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 차이에 따른 갈색과 분홍의 색채 범주화

        허재희(Heo, Jae Hee),박영경(Park, Yung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갈색과 분홍은 2차색으로써 1차색에 비해 떠오르는 색이 명확하지 않으며, 어떤 색들이 혼합되는가에 대한 연상하기 어렵다. 언어적 측면에 있어 갈색과 분홍은 색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수식어가 필요하고, 산업체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명은 한국어인 갈색과 분홍에 비해 영어인 Brown(브라운)과 Pink(핑크)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차이에 따라 갈색과 Brown(브라운), 분홍과 Pink(핑크)가 어떻게 다르게 범주화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색채계획의 효율성과 인식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로서 실험1에서는 한국색채표준의 2.5YR 4/8(갈색), 2.5YR 6/4(탁한 주황), 10RP 4/2(회자주), 7.5R 7/8(분홍), 5RP 5/14(밝은자주), 5RP 8/6(연한 자줏빛 분홍)의 6가지 색 샘플을 사용하였고, 실험2에서는 한국색채표준 갈색과 분홍의 계통색명을 가지고 있는 색들과 그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갈색과 분홍으로 인식되는 색들을 포함한 464개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실험 환경에 있어서 오프라인 실험의 경우, 샘플의 미세한 인쇄오차가 우려되어 동일한 생활조도 및 디스플레이환경에서 한국색채표준 디지털색채팔레트를 활용해 온라인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실험1은 선택지 없이 색 샘플을 보고 명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실험2는 명목척도를 활용하여 7가지의 항목에 대하여 색들이 범주화되는 것을 보았다. 실험 및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홍에 비해 갈색을 명명함에 있어 더 많은 수식어를 사용하면서, 갈색에 대한 인식이 더 불명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갈색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2.5R–2.5Y, Brown(브라운)은 5RP-2.5Y였고, 갈색이 Brown(브라운)과 비교하여 R계열에 분포하며 채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여성과 다르게 남성이 갈색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7.5R-2.5Y이고, Brown(브라운)은 10RP-10YR로 여성과 차이가 있었으며, 채도에서는 여성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지만 명도에 있어서 여성에 비해 더 넓은 범주를 가지고 있었다. 여성이 분홍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10P-7.5YR, Pink(핑크)는 5RP-10RP로 분홍의 색상범위가 Pink(핑크)의 범위보다 더 넓었고, 채도는 Pink(핑크)가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남성이 분홍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2.5RP-10R, Pink(핑크)는 5RP-10RP로 여성과 차이가 있었고, 색조에 있어서는 동일했다. 범주화가 불명확한 색의 비율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았으며, 여성이 색을 인지하는데 상대적으로 범주화가 명확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갈색과 분홍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산업체에서 언어차이에 따른 사람들의 인식을 고려한 색명을 대상에 적용하여, 대상과 색에 대한 명확성을 높이고 색채계획의 효율성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Brown and Pink are secondary colors and it is hard to imagine what colors are made by mixing. In terms of language, Brown and Pink need a lot of modifiers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the color names mo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are Brown and Pink.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ception of the color plan by understanding how the Galsek(Brown of Korean Language), Brown, Bunhong(Pink of Korean Language) and Pink categoriz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inguistic difference. As experimental tools of this study, in Experiment 1, there were 6 colors of 2.5YR 4/8 (Brown), 2.5YR 6/4 (Dull Orange), 10RP 4/2 (Grayish Purple), 7.5R 7/8 (Pink), 5RP 5/14 (Light Purple), 5RP 8/6 (Light Purplish Pink) which were based on Korean Color Standards were used. In Experiment 2, 464 samples which were also based on Korean Color Standards were used, including the colors having Brown and Pink system color names and the colors recognized as Brown and Pink over a broader range. Also, in case of off-line experiment, since the fine print error of the sample is concern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using the Korean color standard digital color palette in the same living illumination and display environment. In the case of off-line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since the fine printing error of the sample is concern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using the Korean Standard Digital Color Palette in the same living illumination and display environment. Experiment 1 was conducted by looking at the 6 color samples and writing the name of the colors freely without choice. Experiment 2 used the nominal scale to see how the colors were categorized for the seven item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Using the more modifiers in naming the brown than the pink, people can see that the perception of the brown is more unclear.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woman as Galsek is 2.5R-2.5Y, Brown is 5RP-2.5Y, and Galsek is distributed in the R series as compared to Brown.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males as Galsek was 7.5R-2.5Y and that of Brown was 10RP-10YR, which was the same as that of the woman in the saturation, but it was broader than that of the woman in the lightness. The range of colors recognized by the woman as Bunhong is 10P-7.5YR, and that of Pink was 5RP-10RP, and the color range of Bunhong is broader than the range of Pink.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man as Bunhong was 2.5RP-10R, and that of Pink was 5RP-10RP. The proportion of unclear color categorization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he categorization was more clear than in that females recognized colo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 which uses various colors of brown and pink will apply the color name considering the people’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difference to the object, to improve the clarity of the object and color and the efficiency of the color plan.

