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도선수의 체중감량 정도가 자율신경변화와 운동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승훈 ( Sung Whoon Han ),임순길 ( Soon Gill Lim )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in an ideal weight-down program by considering the reaction of autonomous nerves and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weight-down in a short-term period. The investigation of autonomous nerves was applied using an equipment of SA-2000E (medi-core, 2002) in order to measure the Mean HRT, SDNN, RMSSD, TP, LFNorm, and HFNorm for the subjective of a total of 14 college Judo players whereas 7 players were included in a 4% weight-down group, and other 7 players were included in a 6% weight-down group. The aerobic exercise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maximum oxygen uptake and maximum heart rate. Also, the anaerobic exercise performance was measured as the peak power and mean powe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results was performed through a t-test and two way repeated RM (2×2) ANOVA. In the results of these tests, a 4% weight-dow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utonomous nerve reaction before and after the weight-down. However, a 6% weight-dow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RT, SDNN, and RMSSD. In the exercise performances, the mean power per weight showed significant variances before and after the weight-down. However, each 4% and 6% weight-down group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performances. It is evident that the weight-down of 6% in a short-term period represented nega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s because the decrease in the mean power and increase in the parasympathetic showed a unstability in their performances in the case of the 6% weight-down group that was performed for a week.

      • KCI등재후보

        경호학 전공학생들의 무도수련이 대인관계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승훈(Han, Sung-Whoon),김병찬(Kim, Byung-Chan),최봉준(Choe, Bong-Ju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4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경호학 전공학생들의 무도수련만족이 대인관계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대학에서 경호학을 전공하는 남녀 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275명을 조사하였다. 무도수련만족도, 대인관계, 사회성에 관해 설문조사 하여 각 요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및 ANOVA를 실시하였으며, 무도 수련 만족도가 대인관계성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도수련 만족도 중 자기방어 만족에서 남학생이 더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나, 정신적 만족에서는 여학생이 더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무도수련 만족도는 수련 기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기술적 만족도는 4~5년, 신체적 만족도는 8~9년에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인 사회관계성향에서는 정신적 만족, 표현성향은 기술적 만족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의 자율성은 신체적 만족, 지도성은 정신적 만족, 수용성은 자기 만족과 정신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교성은 자기방어 만족과 기술적 만족, 준법성은 정신적 만족과 자기 방어 만족, 근면성은 정신적 만족과 기술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factors,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ities is performed for 275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ing in guard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martial art satisfaction on personal relations and socialities and a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the survey.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martial art satisfaction on establishing personal relations and developing socialiti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garding the self protection satisfaction in the martial art satisfaction male students represent higher satisfaction levels than female stude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ental satisfaction female students show higher satisfaction levels. In the martial art training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i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es in training periods in which the low levels in technical and physical satisfactions are presented for 4~5 and 8~9 years respectively. the social relation and expression tendencies significantly affect the mental and technical satisfactions relatively. The autonomy in the sociality affects the physic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the leadership affects the mental satisfaction. The receptiveness affects both the self satisfaction and mental satisfaction. The sociability affects both the self protection and technical satisfactions. The law observance affects the mental and self protection satisfactions. In addition, the diligence affects the mental and technical satisfactions significantly.

      • KCI등재
      • KCI등재

        영양섭취여부에 따른 혈당량이 경호경비원의 위기대처 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상민 ( Sang Min Shin ),김태민 ( Tae Min Kim ),한승훈 ( Sung Whoon Han )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2

        경호경비 임무 수행에 있어서는 경호대상자에 대한 신변보호, 출입통제와 질서유지, 경계근무 등이 이루어짐은 물론 위기상황발생 시 경호경비원에 의한 신속한 대처능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유무에 따른 혈당량과 경호경비원들의 위기대처행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체력적인 수행능력을 대변하는 무산소성 운동능력검사를 통하여 경호경비원들의 영양섭취 여부에 따른 혈당량과 위기대처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호경비실습과 경호무도를 수련하는 경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영양섭취여부에 따른 혈당량이 경호경비원들의 위기대처 행동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점심식사그룹과 결식한 그룹의 혈당검사와 무산소파워테스트 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당량은 식사 그룹 보다 결식그룹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기대처 행동능력 중 Mean Power와 체중 당 Mean Power에서는 식사그룹과 결식 그룹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eak Power와 체중 당 Peak Power에서는 결식그룹이 식사그룹 보다 유의한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파워에 도달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Time to Peak Power와 피로를 나타내는 Rate to Fatigue에서도 식사 그룹과 결식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항상 위급한 돌발 상황을 대비해야 하는 경호경비원들에게는 항상 영양섭취상태를 적정 수준이상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erformed the tests of blood sugar levels and anaerobic powers with respect to the groups with lunch and without lun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al performance coping with difficulties in security guards caused by the blood sugar level according to the intake of nutrition for nin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olice and security. The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blood sugar level, the group without lunch represent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group with lunch. Also, in the Mean Power and the Mean Power per weight presented in the behavioral performance coping with difficul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eak Power and the Peak Power per weight, the group without lunch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than the group with lunch. Regarding the Time to Peak Power that represents the time to approach the maximum power and the Rate to Fatigue that shows the fatigu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Thu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nutrition intake level for more than a proper level for such close guards who cope with outbreaks always.

