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1

        도시에서의 가로는 도시의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요소이며, 가로경관은 도시 생활인에게 일생을 통한 경험의 장이 되고 다양한 시민의 요구를 서비스하는 공공의 공간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환경과 도시가로경관 역시 예외는 아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도시가로의 물리적 구조와 성장패턴, 그리고 그 동안 도시가로가 수행해 왔던 기능과 역할을 새롭게 변모시키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은 도시가로경관을 공간적으로 담아내고 있으며, 동시에 그 문화의 생성과 지속을 위해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도시공간의 구체적 맥락 속에서 독특하게 형성되고 있다. 지금의 도시는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른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니라 가로의 독특한 다양성과 가치관 형성을 위해 공존하면서 서로를 부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가로 경관의 개선을 위해 단지 개별건물이나 시설물 등의 요소를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환경 전반에 그들의 삶의 시공간적 의미와 지향성을 담아내고 표현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인의 접근 방향을 문화, 소통, 기술 인식적 접근과 건축물, 시설물, 도로 등의 실존적 접근 등의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도시가로경관에서의 미디어적 표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Urban streets are the elements that show the images of the city best, and urban street landscape becomes the place of experience to urban people throughout their life and is a public place which gives a service to diverse requirements of urban peopl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influenced almost all fields of our society, and our urban environment and urban streets landscape that we live are not an excepti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physical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of urban streets landscape, and functions and roles that urban streets have performed all the while. The present city is judged to stand out, coexisting together for unique diversity and for the formation of view points, instead of unconditional acceptance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technology. Thus, this study tries to apply digital medea as the method to focus on expressing temporal and spatial meaning and directivity of urban people life in the whole streets, instead of targeting individual buildings or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street landscape, and suggest the guidelines for applying the direction to actual urban street landscape, by drawing the approach of urban street landscape design applying digital media from culture, communication, and technology-cognitive approach and phenomenological approach, such as buildings, facilities, and roads.

