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설화를 통해 본 기쁨의 윤리성 문제- 『청구야담』 소재 <勸痘神李生種德>, <憐樵童金生作月姥>를 중심으로 -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3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joy of literature narra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ory of creating a happy life can be a political story, so this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s still symbolic meanings. The most unhappy people come out of <Lee who made a dead child alive> and <Kim Woo-Hang who concluded matchmaking>. They are widows or poor men. The widow 's son is dead, and the poor man lives in shame. Their suffering comes from a fundamental question of life, such as “How should humans live?" and “What should human beings live for?” They are delighted as the pain is resolved, then thanks for everything and changed their attitude of life. The man(士) is an ethical subject and the main character of this story. He looked into the face of the painful person at first and listens to their story. It is the man’s actively approaches to their lives and emotions. The good behavior of the man changes the people around him. Also It saves painful people and changes society. In the world of narratives, Righteous anger condemns evil and restores social norms. These two stories, however, bring vitality to the community by saving people and giving them joy. Joy is a positive power. This power pulls the person away from personal desires and leads to enlightenment and emotion in the community. The awakening and the vigor comes from joy has the power to go beyond secular desires and order. 본고는 조선후기 문헌설화를 통해 당대 이야기 속 기쁨의 가치에 주목했다. 삶을 기쁘게 영위하는 것, 그렇게 살도록 만드는 이야기야말로 적극적인 정치적 의지를 담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살핌으로써 고전 해석의 현재적 의의도 되새기고자 했다. <죽은 아이를 살리게 한 이씨>와 <중매를 선 김우항>은 과부ㆍ몰락 양반 같은 인물들이 자식의 죽음ㆍ불명예스러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 크게 기뻐하면서 삶의 자세를 바꾸게 된 이야기이다. 인물들에게 지극히 고통스러웠던 문제는 ‘인간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이 삶의 근본적인 질문에 닿아 있었다. 그들은 고통이 해결되면서 느낀 충만하고 벅찬 감정을 통해 은혜를 베푼 이에게 귀의하거나 모든 일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하게 된다. 위의 이야기에서 선비들은 일상에서 고통 받는 이들의 기색을 먼저 살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청하는데, 이는 그들의 삶과 감정에 자신을 부딪쳐 관계를 맺으려는 의지적인 태도이다. 선비가 평소 보인 선한 관심과 행동은 주위에서 도덕적 선택 상황을 맞아 고민하던 주변 사람들의 양심도 확인하면서, 고통 받던 이들의 삶을 함께 변화시킨다. 선비 역시 훗날 자신의 행위가 여러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기쁨이 되었는지 확인하게 되고, 이 사연을 전해들은 공동체는 그 감동을 소중한 경험으로 기억하게 된다. 설화 세계에서 선비들이 간통남녀를 처단하거나 억울하게 죽은 이의 한을 풀어주며 성공한 이야기들은 분노와 징치를 통해 윤리적 쾌감을 공유하면서 잃어버린 공동체의 규범을 회복하지만, 본고에서 살핀 이야기들은 소통을 통해 고통 받는 인간을 살리며 기쁨과 감사로 공동체에 활기를 더한다. 기쁨으로 인한 긍정적인 힘은 개인적ㆍ상대적인 행복과 쾌감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깨달음과 감동을 이끌어 내는데, 기쁨에서 비롯된 각성과 활기에는 세속적인 욕망과 질서를 거뜬히 뛰어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정렴 설화를 통해 본 예언자적 지식인의 앎과 초극 의지 : 설화의 전승과 도덕적 문제의식의 확장에 관하여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6 No.-

