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림이: 고령자들의 복지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카카오톡 기반 챗봇 디자인 컨셉 제안

        한우정(Ujeong Han),유영재(Youngjae Yoo),박소연(Sohyun Park),김소연(Youn-ah Kang),강연아(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고령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 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수요에 발맞춰 노인복지 예산을 증대하고 신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복지를 위한 투자 비용 대비 국민의 복지체감도와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에는 복지 서비스 전달 체계의 부족이 꼽힌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카카오톡 챗봇 기반 복지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카카오톡에서 고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챗봇의 대화 방식을 디자인하였다. 본 서비스를 통해 고령자의 복지 정보접근성을 보장하고 복지체감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3차원 입체영상의 발전과 전망에 관한 연구

        한우정(Woo-Jung Han) 한국영화학회 2001 영화연구 Vol.- No.16

        Hologram is a light wave interference pattern recorded on photographic film (or other suitable surface) that can produce a 3-dimensional image when illuminated properly. This research the film of hologram and method of the high-technology 3-dimensional imaging system producing. Art and science intercommunication being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9 century, the high-technology application sphere widely expanded due to extreme development of the mond seience and technology. 1) Introduction technology-art is a hologram 2) What is a hologram? The object beam is spread and aimed at the object. The object reflects some of the light on the holographic film-plate. The two beams interact forming an interference pattern on the film. This is the hologram. Laser light is needed because it is made of coherent waves (of same wavelength and phase). The principle of holography was discovered in Britain by Dennis Gabor in 1948. He was awarded the Nobel Prise for this discovery in the early 70's. 3) film and hologram The first character of hologram reproduction is cubic effect. second character that reproduction is not effected by hologram with a part missing. 4) What are some applications of holography? Holographic Art--Holography museums, advertising, postage stamps, jewelry, etc. Security from Forgery-Credit cards, tickets, etc. Optical Devices-Holographic lenses, diffraction gratings, etc. These are holograms in which the "object" is a mirror or a lens. A flat mirror as an object produces a diffraction grating. A lensor a concave mirror as the object produce a hologram that behaves LIKE A LENS! These HOLOGRAPHIC LENSES are lighter than traditional lenses and mirrors and they can be designed to perform more specialized functions such as making the panel instruments of a car visible in the windshield for enhanced safety. Medical Applications--Combining CAT scans into a 3-dimensional image, A multiplex. Ultraound holography, etc. Other--Holographic computer memory storage, holographic microscopy, holographic radar, etc.

      •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제한법리의 모색 - 피해자의 "과실","위험"을 중심으로

        오수현 ( Soo Hyun Oh ),조재광 ( Jae Kwang Cho ),한우정 ( Woo Jung Han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9 No.1

        대법원은 불법행위로 인한 소유물의 멸실의 경우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당시 즉 멸실 당시의 교환가격이 통상손해라 보고, 그 시가를 손해배상액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대법원의 법리는 피해자의 소유물이 예상치 못한 고가물일 경우 가해자가 엄청난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나, 똑같은 물건이라 하더라도 디자인, 상표, 수요와 공급에 따른 무형적 가치에 대한 인정으로 똑같은 사용가치를 지니고 있다하더라도 그 가격(=교환가치)은 천차만별이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맞이하여 ``교환가치에 의한 손해배상’의 법리의 조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교환가치가 사용수익의 가치를 현저히 뛰어넘는 동산의 소유권 침해의 경우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고의 또는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의 경우에 있어 손해배상의 이념상 손해배상제한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경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의 경우에 한정하도록 한다. 자동차사례에 있어서와 같이 일상적 과오에 있어서 전통적인 불법행위 책임의 손해 산정의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고가물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보험을 이용하는 방법, 대법원의 통상손해·특별손해의 판단구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손해배상책임과 관련하여서는 위험책임의 역적용 혹은 위험인수의 법리 및 해상법상의 책임제한의 법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In the modern risk society, there are many accidents causing unforeseeable damages due to price diversification. The tortfeasors in the accidents often has to compensate absurdly high amount of the damage awards comparing with the fault. In these cases, the full compensation for damage is cruel penalty to tortfeasors. Besides, it contradicts legal sentiment or feelings of justice. It is the reason why the general clauses of limitation of liability are needed. In Korean Civil Law, the remedies of tort law depends on those of contract law due to the Article 763. If the amount of damages exceeds the wrong-doer`s fault, it can be reduced by judges on the basis of damages adjustment in the light of fair and just sharing of loss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65. It corresponds with the idea of distributive justice on which law of damages should be based. However, the so-called limitation of liability in precedents infringes the legal stability due to its baseless nature. Therefore, it requires justification. The paper analyses the legislation of overseas and the special rules in effect to find leads of the problem. As a conclusion, we suggests that we need to apply widen plaintiff`s negligence in the comparative negligence principle and it is recommended to focus on its risk distribution nature instead of strict liability in tort law. We hope that limiting of remedies for damages promotes the fairness and justice as well as legal certainty in the practice of torts liability.