      • KCI등재

        다년도 범죄통계를 통한 공동주택의 공간구문론 분석 연구

        홍관선 ( Kwan Seo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범죄를 환경의 산물로 판단하는 환경범죄학이론을 연구적 배경으로 하여, 범죄발생 통계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도시 구조적인 물리적 환경이 범죄발생의 어떤 부분에서 연관성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다년도 범죄통계 자료의 분석과 축선도 분석에 의해 정량적인 기초적 지표가 되는 분석방법인 Space Syntax 이론을 활용하고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범죄발생빈도 다발 지역을 경찰청 자료에 의거해 선정한 후, 연구대상 지역의 53개 공동주택단지(연구대상지역 44개소, 인접생활영향권 9개소)로 한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범죄발생통계와 Space Syntax 변수 간에는 상관관계가 적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낸 것을 설명하자면, 고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야간강·절도 발생건수와 통합도, 명료도 간에만 부적인 상관관계를 아주 높게 혹은 높게 나타내고 있었으며, 중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세대수, 강·절도, 성범죄 발생건수와 국부통합도의 양적인 상관관계만이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저위험군 아파트의 경우, 세대수, 주간강·절도 발생건수와 국부통합도 간에 양적인 상관관계를, 명료도와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다소 높게 나타내고 있었으며, 강·절도 총 발생건수와 명료도 간에도 부적인 상관관계를 다소 높게 나타내고 있었다. 환경범죄학이론을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한 관계로 다양한 사회적인 변수를 고려하지는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사회적 변수만이 아닌 간접적인 사회적 변수까지 고려하여 복합분석을 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centrate on identifying how physical environment of city structure is correlated to crime incidence based on study background of environment criminological theory through comparison with and analysis of crime incidence statistics. To deduce results, this study utilized Space Syntax theory, the analysis method which can serve quantitative basic index by axial map analysis and multiyear crime statistics data analysis, and carried out analysis. The study area of 53 Apartmen Houses (44 points study area, 09 sites adjacent living influence)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incidence of crime and police data-prone areas, subjects. In most cases, correlation between crime incidence statistics and Space Syntax variable was found to be small. With regard t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m, apartment in high risk groups showed very high or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ighttime robbery and theft of integration value and intelligibility value, while apartment in middle risk groups showe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households, robbery and theft, and local integration value. Apartment in low risk grou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daytime robbery and theft and local integration value,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ibility value,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bbery and theft, total number of intelligibility value. Apartments in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except those in middle risk group,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expert on-site evaluation analysis and crime incidence statistics. Since this study failed to consider various social variables since it is based on criminological theory. Future studies will perform complex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indirect social variables rather than direct social variables, expand effects of various physical variables to the vulnerable area of crime prevention, not only apartment house analyzed in this study, and carry out studies with more social values.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의 도로구조형식과 다년도 범죄발생통계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홍관선(Hong, Kwanse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본 연구는 다년도 범죄통계자료를 기본으로 하는 연구자의 지속연구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다년도 범죄발생통계, 공간구문론의 상관성, 거리의 활동성을 주제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도로구조형식에 따른 다년도 범죄발생통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국내 공동주택의 단지배치 구조에 따라 관통도로형구조와 막다른도로형구조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여기서 추출되어지는 결과를 이용하여 영역성과 거리의 활동성에 대한 중요도를 추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대상은 범죄발생빈도 다발 지역을 경찰청 자료에 의거해 선정한 후, 연구대상 지역의 53개 공동주택단지(연구대상지역 44개소, 인접생활영향권 9개소)로 한다. 연구 결과 관통도로형구조에 의해 거리의 활동성이 강조되어지는 공동주택이 영역성이 강조되어지는 막다른도로형구조의 공동주택에 비해 강·절도 범죄발생이 적게 발생하였으며 성범죄 발생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의 부가원리인 활동성 강화가 강 절도와의 관계성을, 기본원리인 영역성은 성범죄와의 관계성을 밀접하게 갖는 것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 series of study on multiyear crime data. The earlier work examined multiyear crime statistics, correlation of spatial syntax and activity of street as the theme.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multi-year crime statistics and road structure form of apartment house. The importance of activity of distance and territoriality can be inferred using the results extracted from separation of road structure into through road structure and dead-end road structure depending on the layout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in Korea. With regard to subject of study, the areas of frequent crim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data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n 53 apartment house complexes in the area of study (44 places in areas of study and 9 places in neighborhood areas) were finally selected. As a result of study, robber and theft crime occurrence was lower in the apartment house where activity of street is emphasized with through road structure than in the apartment house where territoriality is emphasized with dead-end road structure, while the occurrence of sexual crime showed opposite results. Such result shows that additional principle of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reinforcement of a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robber and theft, and the basic principle, territoriality is closely related to sexual crime.

      • KCI등재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 공간특성요소에 관한 연구 - 2010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network environment has a great impact on physical stores, and physical bookstores are gradually upgrading and transforming with the pace of the times. This study takes the modern bookstore under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as the research object. The purpose of it is to understand the needs of consumers for the space of the modern bookstores,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m, which provides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follow-up development of the modern booksto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and the theory of lifestyle shops and reorganizing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extract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odern bookstore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the third space. Moreover, the research analyzes five bookstores opened in large-scale commercial facilities after 2010 as research ca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shows that the modern bookstore is a multi-functional and compounded space which is gradually transformed from a single bookseller to a seller of selling lifestyle proposal. And through the analysis of big data to predict the changes in market consumption, we can find out the different needs of consumers, so as to carry out the targeted design of bookstore space and then improve the value of it. In the context of the co-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the transformation of modern bookstores actually conforms to the change of consumer demand and realizes a virtuous circle. 경제와 인터넷 환경의 발전은 오프라인 서점에 큰 영향을 미쳤고, 오프라인 서점 역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변모하며 업그레이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3의 공간 개념을 토대로 하는 현대서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대서점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파악하고, 현대서점의 특징과 발전방향을 탐구하여 향후 현대서점의 발전에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자는 제3의 공간 개념과 라이프스타일 숍 이론을 기반으로 그 이론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의 귀납적 정리를 통해 제3의 공간 개념으로서의 현대서점에 부합하는 특성요소를 도출하고, 2010년 이후 대형 상업시설 내에 개설된 5개 서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현대서점은 점차 도서판매라는 단일한 형태에서 벗어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형태로 전환하며 다기능 복합공간으로 변신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장의 소비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수요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서점공간에 맞춤형 디자인을 진행하여 현대서점공간의 가치를 업그레이드 하였다. 이로써 현대서점은 경제와 문화의 발전을 탐색하는 동시에 소비자 수요의 변화에 발맞추어 선순환을 실현하였다.

