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프장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에 대한 미생물 분해성 평가

        허근영,김인혜,Huh, Keun-Young,Kim, In-Hea,Deurer, Markus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4

        집중적인 이용이 이루어지는 모래 기반의 잔디 근권부에 과도한 유기물의 집적은 잔디 생육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골프장 그린에서 유기물의 지속가능한 관리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이용하여 토심별 토양 유기물 집적에 대한 미생물 분해를 평가하고 통기성 개선 및 돌로마이트 시용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조성 후 5년과 30년 경과한 그린의 토심 0~5cm, 5~10cm, 10~15cm 토양층에서 3반복으로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토양미생물 호흡량과 탈수소효소 활성이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에서 토심별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되었다. 그 후에 조성 후 30년 경과한 그린을 4개의 구획으로 구분하고 무처리한 대조구, 돌로마이트를 처리한 실험구, 토심 0~5cm 토양층을 제거한 실험구, 토심 0~5cm 토양층 제거 후 돌로마이트 처리한 실험구를 조성하였다. 처리 후 1, 2, 4주일 경과 후에 앞서 언급한 방법과 동일하게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 유기물 분해를 평가하기 위해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을 분석하였다. 토심 0~5cm 토양층에서 토양 유기물 집적은 코어링과 같은 집약적인 관리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지만 토심 5cm 이하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증가함으로 지속적으로 토양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유기물에 대한 토양미생물의 분해는 토양 유기물 집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수적이지만,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미생물 호흡량은 현저히 낮게 나타나고 통기성 개선과 돌로마이트 시용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코어링과 같은 통기성 개선 작업들과 돌로마이트 시용은 조성 후 오랜 기간이 경과한 그린의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미생물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Excessive soil organic matter (SOM) is detrimental to turfgrass quality when used intensively in sand-based root zones, thereby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turfgrass systems. As part of a major project examin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OM on golf greens, microbial decomposition on soil organic matter accumulation with depth was assessed and the effect of soil air-condition improvement and Ca fertilization was investigated by soil microbial respiration (SMR). Three soil samples from three depths(0~5, 5~10, and 10~15cm) of 5 year and 30 year old green were analyzed for SOM content. In 30 year old green, SMR and dehydrogenase activity(DHA) were analyzed to assess the soil microbial decomposition with depth. It was then divided into 4 plots: untreated as a control, dolomite-treated, 0~5cm deep section-removed, and 0~5 cm deep section-removed+dolomite-treated. After treatment, three soil samples were taken at 1, 2 and 4 weeks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analyzed for SMR to better understand SOM decomposition. SOM accumulation in the 0~5cm depth of golf greens can be controlled by intensive cultivation such as coring, but below 5cm is more difficult as the results showed that SOM content below 5cm increased over time. Soil microbi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will be necessary to reduce SOM accumulation, but SMR below 5cm was low and wasn't significantly altered by increasing exposure to air and fertilizing with Ca. As a result, aeration treatments such as coring and Ca fertilization might not be effective at improving soil microbial decomposition below 5cm depth in aged greens.