      • 텍스트 분류의 성능 향상을 위한 나이브 베이즈 응용 기법 비교 연구

        허재희 ( Jae-hee Heo ),박은영 ( Eun-young Park ),박영호 ( Young-ho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텍스트를 분류해내는 일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계학습은 다른 기법들보다도 가장 효과적인 성능을 드러낸다. 그 중에서도 특히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는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알려진 기계학습 모델 중에 하나이다. 본 논문은 보다 효과적인 텍스트 분류를 위해 나이브 베이즈의 기법들을 응용 및 개선하고자 한 기존의 연구들을 소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정형적 대퇴골 골절에서 골수강 내 정을 이용한 내고정 후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의 투여가 골절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박철현(Chul Hyun Park),손욱진(Oog Jin Shon),문정재(Jeong Jae Moon),심범진(Bum Jin Shim),허재희(Jae Hee H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비정형적 대퇴골 골절 환자에서 골수강 내 정을 이용한 수술 후 teriparatide의 투여가 골절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비정형적 대퇴골 골절로 골수강 내 정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26명(2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술 후 teriparatide를 투여하지 않은 15예(비투여군)와 투여한 11예(투여군)로 나누어 임상적 평가 및 방사선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수상 전의 보행 정도로 회복하는 데 걸린 기간 및 수술 후 골절 부위의 통증이 visual analogue scale 2점 이하가 되는 데 걸린 기간은 투여군에서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다. 최초 가골 및 가골교 형성 시기와 골유합 시기는 투여군에서 비투여군에 비해 유의하게 빨랐다. 수술 후 비투여군에서는 지연유합이 5예(33.3%), 불유합이 1예(6.7%) 발생하였고, 투여군의 모든 환자는 골유합을 얻었다. 결론: 비정형적 대퇴골 골절 환자에서 골수강 내 정을 이용한 수술 후 teriparatide의 투여가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호전시켰다. 그러므로 비정형적 대퇴골 골절 환자에서 수술 후 teriparatide의 투여는 골절의 유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riparatide administration on fracture healing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in atypical femo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6 patients (26 cases) with atypical femoral fracture who were treated using intramedullary nailing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3. Teriparatide was not administered to 15 patients (non-injection group) and was administered to 11 patients after surgery (injection group).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Nakajima score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adiographic results were compared for the time of callus formation, callus bridge formation, and bone union between the groups. Results: Time to recover walking ability and to decrease pain in the surgery region (VAS≤2) were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injection group than in the non-injection group. The time of callus formation, callus bridge formation, and bone unio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injection group than in the non-injection group. There were 5 cases of delayed bone union (33.3%) and 1 case of none union (6.7%) in the non-injection group and all cases obtained bone union in injection group. Conclusion: The injection group showed better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than the non-injection group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in atypical femoral fracture. Therefore, we think that teriparatide administration after intramedullary nailing could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to promote bone union.

      •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서의 3차원적 재구성을 이용한 척추경의 크기 측정

        허재희,안면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1 No.1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서 3차원적인 재구성을 이용한 관상면에서 척추경의 폭을 측정하는 것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고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 시 척추경의 크기를 술 전에 측정한 후 그 값의 최대치보다 작은 최대 크기의 원추형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할 시에는 척추경의 모양이 원주 형태가 아닌 낙루형태나 신장 형태 등 추체마다의 다양한 모양을 고려하여 나사못 크기와 삽입 방법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edicle of the upper and lower levels on the concave and the convex sides. In addition, we checked for the appropriate pedicle screw size which could be screwed in without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aking a simple AP radiography in a standing position, 99 vertebrae on the major curve with the possibility of 3-D reconstruction were analyzed after checking the CT in a supine position of 22 idiopathic scoliosis. We measured Cobb's angle from a simple radiograph, and measured the size of the isthmus by the Inner Space 3-D Editor after 3-D reconstruction with the Inner Space 3-D program in the DICOM file transformed from CT image. We then analyzed the size of pedicles of the upper and lower levels on the concave and the convex sides by measur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edicle. Results: All pedicles on the concave side were smaller than those on the convex side. Their size increased as the measurement moved from the upper to lower vertebra, except for the upper thoracic vertebra. When the width of the pedicle through 3-D reconstruction was compared with the narrowest width of the pedicle measured by using CT, the width of the pedicles through 3-D reconstruction was statistically smaller (P<0.01). Most of the pedicles were tear-drop or kidney shaped rather than cylindrica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the coronal plane through 3-D reconstruction would be necessary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the size of the pedicle. It is important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screw size and the screwing method considering the pedicle shape through 3-D re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