        북창 정렴은 배우지 않아도 알고 천리안을 지녔으며 신선이 된 인물이라며 당대부터 주목을 받았다. 사대부층에서는 고통스러운 가족 관계 속에서도 신인의 풍모를 더해간 정렴에 꾸준히 관심을 가졌으며, 전승되는 이야기를 통해 정렴은 향유층의 기대와 애정 속에서 점차 예언자적 지식인으로 표상화 되었다. 정렴에 관해서는 초기부터 그의 생이지지, 천리안, 수련과 의약술, 예지, 음악과 관련된 일화들이 소개되었는데, 이후 일화에 서사성이 더해지고 그의 능력과 존재에 대한 경이로움이 부각되었다. 그런데 정렴의 앎을 경탄하는 시각에는 속세를 등질 수밖에 없었던 그의 우울한 삶을 담고 있어서, 설화 속 그의 특별한 앎이 공동체에 도덕적 메시지를 담은 예언이 되지 못한 채 개인적인 존재 확인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이후 향유층은 정렴의 생애와 가족사에 기존 설화에서 주요하게 등장하는 연명ㆍ복수 화소를 결합시켜 정렴을 앎의 문제로 고민하고 고통스러운 삶을 견디어 내면서도 타인을 위해 순수하게 베풀고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예언자적 지식인으로 구축해갔다. 정렴 설화에서 세상은 복선화음의 질서로 조화롭게 돌아가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타자의 고통에 귀 기울여 자신의 수명을 덜어주는 순수한 증여를 실현시키거나, 적대를 품고 나를 찾아온 존재에게도 인간의 도리를 하며 견디어 내면서 불가능한 환대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상은 우리 문화 속에서 고통스러운 삶을 감내하면서도 희생과 헌신으로 마침내 신이 된 존재들을 닮아 있기에, 정렴 표상은 이러한 신성을 통해 향유층에게 감동을 경험하게 하며, 공동체에 선물처럼 주어진 존재를 우리의 욕망으로 소중하게 여기지 못했다는 반성까지 이끌어낸다. Jeong-Ryeom (1506-1549) received attention during his time as a person who knew without learning, had clairvoyance, and became a god (神仙). Anecdotes related to his excellent knowledge were introduced from the beginning, and the wonder of his knowledge was highlighted as narrative was added to the story later. However, while admiring his knowledge, the legend contains his gloomy life, that had to leave the world, so his special knowledge in the tale has not become a prophecy containing a moral message to the community, but remains the confirmation of his personal existence. Since then, however, people have combined the life-sustaining and revenge motifs that appear mainly in existing tales with Jeong-Ryeom's life and family history; building him up as a prophetic intellectual who can do things purely for others and act morally while suffering from the problem of knowing and enduring a painful life. Significantly, in his tale the world does not return to an order in which good people are blessed. Nevertheless, he listens to the pain of others, reduces his life span for them, and attempts impossible hospitality while enduring those who come to him with hostility. These figures resemble those who endured a painful life in our culture, but eventually became goddesses through sacrifice and devotion. In this way, Jeong-Ryeom's representation touches us through this divinity and leads to reflection that we did not value the existence given to the community as a gift.

      • KCI등재

        말하기와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효과와 전망 : 이화여자대학교 <우리말과 글쓰기> 음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3 이화어문논집 Vol.31 No.-

        This study is about <Speaking and Writing> curriculum of Ewha Womans University, focused on the effect of speaking for writing in case of the music college class. The goal of the University Writing is having the ability to write logically and to communicate properly. But many music college students have trouble in writing essay in class, however they also have extraordinary ability to talk about their major topics and their feelings. Accordingly, I planed to make the best use of method of speaking in writing process. In the class, I presented the contention which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easily then exercised the basic premise of the argument in speaking. After that they could write a well-organized paragraph furthermore it had clear theme. In the statement method education, learning by repetition of the ‘speaking and writing’ could help to find efficient statement way and raised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teacher while they’re writing a essay, it helps them to examine their message immediately and less the emotional burden to write. Spea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though, if the speaking process go sour, writing course is negatively affected by it. Therefore to achieve a good results in writing class connected with speaking, teacher should set up the gaol systematically and encourage students to speak actively.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연계한 글쓰기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글쓰기가 교양필수 과목일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점차 그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음대생의 경우 다른 계열 학생들에 비해 글쓰기 수업에 부담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된 주제나 감정에 대한 표현력이 남다른 계열별 특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과정에서 말하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논증의 경우 음대생이 체감할 수 있는 주장들을 제시해주고 말하기로 찬반 전제를 연습한 후 문단을 작성했을 때, 이전보다 글의 주제가 명확해지고 구성 역시 충실해졌다. 진술을 연습할 때에도 전공별 쓰기와 발표를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를 반복하면서 효과적인 전달 방식을 찾으며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리포트 작성에서 면담은 상대의 평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자신의 메시지를 검토하게 되므로 글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심리적인 부담을 줄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처럼 말하기는 글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반대로 말하기 수업 목표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을 때 글쓰기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표와 토론 과정에서 확인할 수도 있었다. 그러므로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 과정은 교수자가 체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들을 독려하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말하기를 활성화한 수업방식이 현재 젊은 세대들에게 효과적이고 의사소통의 균형감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보다 정교한 수업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이여순(李女順) 소문의 힘과 가부장 사회의 대응

