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주회사 이익특성이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홍사선(Hong Sa Seon),신호영(Shin Ho Young) 글로벌경영학회 2017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ttributes of earnings of the holding company which recognizes equity method income from subsidiaries, affects the credit rating of the holding company. The earnings attributes of the holding compan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firms. First, accruals are bigger than cash flows from operations in earnings of the holding company. Secondly, the accruals persistence in the holding company is bigger than that in general firms. The equity method income, which is classified as accruals,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earnings in the holding company. Thus, the accruals of holding company, formed from the subsidiaries’ earnings, reflects not accruals persistence but earnings persistence. Since prior studies report that earnings persistence is bigger than accruals persistence (Sloan 1996; Francis et al. 2005), we anticipate that the accruals persistence of the holding company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firms. Similarly, we anticipate that a credit rating agency will highly evaluates more the persistent accruals of the holding company than those of general firms. The KOSPI sample from 2002 to 2010 is used to test these anticip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ruals out of earnings are bigger in the holding company than general firms. Secondly, the accruals persistence for the future earnings in holding company i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firms. Thirdly, compared to general firms, the accruals of the holding company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credit rat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ccruals of the holding company have a positive incremental effect in the accruals-credit rating studies, du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report the accruals of holding company are more persistent than general firms for the future earnings.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results that the accruals persistence, formed from equity method income, is different to that of general firms, a new perspective is drawn for the research of the earnings quality, especially earnings persistence in accounting areas. Secondly,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redit rating agency considers not only the earnings persistence but also the accruals persistence, when they evaluate the credit rating of the holding company. Thirdly, if the holding company wants to hold or increase the credit rating more favorably, an effective way is to manage the equity method income well. we suggest that managing subsidiaries is very important to the holding company for its credit ra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지주회사의 이익특성이 일반기업들과 다르며, 이러한 특성차이가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첫째, 지주회사의 이익특성은 자회사 이익의 지분율 만큼을 인식하는 지분법이익이 전체 이익 중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지주회사의 이익구성요소 중 영업현금흐름보다 발생액의 비중이 큰지를 분석한다. 둘째, 지주회사의 이익특성은 지분법이익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주회사의 발생액에는 발생액 지속성이 아닌 자회사의 이익지속성이 반영될 것이다. 따라서 지주회사의 발생액 지속성이 일반기업의 발생액 지속성보다 크다는 이익특성이 예상된다. 이러한 일반기업과 다른 지주회사의 이익특성을 신용평가기관이 인지하고 신용등급 산정 시 고려하는지를 분석한다. 지주회사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지주회사 전환 전후 기업지배구조, 이익조정과 기업가치 등을 분석하여 지주회사 전환으로 인한 경영투명성 향상과 이로 인한 회계이익의 질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주회사의 이익특성이 일반기업과 다르며, 이 다른 이익특성을 신용평가 기관이 인지한다는 것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002년에서 2010년까지의 유가증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주회사의 이익구성요소 중에서 발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반기업보다 더 크다. 둘째, 미래이익에 대한 지주회사의 발생액 지속성은 일반기업의 발생액 지속성 보다 더 크다. 셋째, 지주회사의 발생액이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기업보다 더 크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주회사의 발생액이 일반기업의 발생액과 비교하여 미래이익에 대한 지속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신용등급 평가 시에도 일반기업의 발생액보다 더 강한 신용등급과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공헌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주회사의 지분법이익으로 인한 발생액 지속성은 일반적인 발생액의 지속성과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지속성 연구 분야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신용평가기관이 이익지속성 뿐만 아니라 발생액의 지속성도 인지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 셋째, 지주회사가 우수한 신용등급을 유지하거나 상향하고자 할 때는 지분법이익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는 지주회사의 주된 활동인 자회사 관리의 중요성이 지주회사의 신용등급과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특수관계자 거래를 통한 이익하향조정

        신호영(Shin Ho Young),홍사선(Hong Sa Sun),오상훈(Oh Sang Hoo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6