      •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책임 제한법리의 모색

        오수현(Oh, Soo-Hyun),조재광(Cho, Jae-Kwang),한우정(Han, Woo-Jung) 경희법학연구소 2016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9 No.1

        대법원은 불법행위로 인한 소유물의 멸실의 경우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당시 즉 멸실 당시의 교환가격이 통상손해라 보고, 그 시가를 손해배상액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대법원의 법리는 피해자의 소유물이 예상치 못한 고가물일 경우 가해자가 엄청난 손해를 배상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나, 똑같은 물건이라 하더라도 디자인, 상표, 수요와 공급에 따른 무형적 가치에 대한 인정으로 똑같은 사용가치를 지니고 있다하더라도 그 가격(=교환가치)은 천차만별이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맞이하여 ‘교환가치에 의한 손해배상’의 법리의 조정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교환가치가 사용·수익의 가치를 현저히 뛰어넘는 동산의 소유권 침해의 경우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고의 또는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의 경우에 있어 손해 배상의 이념상 손해배상제한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경과실에 의한 불법행위의 경우에 한정하도록 한다. 자동차사례에 있어서와 같이 일상적 과오에 있어서 전통적인 불법행위 책임의 손해 산정의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고가물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해 보험을 이용하는 방법, 대법원의 통상손해·특별손해의 판단구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손해배상책임과 관련하여서는 위험책임 의 역적용 혹은 위험인수의 법리 및 해상법상의 책임제한의 법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In the modern risk society, there are many accidents causing unforeseeable damages due to price diversification. The tortfeasors in the accidents often has to compensate absurdly high amount of the damage awards comparing with the fault. In these cases, the full compensation for damage is cruel penalty to tortfeasors. Besides, it contradicts legal sentiment or feelings of justice. It is the reason why the general clauses of limitation of liability are needed. In Korean Civil Law, the remedies of tort law depends on those of contract law due to the Article 763. If the amount of damages exceeds the wrong-doer’s fault, it can be reduced by judges on the basis of damages adjustment in the light of fair and just sharing of losses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765. It corresponds with the idea of distributive justice on which law of damages should be based. However, the so-called limitation of liability in precedents infringes the legal stability due to its baseless nature. Therefore, it requires justification. The paper analyses the legislation of overseas and the special rules in effect to find leads of the problem. As a conclusion, we suggests that we need to apply widen plaintiff s negligence in the comparative negligence principle and it is recommended to focus on its risk distribution nature instead of strict liability in tort law. We hope that limiting of remedies for damages promotes the fairness and justice as well as legal certainty in the practice of torts liability.

      •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여가 활동 추천 AI 서비스 ‘쉼표’ 어플리케이션 제안

        박소현(Sohyun Park),강현구(Hyounku Kang),김근영(Geunyoung Kim),김혜선(Hyesun Kim),한우정(Ujeong Han),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여가 시장의 규모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관련 컨텐츠와 서비스 사업도 다양화되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여가 활동 관련 산업의 주요 타겟이나 그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충족하는 서비스는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쉼표는 쉬고자 하는 의지는 있으나 어떻게 쉬어야 하는지 모르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적절한 여가 활동과 쉼의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는 인공지능 추천 서비스이다. 여러 차례의 유저 인터뷰 및 설문 조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후 도출한 컨셉으로 서비스 청사진과 스토리보드를 완성하였다.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유저의 성향 및 사용 맥락에 맞게 여가 활동을 분류하였고 이후 프로토타입에 대한 a/b 테스트 및 사용성 테스트를 거쳐 서비스를 정교화 하였다. 쉼없이 달리기만 하고, 정작 쉬어야 할 때 어떻게 쉬어야 할 지 모르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인공지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가 활동을 추천하여, 유저가 자기 주도적으로 설레는 일상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