      • KCI등재

        리질리언트 이론을 활용한 경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The High Line’ 를 중심으로 -

        천원리,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As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has cause some environmental problems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natural earthquakes and floods have brought about impact, designe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independent prevention ability of urban ecosystems in fa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natural disasters, as well as its ability to adapt to the future. This study introduces ‘elasticity theory’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lasticity design in landscape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lasticity in space, which can provide more scientific reference meaning to creat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values for space. After selecting ‘The High Line’ as the obje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evious theories and practical cases, and infers ecology, sustainability, diversity, and adaptability. And then this paper applies five components and analyzes the specific application of these five components of the landscape spatial elasticity strategy, and summarizes th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asticity design in ‘The High Line’ landscape planning. It can be known from the research that elasticity strategy which is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i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landscape space. Elasticity design itself can strengthen environment quality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environment to defense external shocks so as to adapt to environment changes. Therefore, the elasticity design can strength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establish a periodic recycle system. 도시화 발전이 초래한 환경 문제와 자연의 지진 및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의 영향으로 인해 디자이너들은 환경오염과 자연 재해 앞에서 도시 생태 시스템의 예방능력과 미래 적응 능력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본연구는 ‘리질리언트 이론’을 도입하여 경관 환경에서 리질리언트 디자인의 구체적인 실제 응용 및 공간의 리질리언트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연구하여, 공간이 경제, 문화, 사회 등 가치를 지니게 하여 보다 과학적인 참고 의미를 제공하고자한다. ‘The High Line’을 대상으로 선정한 선행 이론과 실천 사례 고찰에서 생태성, 지속 가능성, 다양성, 적응성, 재활용성 등 다섯 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또 사례의 경관 공간 리질리언트 전략의 이들 5개의 구성 요소의 구체적 응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리질리언트 디자인이 ‘The High Line’ 경관 계획에서의 응용 특징 및 영향 요인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리질리언트 전략은 디자인 과정 및 경관 공간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나타내고,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그 자체만으로 환경의 품질을 강화하며 환경이 외부 충격을 방어하는 수요를 만족시켜 환경의 변화에 적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리질리언트 디자인은 도시의 지속적 발전을 강화하고 주기적 순환계통을 구축할 수 있다.

      • KCI등재

        CPTED 이론 모델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한 발전 분석을 중심으로 -

        류허,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The issue concerning how to integrate with the need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ccording to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theory still continu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hird-generation theory at the present stage. In addition, the issue is under worldwide controversy and discussion. What is more noteworthy is that the viewpoints under debate and discussion have an influence on the mutual effe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etical model and the principles in the theoretical model, and the influence can never be underestimated. After a mastery of the overall context of theoretical development, it is believed in this study that the identity of CPTED theory development can provide a diverse understanding dimension and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users. On the basis of identity the development of CPTED theory, the crime prevention design mode of CPTED needs to connect different dimensions of sustainability, with the design goal of livability as the starting point, the Top-down model to adjust the safety of the environment. By no means ca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be improved by solely relying on the previous physical design method in virtue of Bottom-up mod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dentity of CPTED will be set as the core combined with Top-down crime prevention design model to propose a visual proposal for the reconstitution of the theoretical model, rather than supplementing th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r principles at a certain stage. Hence, it is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 and enlighten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PTED theory.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이론(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은 어떻게 지속 가능한 발전의 수요에 따라 융합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있어서 아직 현단계 제3세대 이론의 발전 과정을 지속하고 있다. 게다가 국제적으로도 논쟁과 토론을 많이 일으키고 있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그 논쟁과 토론하는 관점이 이론 모델 및 이론 모델 속의 원칙 간의 상호 작용 관계에 무시 못 할 영향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 발전의 전체적 맥락을 파악한 후 CPTED이론 발전의 정체성이 환경과 환경 사용자 상호 간에 다양한 이해의 차원과 교류의 방식을 제공한다. CPTED 이론 발전의 정체성을 기초로 해서 CPTED 범죄 예방 디자인 패턴은 지속 가능성의 다양한 차원을 연결시켜야 하며, 거주적합성을 디자인 목표의 출발점으로 삼고 Top-down 패턴에 의거하여 환경의 안전성에 대해 조정해야 한다는 관점을 명확히 했다. 그러나 단지 기존 물리적 설계 방법으로 상향식(Bottom-up)의 패턴을 사용해 환경을 개선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정체성을 핵심으로 하향식의 범죄 예방 디자인 패턴을 결합해, 이를 이론 모델의 재구성으로 시각화 제안을 제기했다. 이는 어떤 단계의 성과나 원칙의 응용에 보충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CPTED의 이론적 모델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참고와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관점의 계획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양멍,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7