        본 연구는 특수관계자 거래가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배기업이 계열사로 자원을 이전하는 propping의 경우 특수관계자 거래는 재량적 발생액과 음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선행연구들의 결과는 특수관계자 거래와 발생액이익조정 사이에는 양의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었다. 이는 특수관계자 거래가 이익상향 조정의 유인과 동시에 이익조정의 수단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특수관계자 거래는 그 자체로 이익조정의 유인은 아니며 이익조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수단에 가깝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 이익하향조정을 할 유인이 있다면 특수관계자 거래는 재량적발생액과 음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일반적으로 지배기업이 계열사들에게 propping을 하는 경우, 이들 지배기업들은 선행연구들에서의 결과와 같이 안정적인 수익과 풍부한 현금흐름을 보유하는 특징이 있고 세금비용을 줄이려는 유인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특수관계자들에게 그들의 자원을 지원하는 지배기업은 이익을 하향하려는 유인이 있을 수 있으며, 이익조정 수단으로 특수관계자 거래를 활용할 것이다.연구결과는 지원행위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특수관계자 거래를 통하여 이익을 하향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원행위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의 경우 선행연구에서의 결과와 같이 특수관계자 거래를 통하여 이익상향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익상향조정의 유인과 이익조정의 수단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어 추가분석을 한 결과, 이익상향 조정의 유인이 있는 상황에서는 이익조정의 수단인 특수관계자 거래가 증가할 때 재량적발생액이 더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한 반면, 이익상향의 유인이 없는 경우에는 특수관계자 거래의 증감은 재량적 발생액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이익조정의 수단인 특수관계자 거래 보다 이익조정의 유인에 의해 변화됨을 의미하고, 따라서 기업이 propping과 같은 이익하향조정의 유인을 가지고 있을 때 특수관계자 거래라는 이익조정 수단를 통하여 이익하향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본 연구는 지배기업과 특수관계자 사이에 자원의 이동을 기준으로 이들 기업 간 tunneling과 propping의 분류를 시도하고 특수관계자 거래가 이익상향조정 뿐만 아니라 이익하향조정에도 사용된다는 증거를 발견함으로써, 이익조정 연구와 특수관계자 거래를 사용한 연구들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해준다는 공헌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ify that a related party transaction has a negative relation to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case of the firms performing the propping that transfer their resources to their subsidiaries and people with a special relationship.Prior researches report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se results mean that related party transaction is both incentive and means of upward earnings management. However, firms that having an incentive of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might also have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related party transaction and discretionary accruals, because related party transaction is not both incentive and means of upward earnings management but just close to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regardless of direction.When dominant firms do propping to their subsidiaries, these dominant firms generally hold stable profit and abundant cash flow and have an incentive to reduce their earnings for tax costs. Thus, the dominant firms propping their subsidiaries could have an incentive to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ms in the highest possibility of propping, first, do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although most firms do upward earnings management which is the consistent result to prior researches. In the additional test results, the relation that discretionary accruals positively increases with raising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 is discovered on the occasion of having an incentive to upward earnings management, while discretionary accruals is no sta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increasing groupof related party transactions and decreasing group.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s is more caused from incentive of earnings management than the extent to related party transactions as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therefore, this implies that firms could do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through the related party transactions, if firms had an incentive to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such as propping.This study contributes to accounting literatures in both earnings management and related party transaction by providing the evidence that related party transactions in dominant firms is used for earnings management not only upward but also downward with classification of tunneling and propping.

      • KCI등재

        SCM파트너십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성욱(Yi Sung Wook),홍사선(Hong Sa Seon) 한국관리회계학회 2010 관리회계연구 Vol.10 No.1

