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신애(Han Sin-Ae),문수백(Moon Soo-Bac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학습동기 및 학습조직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밝혀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국공립?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 515명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학습동기, 학습조직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학습동기, 학습조직이 직무만족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학습동기, 학습조직이 임파워먼트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학습조직이 학습동기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 인간의 결정적 시기에 놓여있는 유아를 돌보는 보육교사가 총체적으로 느끼는 성취감, 보람, 보상인 직무만족을 높여줌으로써 유아에게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515 child care teacher’s residing in Gyeongsanbuk-Do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20.0, and a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were found to affect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child care teacher’s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were found to affect child care teacher’s empowerment. Third, child care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 was found to affect child care teacher’s academic motivation.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신애(Han Sin-Ae),문수백(Moon Soo-Bac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 지지가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을 밝혀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 남ㆍ여 아동 42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교사지지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5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교사지지가 자아존중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대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elf-efficacy. 4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san-Si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elf-efficacy,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7.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elf-esteem,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Second, parenting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perceived by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steem. Third, the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s of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fficacy was mediated by children's self-esteem. Fourth,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support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elf-efficacy mediated by their self-esteem.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한신애 ( Sin Ae Han ),문수백 ( Soo Back M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영향을 밝혀보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 아동 623명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자아탄력성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를 낮추어 주는 것이 학교적응을 원만하게 하며, 높은 자아탄력성은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을 규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이 내재와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매개로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에게 학교적응을 높여주기 위해 올바른 자아탄력성을 키워주고, 내재화 문제 및 외현화 문제를 낮추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6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Pohang-Si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chool adjustment, emotional problem, behavior problem and ego-resiliency.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AMOS 19.0, and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otional problem, behavior problem and ego-resilien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Second, children`s ego-resilienc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problem and behavior problem. Third, children`s ego-resiliency had a substantial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their emotional problem and behavior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