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포용적 비즈니스 연구: 민-관 협력기반 사례를 중심으로

        한준혜 ( Joon Hye Ha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1 中小企業硏究 Vol.43 No.1

        포용적 비즈니스는 개발도상국의 빈곤층 사람들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 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회적 비즈니스이다. 포용적 비즈니스는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전통적으로 ‘원조’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온 빈곤층의 사람들을 시장기반의 경제활동에 참여시킴으로써 소득창출과 경제적 자립 등의 개발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발협력방식의 새로운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포용적 비즈니스가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도상국 빈곤층 시장의 다양한 장벽을 극복하고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수익을 동시에 창출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포용적 비즈니스 모델과 유형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다중사례연구방식에 기반하여 민-관 협력을 통해 수행되는 사회적 기업의 포용적 비즈니스 17개 사례를 선정하여 이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지닌 특성과 비즈니스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민-관협력에 기반한 포용적 비즈니스의 가치제안 메커니즘, 가치창출 메커니즘, 가치확보 메커니즘별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빈곤층을 대상으로 사회적ㆍ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을 유형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포용적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Inclusive business is a social business that is promoted with the aim of supporting the economic independence and quality of life of poor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sive business is emerging as a new development cooperation method that can lead to development effects such as income generation and economic independence by engaging the poor, traditionally recognized as 'the target of aid' in terms of development cooperation, in market-based economic activities. This study considered how this inclusive business overcomes various barriers in the market for the poor in developing countries and generates social values and economic return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o analyze inclusive business models and business types. And based on the multiple case study method, 17 cases of inclusive business of social enterpris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business models and the types of business. Through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value proposition mechanisms, value creation mechanisms, and value securing mechanisms of inclusive business based on public-private cooperation were derived. Also, how these inclusive businesses create social and economic values for the poor were analyzed. The findings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n inclusive business model.

      • KCI등재

        CSR광고에서 광고유발감정이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준혜(Han, Joon Hye)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CSR광고가 유발하는 감정(긍정적/부정적)이 광고 속 기업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감정전이(Affect transfer)이론을 기반으로 광고유발감정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CSR광고에 대한 태도와 광고로 인해 형성되는 기업이미지의 매개역할을 측정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가상의 CSR광고를 제작 후 영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2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변수들 간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CSR광고를 통해 유발되는 긍정적 감정은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부정적 감정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광고유발감정은 긍정적 감정이 광고태도와 기업이미지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부정적 감정은 광고태도에만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CSR광고에 대한 태도는 광고가 유발하는 긍정적인 감정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며 부정적인 감정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CSR광고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면 결과적으로 기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이는 광고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일 때 그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광고효과에서 적용되던 감정전이이론을 기업이미지광고인 CSR광고효과연구에 적용하여 광고유발감정과 광고태도, 기업이미지, 기업태도 간 관계를 실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CSR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기업태도, 기업이미지)은 광고노출을 통해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고 광고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 더욱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how the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triggered by CSR advertising affects the formation of image of, and attitudes toward a company. Based on the theory of affect transfer,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with the ad-evoked feelings and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and th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the corporate image as meditators.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of consumers in the UK was conducted with the fictitious CSR advertisement.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ad-evoked feelings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attitudes, but the negative feelings had no direct effect. Second, the positive ad-evoked feelings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rporate image and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but the negative feelings only had a direc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Third, th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positive ad-evoked feelings and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negative feelings on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en CSR advertising induces positive feelings to consumers, this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image of and attitude toward the company and this effect can be greater when th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re more favorable. But the corporate image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negative ad-evoked feelings.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s the application of affect transfer theory to the context of CSR advertising by demonstrating the affective responses to the CSR advertising influence the ima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company in the advertising. Also,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that CSR advertising should be designed to generate positive feelings and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s to induce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company on consumers.

      • KCI등재

        사회자본 관점에서 본 경력단절여성의 조직화에 대한 질적 연구

        안재희,한준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자본 관점에서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K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커리어컨설턴트 양성과정을 이수한 경력단절여성들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결성한 W조합의 성장 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새일센터와의관계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조직에 대한 구성원들의 기대가 변화되면서 조직은 학습동아리에서 임의단체, 협동조합으로 전환했다.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이기적 행동과 조직에 대한 낮은 참여 그리고 수익구조의 한계는 조직이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조합은 개인이 아닌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강화했고 이기적 행동을 제재하고 참여를 촉진하는 보상과 관련된 규범을 만들어 나갔다. 또한 대내외적 네트워크의 확대와 연결형 사회자본으로의 전환을 통해정보획득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W조합은 새일센터와 상호 간의 집단적 신뢰 관계를 구축하면서 새일센터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방적 수혜자에서 여성의 일자리를 만들어 가는 경제적 주체, 동반자로 성장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growth process of an organization formed by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discontinuity and its changing relationship with the women’s reemployment support center from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the expectation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eaning of learning changed, the organization evolved from a study club to an unincorporated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The selfish behavior, low participation, and limitations of the profit structure posed challenges to the organiz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members’ trust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reciprocity was strengthened, and norms were created to sanction selfish behavior and promote participation. Additionally, network expansion led to expanded business areas. In the process, the organization has grown from a beneficiary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center to a subject of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