting in Korean), provided by Afreeca TV, sheds new light on both food culture and media culture, as it deviates from the traditional values of food culture mediated by conventional media. Mukbang shows its unique aesthetics as it changes and betrays predominant codes of conventional food culture. This article closely observes Mukbang and defines it as a social communication developed in a specific socio-historical context of Korea and a unique aspect of media culture that mediates food culture. As the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 and the so-called Suprlusage culture arises, Mukbang emerges as a noticeable subculture. Then with its popularity, it expands into TV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gemonic process where Mukbang contradicts traditional values and challenges legitimate culture, and conventional media negotiates with elements of Mukbang as it appropriates them. This gives attention to new food discourse and media hegemonic process.

      • KCI우수등재

        프랑스의 한국 아이돌 문화 여성팬덤과 성 담론에 대한 연구

        홍석경(Seok-Kyeong Hong)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1

        This article studies the way how gender discourses generated by the Korean idol culture are articulated in the discursive formation of gender through the reception practices in the Western Europe. Cyber ethnography is made on a French Fan forum on the East Asian television drama. It shows that the idol culture is reinterpreted in the gender discourses where the Boys’love Manga and Yaoi culture as well as the slash fan fiction practices are already installed. French female fans are actively searching for a digital scopophilia extracting idols from the narratives of dramatic romantic fantasy. Idols are consumed as a new masculinity of the modern East Asia beyond the Asian male stereotypes established by Hollywood film tradition. It is also observed that fans are aspiring for a multicultural and hybrid identity in their practices and that all those practices linked to idol culture offer materials for Queering gender identities in the Western culture.

      • KCI등재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

        홍석경(Seok-Kyeong HONG-MERCIER)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1

        디지털 문화의 발전은 전 세계의 모든 콘텐츠를 문화소비의 일차자료가 될 수 있게 만들었고, 이러한 매체정경은 세계화 과정 속에서 새로운 문화실천의 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를 넘어서서 세계 속으로 유통되는 한류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화두를 제시했다. ① 한류 중심의 동아시아 정체성 논의에서 벗어나기, ② 서구 중심의 프로그램 ‘질(Quality)’ 논의에서 벗어나기, ③ 북미 중심의 문화산업 논의에서 벗어나기, ④ 문화실천과 사회변동에 대한 부르디외식 사회학에 문제제기하기. ①은 동아시아 내부의 초국적 문화소비를 통해 상대적 동질성을 강조하는 정체성 논의에서 동아시아와 동아시아 밖의 ‘타자’와의 관계로 정체성 논의의 축을 바꿔야 함을 주장한다. ②와 ③은 서구 연구자들이 서구의 사례로만 보편적 연구담론을 생산하던 지금까지의 관행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으로, 진정한 ‘보편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이론화를 위해서는 서구 중심적인 ‘질’ 개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문화산업에 대한 정당한 관심을 보이고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 문화가 가져온 문화실천 논리의 변화에 대한 ④는 앞으로 방대한 현장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관련된 각 사회 내부에서 검증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단지 한류를 연구하는 동아시아의 연구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문화가 매개하는 세계화 과정 속 문화실천의 변동을 연구하는 모든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에게 해당되는 연구문제다. This article proposes four theoretical investigation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Hallyu consumptions observed in the world beyond East Asia. (1) Liberating the East Asian identity discussion from the Hallyu discourse; (2) Reconsidering the Western?oriented programs ‘Quality’ discourse; (3) Free the cultural industries discussion from the North America centred view; (4) Requestioning Bourdieusian theories on the cultural practices and social change. (1) argues the necessity of position changes considering cultural identity of the East Asia: from the discussions on the cultural “Sameness” developed from observations on the translational cultural consumption within the East Asia into the discourses of identity in relation to the “Otherness” based on the global contents flow. (2) and (3) are the critics on the Western researchers studies focused on the Western cases. It is argued that we must consider beyond the Eurocentric concept of ‘Program Quality’ and show a legitimate interest on the cultural industries in East Asia in order to develop a ‘Universal’ communication research and theories. Proposition (4) considers the emerging logic of cultural practice under the changes made by digital culture. These theoretical investigations interpellate not only the Est Asian researchers studying Hallyu but also all communication researchers questioning the changes in the cultural practice under the digital culture parameters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 KCI등재

        프랑스에는 왜 문화주의 연구가 없었나?

        홍석경(Seok Kyeong Ho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3

        이 논문은 영국에서 탄생한 문화주의 연구가 80∼90년대를 거치며 전 세계로 확산되어 갔으나 정작 그 학문의 원 자료 이론의 대다수를 제공한 프랑스에서 문화주의 연구가 부진했던 이유, 그리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자발적인 수용의 움직임이 일어난 과정과 맥락에 대한 매개학적 분석이다. 프랑스 인문사회과학의 문화주의 연구 수용을 억제했었던 맥락은 다문화적 특수성을 용인하지 않는 보편적 공화주의와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구분에 기초하여 계급귀속적인 문화취향을 주장하는 부르디외식 문화정당성 이론의 지식권력, 그리고 개인주의적 지식생산의 전통으로 분석되었다. 자발적 수용은 첫째, 프랑스 사회가 겪고 있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맥락 속 문화실천 논리의 변화, 둘째, 탈식민주의를 요구하는 프랑스 사회의 다문화 현상에 기인한 새로운 문제의식에 기초한 것으로 밝혀졌다. This paper is a mediological analysis on the reasons of the non propagation of British Cultural Studies in France and the context of its recent reception in the mid-2000s. Cultural Studies, rich in french theories, internationalized during 80-90’s, are rarely studied in France and have known a voluntary movement of acceptance from the mid-2000’s. The reasons of the reluctancy of the French humanity researchers forward CS are analysed as (1) the universal republicanism which had not tolerated the multi-cultural distinctiveness; (2) the knowledge power of the Bourdieusian cultural legitimacy theory which claims the class oriented cultural taste, which itself is based on the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division; (3) the individualistic intellectual tradition. Voluntary acceptance is explained from the two following conditions; first, French society is undergoing changes in logics of cultural practices made from the globalization and the digital culture; second, a new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issues produced in the middle of the French post-colonial socie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텔레비전의 예능 프로그램에 드러난 음식문화 비교연구