        오늘날의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환경변화에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처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경영혁신 운동을 추진하여 계속기업의 실현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경영혁신 운동 중 하나로 SCM을 꼽을 수 있다. SCM을 위한 파트너십은 이질적인 기업간 공동활동으로 인하여 적지 않은 관리적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SCM을 구현하기 위한 SCM 파트너십 실행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SCM 파트너십 실행요인을 보다 세분화한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각 요인간의 인과관계와 구조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 SCM 파트너십 형성요인들은 SCM파트너십 강화요인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인 관계를 제시한 결과로서 SCM 파트너십 형성요인의 모든 변수들은 SCM 파트너십 강화 요인을 거쳐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들을 기업 환경에 맞게 적절이 활용하는 것이 SCM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여 기업의 SCM 성과와 기업 성과 모두를 올릴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비록 본 연구에서 획득한 변수들이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변수라 할지라도 실제로는 다양한 SCM 파트너십 형성 변수와 강화 변수들이 존재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연구의 표본이 중소기업이며 이들 기업의 업종이 서비스업보다 제조업종에 치중이 되어있으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기업규모와 산업 분류에 따른 SCM 도입의 효과를 살피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Most current firms pursue on-going business for efficient correspondence of changing business circumstance and control of the market through business innovation. There is SCM, one of the business innovations, which is widely used recently. Partnership for SCM demands on much managerial effort due to cooperation activity between different fi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finds out SCM partnership factors for successful SCM execution. In addition, with much detailed model of SCM partnership factor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CM factors i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article is that organizational capability in formation factor of SCM partnership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sharing information in enhancing factor of SCM partnership. Considering on structural relations, all variables in SCM formation factors affect firm’s performance through the SCM enhancing factors. With this evidence, it shows that both SCM performance and firm’s performance in firms are raised through SCM efficiency maximization, when SCM formation and enhancing factors are properly used. One of the limits in this study is that deliberation of the both SCM partnership formation factor and enhancing factor is required because the massive variables related to SCM is possible in actuality. As a result of which the sample of this study has been used with a large number of manufacturing firms and small-middle size of firms, SCM effect by size of firms and type of industry would be needed in further study.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직무성과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성욱(Yi, Sung-Wook),홍사선(Hong, Sa-Seon) 글로벌경영학회 2019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6 No.2

        진성리더는 사회적 요구의 증대를 반영하여 도덕성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이다. 기업 가치의 극대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자의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관계가 중요시 되므로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의 구조적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직무성과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 경영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특히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설문기간은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이며, 조사대상은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업종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나, 최소한의 인원을 보유한 기업에 근무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250부 중 19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성과는 진성리더십,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성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직무성과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직무만족, 직무 성과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uthentic leaders are leaders who make decisions based on the morality, reflecting the increase in social demand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maximizing firm value, managerial leadership and civic action of organization members should be harmonious. Therefore,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set up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main purpose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financ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practitioners who work at companies with at least a certain number of employees. There is no restriction in indus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inance performance. Secondly, psychological empowerment affect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finance performance. Thirdl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ffect finance performance. Fourthly,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finance performance. Fifthl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finance performance. In summary, we found that authentic leadership is related to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non - financial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말콤볼드리지 품질성과 지표의 BSC 적용가능성에 대한 실증연구

        이정연(Jung Yean Lee),이성욱(Sung Wook YI),홍사선(Sa Seon H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07 관리회계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MB상의 품질경영 요인들이 BSC와 같이 각 관점 간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품질경영 요인의 전략적 관리를 통하여 품질경쟁력 제고에 이바지 하는데 목적이 있다. MB상의 지표를 이용하여 설문자료를 수집 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타당도와 신뢰성이 확보된 측정지표를 BSC 4가지 관점의 체계와 같이 재분류 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개념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검증된 이들 항목에 대해서 경로분석을 통하여 구조적으로 BSC와 같은 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MB상의 측정지표인 리더십, 전략계획, 정보와 분석 및 인적자원관리 항목은 BSC의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고객 및 시장 중시는 고객 관점으로, 프로세스관리는 내부프로세스 관점으로, 사업성과는 재무관점으로 재분류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BSC 관점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와 같이 BSC 4가지 관점에서는 다른 연구들과 유사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학습 및 성장관점 항목 중 전략계획 및 인적자원관리는 내부프로세스 및 고객관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재무적 관점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내부프로세스관점은 고객관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재무적 관점에는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관점은 재무적 관점에 직접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MB상의 요인들이 BSC 연구에서와 같은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품질경영 지표간의 구조적 관계를 잘 이해하고,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향후 품질 경쟁력 제고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est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SC perspectives, using quality management index about Malco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Confirming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used factor analysis, data arranged to BSC perspectives by perform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path analysis is accomplished by the data to know having structural relation like the BSC.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resents Malco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index could consist of the four BSC perspectives that is the learning and growth, internal business process, customer, and financial. The result of the path analysis is following; the learning and growth directly has the most effect on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 Also, the internal business process directly or indirectly has an effect on the customer and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he customer significantly has an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ult supports a conclusion that MBNQA factors ha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like the BSC perspectives and the factors could be systematically improved by the activity of the fi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