      • KCI등재

        골프장 그린에서 토섬별 유기물의 경시적 변화

        허근영,고병구,Huh, Keun-Young,Ko, Byong-Gu 한국조경학회 2008 韓國造景學會誌 Vol.36 No.3

        토양 유기물 관리는 골프장 그린 관리 중 핵심적인 요소이다. 골프장 그린의 유기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연구하는 중요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우리는 동일한 근권부 조성과 관리 하에서 유지되고 있는 서로 다른 조성 시기의 그린들에서 토양 유기물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토양 미생물 활성, 잔디 분얼경수, 용적밀도, 수분함량, pH, EC, 그리고 총질소를 측정하였다. 토심 0${\sim}$5cm에서 토양 유기물 집적은 그린들 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토심 5cm 이하에서 SOM은 그린들 간에 강한 유의차를 보였고, 경과 연수와 정(+)의 상관을 가졌고 토심과 음(-)의 상관을 가졌다. 토심 5${\sim}$25cm 단층부에서는 시간 경과와 토섬에 따른 SOM의 집적을 예측하기 위해서 회귀 분석한 결과에서 그린의 경과 연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기물 함량이 0.061% year$^{-1}$로 증가하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유기물 함량이 0.079% cm$^{-1}$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과 연도와 토심에 따른 토양 미생물 활성이 탈수소효소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는 모든 그린들에서 토심에 따라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토심 5cm 이하에서 토양 미생물 활성은 그린툴 간에 유의차가 없음을 보였다. 집적된 토심 5cm 이하의 SOM은 장기적으로 분해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린 조성 후 5년부터 용적밀도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분함량, Ee, 그리고 총질소는 SOM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pH는 시간이 경과하며 낮아졌는데, 이것은 SOM 집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유기물 집적은 pH 저하, 미생물 활성 감소 토양 유기물의 분해 저항성 증가 등에 주요하게 영향을 받았지만, 수분 함량, EC, 총질소에 의한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The management of soil organic matter(SOM) is a key component of golf course green maintenance. As part of a major project examin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OM on golf course greens, the SOM status of different age greens maintained in the same root zone composition and management were compared. Then the microbial activity, tiller number, bulk density, water content, pH, EC, and T-N in the soil were measured. In the 0${\sim}$5cm depth SOM accumul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eens. Below 5cm SOM showed a strong significance between greens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year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th. when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to predict SOM accumulation with year and depth, SOM below 5cm tended to increase with a rate of 0.061% . year$^{-1}$ and decrease with a rate of 0.079% . $cm^{-1}$(R2==0.841). Soil 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with age and depth by using a dehydrogenase assay. Results showed a sharp drop with depth in all greens. The soil microbial activity below 5cm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eens. The accumulated SOM below 5cm may be very resistant to decomposition in the long-term. Five years after establishment, the bulk density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 water content, EC, and T-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M. The pH decreased with the year, which may influence SOM accumulation. Organic matter accumulation was mainly affected by the pH decrase,low soil microbial activity, and high organic matter resistant to decomposition, but the effects of water content, EC, and T-N were obscure.

      • SCOPUSKCI등재

        Citizens' Perceptions and Assessment of an Urban Mountainous Forest Restoration: Nature, History, and Changes

        허근영(Keun Young Huh),허현철(Hyuncheol Heo),박종훈(Jong-Hoon Park),김인혜(Inhea Kim) 인간식물환경학회 2024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7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Most cities in South Korea have mountainous forests as hinterland green space in their centers,which are used as urban park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itizens' perceptions of a mountainous forestrestoration project being carried out in Jinju City. Methods: The research site is part of Bibongsan Mountain in Jinju City. Visitors' perceptions of the Bibongsan RestorationProject (BRP), carried out since 2015, were surveyed and analyzed regarding nature, history, and changes. The survey was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1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main socio-demographic changes were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en among visitors, aging, and anincrease of unemployed people in the occupational distribution. The overall assessment of BRP implementation waspositive. Visitor perceptions of the value, revival, and restoration of historical resources were more vital than in 2015 and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Visitors identified a high need for safety facilities for elderly visitors,improved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facilities for various recreational activities, outdoor learning facilities andprograms for nature study, expanded parking lots, and improved transportation services. Conclusion: The urban mountainous forest restoration project is overall satisfactory and needs to be continued. The resultsshowed that urban mountainous forests are not only recognized as spaces for walking and exercise for health but alsorecently as historical spaces expressing the unique or featured identity of the city, educational spaces for interest andunderstanding of nature, and recreational spaces that reflect local lifestyle changes. Thus, urban forests need to be restoredin the context of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well as natural resourc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be awareof various changes in the population, including aging and an increase in retirees.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