        홍나래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이여순(李女順)은 조정 대신 이귀(李貴)의 딸로 일찍이 과부가 되었다가, 1614년 오언관(吳彦寬)이라는 남성과 불교 수행을 위해 가출한 후 체포되어 조정에 파란을 일으켰다. 그녀는 관련자들이 치죄되는 과정에서도 모호하게 사면되어 자수궁에 머물렀고, 이후 인조반정을 도왔다고 재평가 받는 등 복잡하게 해석되는 인물이다. 본고는 이여순 스캔들이 발생한 데에 독특한 개인만이 존재한 것이 아니라 17세기 초 여성들의 삶과 욕망이 뒷받침되었다고 보고, 생불(生佛)과 숨은 반정공신 사이의 거리는 그를 바라보는 담론 주체의 시각 차이임을 강조하면서, 인조반정 이후 기록에서 당대 문제적 여성 욕망이 어떻게 질서화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이여순은 당시에 기존의 가치관과 여성관을 뛰어넘어 자유롭게 수행하는 보살로 소문이 나 있었으며, 여성들은 그녀를 만나려고 정성을 쏟거나 수행에 동참하기까지 했다. 간통으로 몰린 이여순이 살아남고 영향력을 행사한 데에는 생불 소문을 퍼뜨리며 잠재적으로 연대한 여성들이 있었기 때문이었으니, 그녀의 소문은 그만큼 저항적이었다. 이러한 여성들은 내명부 고위층에서부터 사대부 첩실이나 공노비에 이르기까지 계급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으며, 여성 집단 특유의 친교를 바탕으로 종교적인 믿음, 경제적인 관계로 공고하게 맺어 있었다. 다만 인조반정 이후 기록은 이여순이 자수궁에서 항상 친정과 시가를 염려했다고 강조하면서 당대 여성공동체의 한계를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는 문화변동기에 다양하게 자신을 발현시키고자 한 여성들의 움직임을 배제하고 여성을 다시 가족 내 존재로 포섭하려고 한 가부장 사회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본고는 17세기 초 이여순 스캔들을 통해 가부장 사회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여성들이 일과 신앙, 친목을 도모하던 공동체 속에서 여론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공동체적 자아를 발전시켰다고 재구하였다. 이러한 행동이 왕을 중심으로 한 권력적 암투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대안적인 윤리로 발전되지 못했다 해도, 임란 이후 여성들이 기존 가치를 회의하면서 주체성에 대해 자각하고 변화를 추구한 과정이었음에 의의를 두었다. Lee yeo-soon was the widow whose father Lee Gyi(李貴) was the famous aristocrat in 17th century. In 1614(the 6th year of king GangHae), she broke away from home for execution of Buddhism with her male-friend O Eon-kwan(吳彦寬). And this incident caused for them to be arrested on a charge of adultery. Because of this scandal, Mr. O Eon-kwan was beaten to death in the process of the inquisition and Lee Gyi lost his position of government official, but Lee yeo-soon was favored with amnesty without any good reason then stayed in the Jasoo Palace(慈壽宮). After this, she was not only welcomed from royal concubines and court ladies, but also she was recognized as the hidden contributor to depose king GangHae(光海君). For these kinds of reason, the character of Lee yeo-soon came to be complicated. In this thesis, I found that this scandal is not individual incident, but representative incident containing the desire of women in 17th century. and also I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of her characters(some people think of her as a living buddha, and some people think of her as a hidden contributor in political incident) make her a mysterious woman. Therefore I considered how the patriarchal society reordered the women's problematic desire after enthronement of a new king. The rumor of Lee yeo-soon was very resistant to patriarchy. At that time Lee yeo-soon was well known as the living Buddha who has surpassed the traditional values, and many women were eager to meet her, even some of them joined her practicing asceticism. I inferred the women who spread the rumor and believed in her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judgment of Lee yeo-soon scandal. The women's network was comprised of diverse class such as ladies of a court, nobleman's concubines, even slaves. They related intimately with religious belief and economic ties. But after the enthronement of a new king, the Joseon Society established patriarchal order to criticize the sisterhood and to record that Lee yeo-soon had been anxious for her father and her brother-in-law supporting them confidentially in the palace. This point of view intended to emphasize women's family identification excluding women's desire for identity on those days. Through Lee yeo-soon scandal, I reconstructed 17th century that the women could form public opinions in sisterhood and develope the communal self. These women's conduct had severe limits, for example they pursued power relying on the king and could not make ethical alternative. Nonetheless it was significant incident that the women in 17th century felt doubts about conventional value and attempted to change their life.