        Flooding is an unavoidable natural disaster for the city. Flood disasters seriously undermine the city's economy, safety, and sustained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waterfront space in the same city, the construction of basic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cannot be avoided completely even if huge amounts of capital are invested to reduce the economic damage of flooding. The cost of rebuilding the city after the disaster is much higher than the cost of building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 recent years, the theory of elasticity in urban reconstruction and so on has been a subject of city problem solving, creating widespread discussion and attention in academia. In other words, how to transform the concept of elasticity into practice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factors is a real problem facing urban disaster.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on the waterfront (space) buffer zone of a city (flood-weak area) and the case study of the city's practice,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element of 5R, the theory of elastomeric fire prevention, and present detailed measures accordingly. In addition, the following two problems are addressed while emphasizing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 urban waterfront (space) plan of the elastomeric element around the urban water buffer zone. First, the means of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are used to mitigat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utility of urban waterfront and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in waterfront buffer zones, and second, the waterfront buffer zone can respond to flood-causing problems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elastic disaster prevention plan. 홍수는 도시가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이다. 홍수 재해는 도시의 경제와 안전, 그리고 지속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수변 공간에 대한 개발과 건설 과정에서 기본적인 방재시설의 건축을 통해 홍수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으며. 재해 발생 후 도시의 재건 비용은 방재(防災)시설의 건설비용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최근 몇 년간 도시재건 등에 있어 탄성(resilient)이론은 학계의 광범위한 토론과 주목을 불러일으키며 도시의 문제해결에 관한 주제가 되어왔다. 즉, 탄성의 방재 개념을 이론과 경험적 요소를 토대로 어떻게 실천으로 전환시켜야 하는지가 도시방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이다. 본 논문은 도시의 수변(공간) 완충지역(홍수 취약지역)여 관한 이론 문헌과 도시의 실천 사례연구를 통해 탄성 방재이론인 5R 요소를 명확화하고, 이에 따른 상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중심으로 탄성 방재이론 요소의 도시수변(공간)계획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방재계획수단을 이용해 도시수변토지의 개별 효용과 수변완충지역의 방재기능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것과 둘째, 수변완충지역이 탄성 방재계획을 통해 방재 측면에서 홍수가 수반하는 문제에 최대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더블 다이아몬드를 적용한 3세대 CPTED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류허,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기존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이론은 실천 과정에서 미흡함이 있었고, 이 때문에 통상적인 범죄예방 디자인 프로세스에는 한계점이 존재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학의 관점에서 제3세대 CPTED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Model) 디자인 프로세스 이 두 가지의 접목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가 접목된 가시적인 제3세대 CPTED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각 학자별로 제3세대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대해 연구한 관련 논문을 각자의 주장, 목표, 전략 방법, 거주적합성 원칙(Liveability)에 따라 명확히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 디자인 위원회의 혁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결합하여, 제3세대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의 접목에 명확한 기준과 기초를 마련했다. 또한, 단계적인 아웃풋과 활동 방식으로 양자 간의 접목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설명했다. 연구의 의의는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와 가시적인 제3세대 CPTED 디자인 프로세스의 접목을 통해 거주민들의 자아 가치 실현 행동을 유도하고 이로 인한 참여(Engagement)를 돕는 것이다. 또한, CPTED 프로젝트에 참여한 디자인 관련 종사자 및 기타 분야 종사자의 협업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The shortcomings of the previous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theory in practice have led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crime prevention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aftability of the third generation CPTED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from a design perspective. Thus, the third generation CPTED visualization design process is proposed to be grafted with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In the study, the propositions, goals, strategic approaches, and liveability principles of the third-generation theoretical framework are clarified according to the relevant studies by scholars.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crime prevention design processes in terms of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based on corrections from research in different scientific fields. On this basis, the Framework of Innovation of the British Design Council was used to clarify the benchmarks and foundations for the grafting of the third-generation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details of the grafting are analyzed and explained in terms of phase outputs and phase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the third-generation CPTED visualization design process, which is grafted to the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can help residents to implement behaviors that reflect their self-worth and create a state of engagement. As well, it can inform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 and non-design staff in CPTED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