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군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함성수 ( Ham Seongsoo ),고현석 ( Ko Hyunsuk ) 공군사관학교 2018 空士論文集 Vol.69 No.2

        공군 조종사 양성에 들어가는 많은 비용과 조종사들이 전투력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생각할 때 조종사들의 이직은 국방의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조종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부정적인 요인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효과를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조절효과를 하였다. 즉, 소명의식이 높은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It is such an important issue that Air Force Pilots have retired early because of the severe shortage of skilled pilo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dentify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as predictors on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alling on their relationship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SPSS Macro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correlated positively with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lling on the both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ar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both relationships are weaker when Calling is high than low.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함성수(Ham, Seongsoo),고현석(Ko, Hyunsuk),장성화(Jang, Su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이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 다. 둘째, 사관생도의 소명의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셋째, 소명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공군사관학교 생도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을 이용하여 소명의식,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학교생활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소명의식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 녕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Calling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Survey data from 509 cadets in ROK Air force Academy were analyzed with SEM, using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School Life Adjustme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사관생도의 투지(Grit)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 소명수행의 매개효과

        함성수(Seong-Soo HA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사관생도의 투지, 소명수행, 그리고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공군사관생도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투지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지는 정신건강, 소명수행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지는 정신건강의 하위요인들 모두와도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소명수행은 정신건강과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수행이 투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Living a Calling, and Mental health of ROK Air force Academy(KAFA) cadet.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was examined. Survey data from 227 cadets in KAF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PSS PROCESS Macro for bootstrapp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and Living a Calling. Second, Living a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Mental health. Third, Living a Calling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Mental heal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공군사관생도의 소명의식, 투지, 소명수행,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분석

        함성수(Seong-Soo HAM),장성화(Sung-Hwa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2

        본 연구는 공군사관생도의 소명의식, 투지, 소명수행, 그리고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소명의식과 학교생활적응, 투지, 소명수행 간의 관계 그리고 소명의식과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투지와 소명수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공군사관생도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Program 21.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SEM)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명의식은 투지, 수명수행, 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지와 소명수행은 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투지와 소명수행은 소명의식과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alling, Grit, Living a Calling, and Life Adjustment of ROK Air force Academy( ROKAFA) cadet.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Living a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Adjustment were examined. Survey data from 568 cadets in ROKAF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it, Living a Calling, and Life Adjustment. Second, Grit and Living a Call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Life Adjustment. Third, Grit and Living a Calling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Life Adjustmen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also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리더의 나이와 리더 선출법이 집단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조지연(Jee-Yun Cho),함성수(Seong-Soo Ham),손영우(Young-Woo Soh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리더의 나이에 따라 집단 의사 결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나이 많은 리더가 나이 적은 리더에 비해 토론 중 발언 비율이 높았으며, 나이 많은 리더가 속한 집단의 결정 정확률이 더 높았다. 또한 리더의 나이가 많은 경우, 집단 구성원들은 리더의 집단 대표성과 발휘된 리더십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리더의 나이가 집단 의사 결정에 끼치는 영향은 리더 선출법에 따라 달라졌다. 리더의 나이가 적은 경우에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선출된 리더 집단의 토론의 질이 높게 나타난 반면, 리더의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무작위로 선출된 리더 집단의 토론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리더가 소유한 권력 기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추론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group decision making between senior leader groups and junior leader groups. Results revealed that senior leaders contributed more during the discussion than junior leaders, and groups with senior leaders performed better than the groups with junior leaders. In post-discussion activities group members noted that senior leaders were able to represent their groups better, and showed better leadership during discussion. On the other hand, the leaders age impa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leader selection methods. For senior leaders, leaders randomly assigned were perceived to be more beneficial to groups. However for junior leaders, leaders systematically selected were perceived to represent their groups better and exhibit better leadership. The interaction between leaders age and leader selection seems to arise from a difference of leaders power bases.

      • KCI등재

        항공관제 전문가와 훈련관제사의 시각정보처리 차이

        권혁진 ( Hyok Jin Kwon ),함성수 ( Seong Soo Ham ),김혜정 ( Hye Jeong Kim ),한정원 ( Jung Won Han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0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ir traffic controllers (ATCs) perceive the visual information on radar screen and exam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expertise. Little research has shown that how much information is processed by ATC visually and perceptually, how ATCs represent the information, and what difference exist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raw re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blank sector map after a 5-second exposure. Data were analyzed by a superimposing method to identify correctly represented infor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t group had much larger size of chunking and their pattern was wider and more accurate than the novice group.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사관생도들의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Jang, SungHwa),함성수(Ham, Seong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사관생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 등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과 학교생활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공군사관학교 전체 생도 551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부터 8월 16일까지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 학교생활적응의 측정도구로 정보를 수집하였고, SPSS 20.0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관생도의 가족 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사관생도의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족기능, 정신건강,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들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family function, mental health, and career identity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51 cadets in ROK Air force academ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 20.0.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correlations among family function, mental health, career identity,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mental health, and career identity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function, mental health, career identity,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Second,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mental health, and career identity affected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justment in cade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성화 ( Sung Hwa Jang ),최성열 ( Sung Yeol Choi ),함성수 ( Seong Soo Ha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이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간의 상관계수와 이들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의 초기 청소년 4, 5, 6학년 304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SPSS 20.0과 IBM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은 모형으로써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the family heal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ir subordinated factors. The research is going to clarify if academic self-efficacy ha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eing in Dadjeon c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family heal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sample variance 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nd IBM AMOS 20.0, the maz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family heal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ubordinated factors in the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also mostly relate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except academic self-efficacy is not relat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can use to map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a variety of in-depth policy research is to suggest the need for such.

      • KCI등재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이상철(Sang-Chul Lee),함성수(Seong-Soo Ha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공군간부들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공군간부 211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셀프리더십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 하위변인인 자기기대와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은 행정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보상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대인관계, 보상체계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리더십 전체에서는 직무만족도의 행정과 대인관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자율성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의미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ROKAF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ir self-leadership.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211 dat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leadership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econd, as for the effects of subordinate factors among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self-leadership, personal growth and controling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ministration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d self-expectation of self-leadership. For the self-reward of self-leadership, personal growth, meaning of life and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and reward system of job satisfaction influenced it. Finally, as for the effects of subordinate factors among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self-leadership, administration and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 growth, meaning of life and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d i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천영희(Young-Hee Chun),함성수(Seong-Soo Ha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우관계와 역기능 가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한 3개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우관계, 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우관계,역기능 가정,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갈등 및 불신과 대학환경적응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변인은 갈등해결, 문제의 부모, 인정과 관심 순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활 부적응에 대한 예방과 대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심층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여러 가지 정책에 대하여 시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dysfunctional family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e participants of study were 415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province. A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convenient sampling,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eer relationship, dysfunctional family an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all of the subvariables except for conflict, distrust and university of adaptation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 order of significance, conflict resolution, problem parents, recognition and attention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ed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is has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f misfit university students, the related program development, and various policy establish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