      • KCI등재

        설화 속 아내 이야기를 통해 본 폭력과 혐오의 문제, 그리고 그 너머에 대한 고찰 - <선비들의 아내 자랑>, <남편과 자고도 죽은 헛열녀>, <아내를 뺏으려고 도적이 된 친구>를 중심으로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본고는 <선비들의 아내 자랑>ㆍ<남편과 자고도 죽은 헛열녀>와 같이 이야기나 구연 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혐오 발언이 강렬하게 표출되는 작품을 대상으로, 설화 속에서 혐오의 감정과 설득의 논리가 작동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향유층의 문제의식과 고민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두 설화에서 여성을 판단하게 된 주요 근거는 폭력 앞에 노출된 아내를 관찰하면서이다. 성폭력에 대응한 아내의 태도 여하로 여성 혹 규범을 일반화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비논리적이고 무엇보다 비윤리적이지만, 오랫동안 문화적으로 맥락화되었던 혐오 발언과 감정이 표출되며 그 논리적ㆍ도덕적 허점을 채우고 있었다. 한편 두 이야기는 여성에 대한 폭력적 검증이나 혐오 발언을 거치면서도 향유층에 따라 일관된 의미와 감상으로만 전승되지는 않았다.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폭력과 고통당하는 타자와 마주한 주체는 혐오와 반성, 저항과 혐오를 넘나들며 윤리적 고민을 남기고 있다. <아내를 뺏으려고 도적이 된 친구>는 폭력보다 상호 존중하며 대화하는 관계가 상생과 기쁨임을 그려내어 문제의식을 발전시켰다고도 하겠지만, 전근대의 성ㆍ계급 인식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진정한 연대의 의미를 과제로 남겼다. 폭력과 혐오의 문제를 인지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게 연대하면서 혐오 그 너머를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이야기해야 한다. 이야기 세계에서 선함과 의로움이 종국에는 감동을 주며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지만, 시대에 따른 지향과 구체적인 실천은 세태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구성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studied the stories of <A man who boasts of his wife> and <A wife who committed suicide by husband's rape>. These stories were strongly showed hate speech against women. I looked at how the emotions and logic work for aversion to women in the stories.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ethical attitudes of the people who handed down and enjoyed the stories. In these stories, the husband newly judged the woman by observing his wife being raped. His wife’s attitude in this situation is basis for criticizing women and society. It is illogical and very unethical way of thinking. Nonetheless, the aversion to women express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is stories supplements the illogical and unethical loopholes of the narrative. In these stories, the narrators conspired to violence and hatred against women, but they also resisted. Disgust to women and vice versa appeare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of violence that destroys humanity and the problem of facing suffering others give an ethical challenges to the subject ‘I’. However, the story of <a man who became a thief to take away his friend's wife> sought to resolve ethical challenges through a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and dialogue rather than violence and disgust. However, this story could not overcome pre-modern gender and class perspective and have not achieved true solidar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violence and disgust and to find alternatives, we must actively imagine and communicate people in various ways. Because ethical judgments and practices in our lives are created by telling stories.

