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해안 주요 하구 갯벌 퇴적물의 탈질소화를 통한 질소 영양염 제거

        허낙원,이지영,최재웅,안순모,Heo, Nak-Won,Lee, Ji-Young,Choi, Jae-Ung,An, Soon-Mo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2

        남해안의 주요 하구 4곳(순천만, 섬진강, 고성천, 마산만)과 서해안의 태안 근소만 갯벌에서 2009년 3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유기물 정화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퇴적물 산소요구량(Sediment Oxygen Demand; SOD)과 탈질소화(Denitrification)를 측정하였다. 퇴적물 산소요구량은 퇴적물 배양 중 시간당 용존산소감소율로 부터 추정되었으며, 탈질소화 측정에는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하는 isotope paring technique이 사용되었다. 조사지역의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은 각각 -5.1~24.6 mmole $O_2m^{-2}d^{-1}$와 0.0~3.9 mmole $N_2m^{-2}d^{-1}$의 범위를 보였다. 퇴적물 산소요구량이 가장 높은 곳은 마산만(평균 = 10.2(범위 =-2.2~19.2 mmole $O_2m^{-2}d^{-1}$)이었으며, 순천만, 고성, 태안, 섬진강 순으로 나타났다. 탈질소화율도 마산만(평균 = 1.0(범위 =0.0~3.9) mmole $N_2 m^{-2}d^{-1}$이 가장 높았으며, 고성, 섬진강, 순천만, 태안 순으로 나타났다. 태안, 섬진강, 마산 지역에서는 계절적으로 저서미세조류에 의한 광합성이 탈질소화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는데 광합성 동안 생성된 산소는 혐기성과정인 탈질소화를 저해하기 보다는 질산화를 원활하게 하여, 질산화-탈질소화 연계과정을 촉진시켰다. 남해안 허구에서 탈질소화의 계절변화 유형(봄철 최대 유형과 여름철 최대 유형)의 지역적 차이는 탈질소화에 사용되는 두 질산원($D_w$; 강을 통해 공급된 질산과 $D_n$; 질산화-탈질소화 연계과정에 의해 생성된 질산)의 상대적 중요성에 따라 결정되었다. 즉 봄철에 탈질소화가 높게 나타난 순천만, 고성, 마산은 여름철에 비해 봄철 수층 질산염이 풍부하였고, 이를 통해 $D_w$가 증가되었다. 태안과 섬진강 지역이 여름철에 탈질소화 최대값을 보인 이유는 수층의 질산염이 고갈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름철 수온의 증가로 $D_w$가 증가하였고, 이와 더불어, 산소고갈이 나타나지 않아 질산화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D_n$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Sediment oxygen demand(SOD) and denitrification rates were measured in four major estuaries(Suncheon Bay, Seomjin river estuary, Goseong stream estuary and Masan Bay) in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from March of 2009 to May 2010 to estimate organic matter cleaning capacity. SOD was estimated from the temporal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change and isotopic pair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measure denitrification. Sediment oxygen demand(SOD) was ranged from -5.1 to 24.6 mmole $O_2m^{-2}d^{-1}$ and denitrification rate was ranged from 0.0 to 3.9 mmole $N_2m^{-2}d^{-1}$in the study area. SOD was the highest in Masan Bay(-2.2 to 19.2, average = 10.2 mmole $O_2m^{-2}d^{-1}$) and Suncheon, Goseong, Tae-an and Seomjin followed. Denitrification was also the highest in Masn Bay(0.0 to 3.9, average = 1.0 mmole $N_2m^{-2}d^{-1}$) and Goseong, Seomjin, Suncheon and Taean followed. The effect of benthic photosynthesis by microphytobenthos on denitrification was evident in some season of Tae-an, Seomjin, and Masn Bay. The increased oxygen level produced by photosynthesis stimulated nitrification without severe adverse effect on denitrification and, as a result, coupled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was enhanced in these areas. A difference of seasonal patterns of denitrification at each site depended on relative importance of denitrification on different nitrate source($D_w$: nitrate from water column and $D_n$: nitrated produced during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was maximum during spring in Goseong, Suncheon and Masan Bay. On the contrary, denitrification was the highest during summer in Tae-an and Seomjin estuary.

