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에 효율적인 ICT활용 방안

        한춘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3 No.2

        현대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개인 및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이자 가치 창출의 근원인 정보화 사회 또는 지식기반사회이다. 정보화사회에서는 정보의 수집, 처리, 활용 능력에 의해 삶의 질과 빈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유용한 정보를 생산․수집․가공할 수 있는 첨단 정보통신기술 개발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시대가 바뀌면 경쟁력의 개념이 바뀌고 요구되는 인재상도 달라진다.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인재는 소위 디지털리터러시를 갖춘 인재가 요구된다. 이러한 최근의 환경변화의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수․학습도 새로운 학습방식이 요구되어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이하 ICT로 略함)을 활용한 교수․학습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This study purpose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CT-based social studies, and specifically to examine methods of ICT-based teaching at social studies class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utilizing ICT in social studies is to achieve the goals of social studies teaching learning more effectively. Thus,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from applying ICT to social studies class are as follows. First, ICT-based teaching may give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which is required in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econd, it is easy to apply the approach of integrative subject to ICT-based social studies teaching. Third, ICT-based teaching expands the areas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Fourth, ICT-based teaching provides many opportunities for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Fifth, ICT-based teaching broadens students\ thought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Sixth, ICT-based teaching facilitates learning through the colle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diverse materials and data. As presented above, ICT-based social studies teaching should lead students to have a critical view on social issues raised with the transition of the society and to develop thinking abilities for solving immediate problems. When utilizing ICT at social studies classes, the teacher must consider first what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dium is in achieving the goals of the classes. ICT-based education methods recommended for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utilized multimedia materials close to real things, which are hardly available for viewing, hearing or obtaining. Second, in staged social studies education, students may choose, investigate and present topics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utilizing ICT. Third, ICT may be used in classes that utilize materials on current events including NIE classes. Fourth, ICT may be used in survey and discussion through Web sites. In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ICT-based social studies classes is whether the ICT-based education is truly effective in achieving the educational goals of social studies, namely, the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goal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with regard to ICE-based education.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reform education employing new educational paradigm and advanced technologies i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nd they have repeated the cycle of \ excitement - scientific support - disappointment - criticism.\ Such history must be remembered for successful ICT-bas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CT-based education must advance from simply memorizing and saving information for learners toward creat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and composing and organizing knowledge.

      • 방사선에 의한 수도 고단백 돌연변이 계통에 관한 연구

        한춘희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1974 梨花 自然 Vol.5 No.-

        수도품종 진흥에서 선발된 고단백변이 계통의 종자의 무게, 모양, 배와 배유의 무게 및 단백질함량조사, 단백질 변이계통의 단백질함량과 종자의 무게, 모양 등과의 상관조사 및 변이계통의 재배환경을 달리했을 때의 종자의 길이와 넓이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고단백 변이계통중에는 종자의 무게 및 모양이 모품종과 비슷하면서 단백직함량이 증가된 경우와 종자의 무게가 모품종보다 감소 혹은 증가되면서 단백질함량이 증가된 경우가 있다. 고단백변이계통의 배에 대한 배유의 무게는 30∼40배 정도이고, 종자의 단백질함량의 증가는 배유의 단백질함량의 증가에 기인되었다. 단백질함량의 퍼센트와 종자무게, 종자무게와 단백질함량의 절대량 및 종자길이 그리고 종자길이와 단백질함량의 절대량과는 정(正)의 상관이 있었다. 재배조건을 달리했을 때의 종자길이 및 넓이의 변이는 동일지역에서 재배조건을 달리했을때보다 재배지역을 달리했을 때의 변이폭이 넓었다.

      • KCI등재

        논쟁문제수업을 통한 의사결정능력의 향상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2 사회과교육연구 Vol.19 No.3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as a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help students increase rational decision making skills and examine the meanings and importance of controversial issues stud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study also aimed to review the models of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develop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identify their implications, and devise a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model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per for the given situations. The number of controversial issues that divide people over various social problems continues to rise and is expected to keep rising. Thus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citizens who are capable of rationally resolving controversial issues or problems.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is a teaching method to teach the ways and skills to rationally resolve controversial issues and problems. It values a process of the students sorting out their opinions in a comprehensive manner and solving through diverse exploratory activities, and can contribute to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specially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reviewed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models developed by researchers and devised one proper for elementary school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controversial issues based on a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levels and interest, and a culture of discussion in the classroom. Since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completing the model in an hour, the model was developed to consist of two hours. The first hour was devoted to understanding controversial issues, finding their innate value issues, collecting and sorting out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nd data, and establishing one’s own position, and the second hour involved a general discussion to explore controversial issues in full scale, exploration of alternatives, and arrangement of study content. Those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lessons turned out to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decision making skills through a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facts and values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carrying out discussions about solu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으로 논쟁문제 수업을 선정하고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논쟁문제학습의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고, 우리 실정에 맞는 초등학교 사회과 논쟁문제학습 모형을 구안하는데 있다.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하여 찬·반 의견 대립이 맞서는 쟁점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논쟁문제 또는 쟁점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시민의 육성이 필요하고, 이러한 논쟁이나 쟁점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방법과 능력을 가르치는 교수 방법이 논쟁문제학습이다. 논쟁문제학습은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해결하려는 과정을 중시하며, 사회과의 목표 특히 고급 사고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개발한 논쟁문제수업 모형을 검토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 수준,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 교실의 토론 문화를 고려하여 초등학교에 적합한 논쟁문제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논쟁문제 수업모형은 한 차시에 완성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아서 두 차시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1차시에서는 논쟁문제를 파악하고 여기에 내재된 가치문제를 확인하고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자신의 입장을 정하는 것으로 논쟁문제를 도입한다. 2차시에는 본격적인 논쟁문제 탐구를 위하여 전체 토론을 실시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학습내용을 정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쟁문제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사회적 쟁점과 관련된 사실과 가치를 조사하고 해결책에 관하여 토론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사결정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있다.