      • KCI등재

        조선후기 가부장 살해 소재 설화의 문화사회적 의미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Owing to the reinforced patriarchal gender politics in late Joseon Dynasty, many stories for the women of chaste reputation( In Korean, “Yoelnyo” 烈女) spreaded nationwid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many stories about women who killed her husband.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meaning of cultural sociology on the ‘killing-husband’ themed narratives in late Joseon Dynasty. This kind of stories had been transmitted as didactic and interesting themes. This kind of narrative tells that the adultery must result in marital homicide then give rise to a storm of one´s indignation. It looks just like moral issues, but it hides misogyny. Anger against crime leads to violence, and the judgment ending style gives impress to the people. therefore, many people like these stories. The narrative of the victory gives the ethical pleasure to mem who were on the fe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arrative will dominate the imagination of the community in cooper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incident, law, norms. When the narrative recognize women's sexual desire and murder as the anger of the sub-entities, or simply consider it as the personal conflict,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the patriarchal killing is awake. In 1924, the beauty syndrome who killed her husband, showed the crack of the symbol of the patriarchal killing narrative. Typical symbol of the patriarch killing narrativ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llapsed in early 20th century. However, it is still in progress to establish one’s subjecthood using morally differentiated to others and hatred of the subject. 가부장제가 강화되고 다양한 열녀 이야기가 미담으로 쏟아지던 조선후기, 한편에서는 남편을 살해하는 여인들의 이야기가 활발하게 등장하였다. 본고는 본부 살해 소재가 간통ㆍ살인ㆍ응징과 같이 격한 감정을 야기하며 인물설화에 결합되어 인기리에 전승된 당대 문화사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로부터 기혼 여성의 몸은 우리 문화에서 권력의 역학관계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본부살해 서사는 강력한 통치 질서 정립의 의지를 표상하였다. 조선사회는 이러한 성정치를 강화하여, 후기로 갈수록 여성의 품행에 대한 규제를 엄중히 하고 간통ㆍ본부살해를 가부장에 대한 불의(不義) 나아가 시역(弑逆)으로서 그 위상을 점점 강화하였다. 이는 신분제 붕괴와 새로운 시대정신이 요구되는 조선후기 사회에서 통제와 연대를 통한 강력한 가부장 질서를 확립하겠다는 문화정치였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성정치는 법과 제도의 정비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남녀ㆍ상하가 공감하는 문화적 기제를 통해 공고히 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가부장 살해 서사가 교훈적이고 흥미롭게 전승되며 그 역할을 담당했는데, 여기에서는 간통과 살인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 여성ㆍ계급에 대한 혐오와 감시를 도덕성으로 감추고, 범죄ㆍ악에 대한 분노를 활용해 잔혹하고 의례적인 징치 상황을 연출하면서 승리의 감동과 공동체적 연대 의식을 고취하였다. 이로써 이데올로기적 서사는 신분질서가 와해되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요구하며 변화하던 조선후기, 축소되어가는 가부장의 불안과 공포를 위로하고 윤리적 쾌감을 자극하면서 다양하게 활성화되었으며, 실제와 허구를 넘나들며 사실ㆍ법ㆍ규범과 공조하여 더욱 진실다운 이야기로서 문화공동체의 상상을 지배하게 되었다. 한편 문화 속에서 축적된 가부장 살해 서사는 1924년 본부살해사건을 재판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김정필 신드롬’의 문화심리적인 배경이기도 했다. 