      • KCI등재후보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 함체 소형화 설계방안 연구

        한원섭 ( Han Won-seob ),고광용 ( Gho Gwang-yong ),허낙원 ( Heo Nak-wo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0 교통안전연구 Vol.29 No.-

        현재 대부분의 도시에 운영되고 있는 표준규격의 교통신호제어기가 도로의 점유공간을 키우고, 도시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신호제어기 함체의 소형화 설계와 현장에 설치하는 형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통신호제어기 함체의 소형화 설계는 기존에 운영되는 제어기와 부품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구성 부품의 회로를 최적화하거나 위치를 재배정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교차로와 횡단보도용으로 구분하여 설치장소에 따라 구성 부품 수를 줄여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함체의 크기를 축소하였다. 이와 같은 소형화 설계 시 기존 제어기의 함체에 비하여 소형 교차로용 함체의 체적은 약 30 ~ 50% 축소되고, 단일로용은 50~60% 감소된다. 하절기에 차광막 없이 운영되는 제어기의 내부온도가 51℃ 이하로 표준규격에서 규정된 구성부품별 동작온도 74℃이하로 동작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제어기 함체 위에 별도의 차광막을 설치하는 것을 지양하도록 하였다. 좌대의 형태는 콘크리트 타설, 원통형철골 및 지주부착형의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교통신호 제어기 함체의 소형화 설계와 경찰청에서 제안된 교통신호제어기 디자인 모델과 결합하여 교통신호제어기를 제작하고, 기존 제어기와의 호환성 파악을 위하여 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교차로용으로 제작된 A와 B타입 모델 모두 제안된 함체의 크기 이내로 제작되었고, 기능검사 모두 표준규격을 준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능동식 대중교통 우선신호에서 신호시간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신호연동모형

        정영제 ( Jeong Young-je ),정준하 ( Jeong Hun-ha ),주두환 ( Joo Doo-hwan ),이호원 ( Lee Ho-won ),허낙원 ( Heo Nak-won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4 교통안전연구 Vol.33 No.-

        In this research, phase waste of active signal priority is defined and new phase waste prevention model is proposed. This model was formulated based on the MAXBAND MILP-2 model, which is a traditional arterial signal optimization model to maximize green bandwidth. The phase waste is defined as a poor efficiency condition of signal progression which a transit that is provided with an active signal priority stops again at the downstream intersection. This research suggested additional constraints of MAXBAND MILP-2 model to prevent the phase waste condition. The transit progression constraints are suggested using transit trajectories and time-space diagram for Early Green and Green Extension techniques. In case study, additional constraints to prevent phase waste reduce general green bandwidth to guarantee the transit progression. However, this progression condition could reduce unnecessary transit delay at the signal intersection. There is signification in regard to suggest signal timing optimization method for active transit signal priority using traditional arterial progression model.

      • 통행시간 정보를 이용한 신호시간의 산정 방법

        정영제(Jeong, Yeong-Je),정준하(Jeong, Jun-Ha),유동배(YOU, Dong Bae),이정우(Lee, Jeong-U),고광용(Go, Gwang-Yong),허낙원(Heo, Nak Won)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UTIS와 같은 ITS 인프라에서 수집되는 통행시간을 신호운영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행시간을 결정적 지체모 형에 적용하여 수요교통량을 산정하고, Webster 모형을 기반으로 신호시간을 작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교통량과 신 호운영 조건을 이용하여 지체를 산정하고, 신호교차로의 운영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적용해왔다. 그러나 소통정보로 수집된 통 행시간을 지체로 변환하고 지체 모형의 결과물에 해당하는 지체값에 적용하여 해당 신호운영 조건에서 포화도를 역산함으로써 수요 교통량을 산정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결정적 지체모형을 비포화와 과포화 상태로 구분하여 지체에서 교통량을 추정하기 위한 모 형이 제시되었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정체상황이 구분되는 교통량 추정으로 효율적인 신호시간 산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