        홍석경 ( Seok Kyeong H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3 No.3

        이 논문은 한국과 프랑스의 대중적 인기가 높은 두편의 음식 예능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매개하는 양국 음식문화의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상황을 이해하고자 했다. 일반인이 참여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연예인과 유명인이 참여하는 예능 프로그램 (Real Variety)의 형식적 차이를 고려하고, 그것이 구현하고 있는 경쟁의 원칙을통해 양국 음식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먹기’라는 감각적인 경험에 사회적 차원을 부과하는지, 그것이 서로 다른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매개(mediation)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의 미디어문화 속에 과도할 정도로 ‘먹기’가 강조되어 있고 음식이 집단정체성과 노스탤지어의 대상이 되는 등, 한국의 미디어 속에는 음식 콘텐츠가 넘치고 있다. 프랑스 프로그램 < 거의 완벽한 저녁식사 >가 참가자들의 상호의존적인 집단평가를 통해 경쟁한다면, < 냉장고를 부탁해 >는 극적인 현장 요리대결을 통해 먹는 자의 선택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는 경합이다. 이 프로그램은 요리하는 자에 초점이 맞추어진 프랑스 프로그램과 대조적으로 먹는 자에게 승패의 권한을 주는 내러티브를 전개하면서도, 창조적 요리를 남성의 일로, 재생산 노동으로서의 먹이는 자의 요리를 여성의 노동으로 간주하는 성적 분업을 전제하고 있다. < 거의 완벽한 저녁식사 >가 초대문화의 내러티브를 통해 프랑스 사회 속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을 매개하는 프로그램이라면, < 냉장고를 부탁해 >는 참가자와 수용자들에게 일상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특별한 음식의 맛을 경험하며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을 맛의 언어를 습득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감각적인 것(le sensible)을 사회적 차원을 담은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참여자의 취향의 위계를 읽을 수 있었다.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on food in Korea and Fr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ommunication of two countries` Food Culture mediated by television. Analysis is focused on the formal difference between Reality Program and Real Variety Show, the first having the public participants and the second inviting celebrities ;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of each program that implemented a social dimension on the “eating”, a sensuous experience ; on the way that it is mediated by the different entertainment programs. Korean mediaculture provides many “eating” related programs and food is often object of a nostalgy. Compared to the French < Almost Perfect Diner(Diner Presque Parfait) > doing competion according to the collective and interdependent appreciation, Korean television`s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shows real time cooking competition and the invited celebrities choose the winner chef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of cuisine. This program differs from the French one focusing on the cooker : it gives the power to the eater to choose the winner. It has a presupposition on the sexual divide considering creative cooking as men`s work and the everyday reproductive cooking as female work. < Almost Perfect Diner > is mediating different lifestyles in the French Society through the narratives of invited diner, while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makes invited celebrities taste special and unique cuisine of which they can`t have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nd induce the audience to learn the language of the taste.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aste can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verbalizing the sensible.

      • KCI등재
      • KCI등재

        블로그 판매 짝퉁 제품들에 대한 연구

        홍석경(Seok-Kyeong Hong),안혜상(Hyesang Ah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6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2 No.1

        본 연구는 현재 인터넷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짝퉁 ST 제품의 소비현장을 탐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짝퉁의 소비논리를 밝히고, 이들이 그저 명품이라는 기호를 도용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명품의 기표를 변형해 이를 재창조·재목적화하는 “전유(appropriation)”를 이루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금의 짝퉁소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현재 인터넷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개인 블로그의 짝퉁 소비현장을 참여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다양한 ST 제품들과 이들의 소비행위가 발견되었는데, 연구자는 발견된 제품들을 원본의 변형 정도를 기준으로 원본의 세부적인 요소들만을 변형한 단순변형, 핵심요소를 변형한 핵심변형, 그리고 장르가 달라지는 범주변형제품으로 분류하였다. 대부분의 ST 제품들은 원본의 권위에 도전한다기보다는 원본의 명품과 최대한 비슷해지려 하면서 전복적 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지만, 핵심변형제품의 경우 원본을 구미에 맞게 차용 및 변형시키는 브리꼴라쥬(bricolage)를 이루고 있었다. 비록 부분적이긴 하지만 연구자는 이러한 핵심변형 ST 제품들을 기존의 명품시장의 원칙을 거스르는 소비실천으로 파악하고, 이를 명품 헤게모니에 대한 하나의 저항적 소비행위로서 파악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sumption of fashion counterfeits namely “○○ ST(style) products” in internet blog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logic behind counterfeit consumption and investigate whether counterfeits merely pirate the sign of luxuries or they make appropriation recreating and repurposing them. For examining the counterfeit consumption, we observed the counterfeit sales in personal blogs. As a result, various ST products and their consumption were discovered. We classified discovered ST products into three categories: “simple modification”, “core deformation”, and “category modification”. Most of them do not challenge the authority of the luxury since they have similar shape to the luxury.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re deformation” products, they form bricolage borrowing and transforming originals. Researchers comprehend them as a resistant practice of consumption which disobeys the hegemony of lux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