식민시기 일제의 법정에서 구여성이 자행한 본부살해 사건이 가부장 살해라는 상징적 범죄로 재현되지 못하면서 이데올로기적 서사에 반성적 사고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조선후기의 가부장 살해 서사는 근대의 변화를 거쳐 그 전형성이 와해되었다고 하지만, 혐오의 대상을 타자화하고 도덕적으로 차별화함으로써 정체성을 형성하는 불안한 주체의 서사는 오늘날 우리 문화에서 아직도 은밀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 KCI등재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e oral tradition tales pattern, “Forgiving the bride who gave birth to on the first night of marriage” is dealing with an astounding episode which cannot be acceptable to the society of those days. But the focus of this tale is on the attitude of the bridegroom to this kind of generally unacceptable event, neither on the criticism of the prevailing state of those times nor on sexual ethics of the bride. In this thesis, characters’ behaviors and their meanings of social ethics in this astounding episode occurred in the bridal room were explored. And also the viewpoints of tale description and critical minds according to each pattern were compared. In this tales pattern, bridegroom forgave and helped the bride who gave birth to on the first night of marriage. This kind of bridegroom’s behavior is from his mind to fully understand the bride’s situation and cover up for the bride, not from his mind to tolerate this unusual situation. This kind of bridegroom’s behavior is from the inner power of the bridegrooms, which is characterized by loving someone freely independently of any kinds of norms. The folkloric writers wanted these kinds of virtues to be realized in the real world and they visualized this real meaning of love through the marriage of unusual partners. This oral tradition tales pattern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basic, passing state exam and making fortune (including geomanc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atterns and different editions, all the oral tradition tales describing “Forgiving the bride who gave birth to on the first night of marriage” maintains the same story structure. It is because many folkloric writers shared the common sympathy on the messages from this story and they just tuned the tale contents based on their ethical standards.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는 혼전임신이라는 당대 파격적인 사건을 다루지만, 세태를 비판하거나 여성의 성문제를 부각시키기보다 남편의 포용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 설화이다. 본고에서는 이야기의 핵심인 신방 사건을 중심으로 인물의 행위와 이에 대한 사회 윤리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각 유형과 전승방식에 따른 서술시각과 문제의식을 비교해보았다.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를 수발한 남편의 행위는 황당함을 견디고 수습한 수준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고통을 헤아리고 감싸준 관용이었다. 그가 다른 이들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고 관용을 베풀 수 있었던 것은 스스로의 내면에 자유롭게 사랑을 실천할 힘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신랑과 그 집안이 사회적으로 성공했다는 결말은 그와 같은 德이 단지 가정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감동적으로 실현되기를 소망한 설화향유층의 기대가 반영된 것이고, 굳이 덕의 실현을 부부되기로 형상화한 것은 나와 대상의 거리를 두지 않는 데에서 진정한 사랑과 관용이 실천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는 신방사건을 공고하게 유지하면서 이후 결합된 삽화에 따라 기본형, 과거급제형, 풍수발복형으로 나뉘는데, 각 유형은 인물들이 과거를 회상하는 의도와 덕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방식에서 시각 차이를 드러낸다. 또한 문헌설화의 경우 윤리적 명분을 내세우고 선비의 실천적 자세에 초점을 맞추어 사건과의 거리를 유지하는 데 반해, 구비설화의 경우 혼외소생자에 대한 실질적 관심이 임신의 신성화나 아들의 보은담으로 확장되면서 이들의 삶을 통해 신방사건의 윤리적 의의를 재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유형과 이본들의 양상은 다양한 전승자들이 파격적인 사건의 메시지에 공감하면서도 이를 자신들의 윤리 체계로 조율하고자 했음을 알려준다.