      • KCI등재

        동영상을 활용한 심리자극이 검도 선수들의 자율신경과 기분상태 및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박영진 ( Young Jin Park ),한승훈 ( Sung Whoon Han ),김동제 ( Dong Jae Kim ),최동제 ( Dong Jae Choi ),가경환 ( Kung Hwan Ka ),김병태 ( Byung Te Kim ),김영훈 ( Young Hun Kim ) 대한무도학회 2014 대한무도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검도선수를 대상으로 동영상 심리자극 유·무에 따른 자율신경 반응과 기분상태검사 그리고 최대무산소를 파워 검증을 통해 동영상 자극의 심리자극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 검도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유튜브(You Tube) 보디빌딩 동영상 자극 후 HRV(Heart rate variability)를 측정을 통한 자율신검사와 정서 상태 프로파일(POMS)을 이용하여 기분 상태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LODE사(Denmark)의 자전거 에르고미터인 Corival을 사용 무산소성 최대 운동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영상 자극 후 부교감신경의 비율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비율도 교감신경의 비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기분상태 변화는 분노, 피로, 혼란은 유의하게 낮추었으며, 활력은 유의하게 높였다. 무산소성최대운동의 평균파워를 유의하게 높였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면 동영상 자극은 부교감신경의 비율을 줄임으로서 활력 높은 기분 상태를 만들고 운동능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 전 심신조절법으로 사용할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utonomic nerve response and condition according to presences of psychological stimulations using videos for Kendo player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such stimulations through monitoring the maximum anaerobic power. A questionnaire on conditions is performed using autonomous nerve tests and profile of mood states(POMS) for 15 university student Kendo players through measuring HRV(Heart Rate Variability) after applying stimulations using bodybuilding videos presented in You Tube. Then, anaerobic maximum exercise tests for the players are implemented using Corrival which is a cycle ergometer by LODE(Denmark). In the results, the rate of parasympathetic nerves i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video stimulations and the rate of sympathetic nerves is significantly increased regarding the balance between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es. In changes of conditions, it decreases angers, fatigues, and disorders significantly and increases vitalities significantly. Also, it increases average power of the anaerobic maximum exercise. In conclusion, the video stimulations bring high vital conditions by decreasing the rate of parasympathetic nerves and help to exercise capabilities. Thus, it is valuable to apply it for controlling mentality before playing a game.

      • KCI등재후보

        경계근무 시간차이가 위기대처 행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태민(Tae Min Kim)(金泰玟),한승훈(Sung Whoon Han)(韓承勳),최동재(Dong Jae Choi)(崔東宰),신상민(Sang Min Shin)(申相敏)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4

        이 연구는 경호경비원들의 경계근무 시간에 따라, 위기대처시 신속한 행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무산소성 운동능력을 측정하는 윙게이트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평균파워는 경계근무 시간이 증가할수록 줄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파워는 경계근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경계근무 전과 경계근무 3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나타나, 장시간 경계근무는 급박한 위기상황에서 대처 및 강한 행동능력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고파워 도달 시간은 경계근무 시간이 증가 할수록 점차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피로 지수는 경계근무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경계근무 전, 경계근무 1시간에서 경계근무 3시간 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체중 당 최고파워는 경계근무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경계근무 3시간 후 유의감소가 나타나, 장시간의 경계근무가 체중 당 최고파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체중 당 평균파워는 경계근무 1시간 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계근무 전, 그리고 경계근무 3시간 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경계근무 시간에 따라 체중 당 평균파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effect of guard’s patrol duty time difference on the ability to cope with crisis rapidly. For the study purpose, the study performed wingate test to measure anaerobic physical 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average power decreased over patrol duty time,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maximum power decreased gradually over patrol duty time. Third, although the time to reach maximum power was delayed gradually over patrol duty time,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fatigue index increased over patrol duty time.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before patrol duty and 1~3 hours after patrol duty. Fifth, maximum power per weight decreased over patrol duty time. It was found that the patrol duty for a long time reduced maximum power per weight. Sixth, average power per weight was highest 1 hour after patrol duty with the time before patrol duty and 3 hours after guard duty in order. Becau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to average power per weight depending on patrol duty.

      • KCI등재

        유도선수의 체력훈련정도에 따른 성취동기와 경쟁상태불안의 차이분석

        김병찬 ( Byung Chan Kim ),최동재 ( Dong Je Choe ),권창기 ( Chang Gi? Kwon ),한승훈 ( Sung Whoon Han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도선수들 체력훈련정도가 성취동기 및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를 분석, 파악하는 것이었다. 성취동기를 조사하기 위해 TSMI 설문지와 경쟁상태불안을 검사하기 위해 경쟁상태불안 검사 -2(SSAL-2)을 사용하였다. 설문지 368부를 SPSS Statistics 18.0의 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성취 동기에서 체력훈련정도 중 시간와 빈도가 높을수록 성취동기의 포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운동기간은 짧을수록 포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에서 체력훈련정도에서 시간이 길수록 인지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을 높았으며, 체력훈련 기간은 잛을 수록 신체적 상태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는 평소에 기초 체력을 높이고, 시합 전에는 짧은 기간에 강도 높은 훈련과 시합을 대비한 시합기술 및 전술 훈련을 실시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개인별 습득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반영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how the levels of intensity in physical training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in judo players. The achievement motivation is surveyed by means of a TSMI questionnaire while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 is used to assess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A statistical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36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using the SPSS Statistics 18.0 program based on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Regard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as the level of physical training intensified, the ambition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likewise increased, whereas the ambition level rose as the training period got shortened. In terms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as the intensity of physical training is reinforced,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become higher, while physical state anxiety increased according to decreases in the training period. With regards to the amount of training, players should gain protection by gradually reinforcing their training intensity over an extended period of training prior to a competition rather than excessively increasing their training intensity. In addition, a training program for acquiring technical skil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the play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