      • KCI등재

        사회과 테크놀로지 통합의 현황 및 과제

        한춘희,이경윤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class. I analyzed previous studies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to solve the problems and three directions of technology integration extra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the actual utilization and cognition of technology integration are needed. Second, there are few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lating technology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class. preservice and inservice programs are needed for preparing teachers for technology integration. Third, development and distru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technology are needed for teachers.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통합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 교사들의 보다 효과적인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사회과 교사들이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예전에 비해 수업에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사들은 여전히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과 테크놀로지 통합의 과제를 다음의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사의 테크놀로지 통합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사회과 수업에서 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한 예비교사 교육과정 및 교사 연수가 재고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과 교사가 테크놀로지를 수업에서 보다 편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령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공청회 등을 통해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사회과 테크놀로지 통합에 관한 소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내실화 방안 탐색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4

        A Study on Examining Substantiality Plans of Econom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본 논문은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정의와 목표를 분석하고, 제7차 사회과교육과정에 나타난 경제교육의 내용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첫째, 초등학교 경제교육의 교육내용에 관한 국가표준안이 시급히 정립되어야 하고, 둘째, 학교 경제교육의 기본 개념이 정립되고, 학교 경제교육을 담당하는 가칭 학교 경제교육 협의회가 만들어지고, 셋째, 교사양성대학의 경제학 강좌 증설 및 현직 교사에 대한 지속적으로 연수를 확대하고, 넷째, 가능한 어릴 때부터 학교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경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변화되어야 한다.초등학교 경제교육은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이어지는 학교 경제교육의 시작이므로 학생들이 다양한 경제현상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과 개념을 배우고,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하고 흥미로우며 자기 주도적인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 학교 경제교육은 학생들에게 경제적 사고와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을 길러주어 미래 사회의 바람직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어릴 때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ways to more effectively teach the objectives of the skills domains, which had received relatively poorer treatments than the knowledge goals that had been stressed much among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Skills refer to the abilities to perform a task skillfully through repetitive performance and involve a process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utilizing knowledge and data. Since skills have close relations with knowledge and data instead of being separate from them, it? critical to combine knowledge and skills in social studies classes. The ways to efficiently teach the skills domains, which had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need to segment the skills domains and select and present those skills that should be promoted in priority for each grade; second, the skills domains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s and textbooks. That is, the skills goals should be presented with emphasis in the overall goals, domain goals, and grade goals in addition to the knowledge goals; third, when the skills are presented on a certain page of a textbook, they need to provide enough information as to what skills should be instructed there and for what purposes,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by grades, and examples in everyday life to help the students learn and use those skills; fourth, the students can learn the skills through repetitive practice, which means the teachers should find and present examples in everyday life over and over again along with knowledge; and finally, they need to teach the basic skills of social studies, reading and writing, thoroughly. In toda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ne of the important dut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knowledge about various kinds of social phenomena. But it? more important to help them develop the capabilities to gather, analyze, interpret, and evaluate diverse data and information and to solve everyday problems with them. 본 논문은 사회과교육의 목표 중 지금까지 강조되어온 지식 목표에 비하여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고 있는 기능 영역의 목표를 좀 더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능이란 반복 수행을 통해 무엇인가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지식과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활용하는 과정이다. 사회과교육에서 기능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능 영역의 세분화와 각 학년별로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할 기능을 선정하여 제시하여야 하고,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과서에 기능 영역을 좀 더 강조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기능을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에 제시할 경우 여기에서 지도해야 할 기능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왜 이 기능을 지도하는지 그리고 단계에 따른 지도 방법을 알려주고 실생활의 사례를 통하여 직접 배운 기능을 활용하고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기능 영역의 지도는 반복이 중요하므로 지식과 함께 하되 실제 생활 사례를 통해 익히고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의 기본 기능인 읽기와 쓰기 기능도 충실하게 지도해야 한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사회과교육의 중요한 임무는 여러 가지 사회 현상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자료나 정보를 수합·분석·해석·평가하여 일상 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