      • KCI등재

        조선후기 남녀 간 응보적 관계 맺기 설화를 통해 본 윤리적 주체 형성의 문제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1

        Hong Soon-won’s (洪純彦) story was introduced in various book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an encyclopaedia, history books, diplomatic documents, and geography. Many people recognized the story as history.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causes and backgrounds of Hong Soon-won’s story and noted that society at the time intensely portrayed Hong Soon-won as an ethical subject. Hong Soon-won’s story portrays the grace and appreciation between man and woman as a background to the diplomatic scene. From this, mutual recognition and intimate solidarity were drawn between the interpreters of Joseon and the bureaucrats of the Ming Dynasty. When the dignity of the Ming Dynasty was a fascinat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ory was actively handed down and remained a record. Since then, the story has become more prevalent among people, interpreting Hong’s actions as self-sacrificial ethics and recalling the story of his diplomatic course and residence. The late Joseon society was urgently required to build a mutually friendly and respectful relationship by helping the poor and repaying the graces to those who helped them. The story of Hong Soon-won was the most realistic and ethical approach society fou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By preserving the story of Hong Sun-won as history, people attempted to embody moral and ethical characters. The woman who was saved in the story repays a great favor and saves the hero and the kingdom. The fate of the protagonist and the country is influenced by the woman. In other stories, male heroes and the country suffered from the curses and grudges of women. A male subject is formed by a female character symbolizing a minority. The story warns that we should always be interested in others and never stop trying to understand others. The question of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story of Hong Soon-won continues today, a question to be asked when we recall Hong Soon-won. 홍순언 이야기는 여러 야담집에 소개되었고, 다수의 개인 문집뿐만 아니라 백과전서나 사서, 외교문서, 지리지까지 실리며 역사로도 인식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홍순언 이야기가 성행하게 된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면서, 당대 사회가 홍순언을 윤리적 주체로서 강렬하게 표상화한 데에 주목하였다. 홍순언 이야기는 외교 무대를 배경으로, 선비와 여인의 은혜와 감사, 이로부터 조선의 역관과 명나라의 관료 간 인격적인 상호 인정과 친밀한 연대를 그려내고 있는데, 대명의리가 풍미하던 시대에 식자층으로부터 이야기가 활발히 전승되어 기록으로 남게 되었으며, 그의 의기를 자기희생적 윤리로 확장하고 그의 행적과 거주지를 중심으로 지역전설로도 기억하면서 여러 사람들에게 더욱 널리 퍼지게 되었다. 조선후기 사회는 불쌍한 이를 돕고 도움 준 이에게 은혜를 갚으며 상호 우호적이고 존중하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절실히 요청되었으며, 홍순언 이야기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서 당대 사회가 찾은 가장 현실적이고 의지적이며 윤리적인 길이었다. 당대 사람들은 이야기 속 홍순언을 역사화 하면서까지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주체를 실체화하고자 했다. 이야기는 구원받은 타자의 놀랄만한 보은으로 성공한 주체와 재건된 국가를 그린 만큼 주체가 타자에 의해 구성되고 의지하고 있음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야기 세계의 다른 한쪽에서는 이들의 저주와 원한에 가부장 주체와 국가가 얼마나 취약한가를 보이면서 타자에 대한 이해를 멈추는 순간 주체의 허위의식이 위기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기도 한다. 홍순언 이야기가 제기하는 타자와의 관계맺음에 대한 질문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가 홍순언을 소환할 때 동반해야 할 질문이기도 하다.

      • KCI등재

        사방지 스캔들로 본 욕망과 성, 그에 대한 질서화 방식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SaBangJi who was the salve committed adultery with a widow who wasnoble woman called Madam Lee. In Joseon Dynasty, adultery between a novelwoman and a slave suffered the capital punishment, but in case of SaBangJi,the Royal Court discussed ways to decide his sex and to interpret the meaningof his sexual behaviour, because he had dressed up as a woman. In this thesisI studied the sexual politics of SaBangJi scandal. He was avoided punishmentby the King Sejo’s favor, that probably caused by adulterer Madam Lee’s lobby. Through the process of re-establish the value of morality after this scandal,I also investigated how the women’s desire had been excluded. in Joseon, cross-dresser and adultery were serious crime on no condition. But the King Sejo made the SaBangJi’s body as the other, then judged as atrue hermaphrodite, finally defined he is not human-being. It is to maintainthe patriarchal order by removing the man whose behavior dose not seemlike a ‘real man’. SaBangJi was determined not human being, so the women’sbehavior towards him must be interpreted as a fetish about sexual thing. In through SaBangJi scandal. It should arouse male overlord’s attention tostrengthen sexual norm for the patriarchal rule in Joseon Dynasty. 세조대 사방지는 이순지 딸과 간통사건을 일으켰지만, 여자 옷을 입고 생활하던 정황과그에 대한 양성인 논란이 가중되면서 간통죄로 치죄되지 않고 그야말로 스캔들로 다루어진독특한 사건이다. 본고는 사방지 스캔들이 성의 권력적인 속성을 여실히 보여주면서 세조대 힘에 의한 국정 운영 방식을 흥미롭게 증명해준다는 데에 주목하여, 간통녀인 이순지 딸의 위상과 행위를 중심으로 이 사건을 재구하면서 초법적 권력이 작동되는 과정과 여성의욕망이 배제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순지의 딸이자 정인지의 사돈이었던 이씨는 친인척 관계를 동원하여 간통 사건을 초법적으로 해결하고 사방지를 되찾고자 했는데, 여장과 간통이라는 사방지의 범죄가 형법을비껴갈 수 있었던 것은 여장문제에서 사방지를 철저히 타자화하고, 그의 신체를 양성인으로 더하여 비인류로 규정함으로써 가능했다. 이렇게 하여 ‘정상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남성들을 진정한 남성에서 배제하며 가부장 사회의 남성성과 성의 질서를 지킬 수 있게 되었고,그를 둘러싼 여인들의 행위는 성적으로 보이는 물건에 집착한 집단적인 페티시 현상으로 치부되기에 이르렀다. 15세기 사방지 스캔들에서 보인 여성들의 적극적인 욕망표출 양상은남성 중심 지배질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를 질서화하는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과감하게 욕망하던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들은 사라지게 되었다.

      • KCI등재

        소수자의 삶에 공명하여 위로와 기도가 된 이야기‧이야기하기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9

        본고는 개별자들이 세상을 살면서 공동체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고통 받았을 때,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위로와 희망으로 담론화되는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효빈잡기』가 전하는 신경희 사건은 권력자의 패악에 의해 살해된 인물들을 이야기함으로써 공분을 일으켰고 패악한 이의 최후를 밝혀 경계하도록 했다. 신경희에게 낯섦은 폭력의 빌미가 되었고, 이로 인해 선량한 삼형제가 모두 살해되는 비극을 맞았다. 비도덕적인 권력자의 만행은 원통한 피해자들뿐만 아니라 이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공동체 구성원들을 수치스럽고 고통스럽게 한다. 그러므로 폭압적 행위를 정당화하지 않고 건강한 사회를 회복하기 위해서 누군가는 소외된 이들의 얼굴을 들여다보고 목소리를 기억하며 이야기를 나누어야 했다. 폭력적으로 배제된 이들의 면면을 살피고 이야기하는 것이야말로 권력자들을 반성하게 하고 고통받는 이들에게 위로와 힘이 되기 때문이다. 『계서야담』의 <아전을 구한 강릉김씨>(구비설화 <돈 천냥의 구원>)는 자기희생적이고 조건 없이 선행을 베푼 사람에 의해 사회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보여준 이야기이다. 조선후기 계층과 세대를 아우르며 감동을 전달한 이 이야기에는, 우리의 삶이 서로 마음을 나누는 사회 속에서 함께 살아갈 때에 의미가 있으며, 주체로서의 나는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만큼 먼 타인들과도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책임도 있다는 양심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 은혜 받은 이들이 삶을 강렬하게 전환하여 보은의 미덕을 실천하면서 이야기 속 모든 이들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삶을 살게 되는데, 이는 당대 이야기 공동체의 바람이기도 했다. 이처럼 이야기는 소외당한 사람들의 면면을 기억하고 전달하면서 세상이 바로 되길 기원하고,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공동체가 추구할 가치와 윤리를 부각하였다. 이야기를 나누며 공감하거나 감동하는 경험이야말로 사회가 공통의 마음을 확인하는 순간이므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이야기하기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문화 정치적 행위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stories that focus on a minority's liv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narrativ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 chose two narratives that convey a minority’s situation. One is a story of an innocent victim who was killed by the violence of a powerful person, and the other discusses the painful situation of the family whose son received the death sentence after incurring a huge debt. The stories show the situations of alienated person or introduce people to help them. I discuss how these stories were transmitted to comfort society and give it hope. Officer Shin Kyung-Hee(申景禧) found the man wearing the ladies' clothes while preparing for the war on 1593. Poor family’s youngest son, who was drafted into the army with his two brothers, had no winter clothes. Therefore, his mother, who loved the youngest son very much took off her clothes and gave them to him. The youngest son wore mother’s clothes according to her will, even though the law strictly prohibited a man from dressing up as a woman. The aforementioned officer hated this man in the woman’s clothing very much and tried to kill him. As his two brothers begged for mercy, the officer killed them all. The tragic affair caused pain not only victims, but also for society. In order to condemn immoral violence, someone had to look at the faces of the alienated people and remember their voices, then tell their stories. Watching and talking about those who were violently excluded from society comforted the victims. Also, it frighten the ruler of the time. The story “Salvation by Giving All the Money” shows how society is transformed by those who show self-sacrifice and unconditional goodness. This story impressed all classes and genera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focuses on following subject : It is meaningful when we live together in a society where our lives are shared with one another. I exists in a relationship with all people in society. Therefore, no one is not irrelevant to me, and I am responsible to everyone in society. This story conveys the enthusiastic hopes of society at the time. The story reminds us the faces of alienated people and conveys a wish the world to be right. Thus, storytelling is the political act that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must actively perform, because the experience of sharing and talking the emotion helps society establish a commo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