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동호의 어류상과 9개 어종의 길이-무게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승철,이학영,서을원,심재헌,이종은,Han, Seung-Cheol,Lee, Hak-Yeong,Seo, Eul-Won,Shim, Jae-Hun,Lee, Jong-Eun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7

        The fish fauna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 in Andong reservoir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5 to March 2006. During surveyed period, 2,540 individuals 20 species belonging to 7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were Hemibarbus labeo(19.6%)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Carassius cuvieri (19.2%). The korea endemic species were Hemiculter eigenmanni(7.1%),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0.1 %), Corroperca herzi (0.1 %) and introduced fishes were Carassius cuvieri (19.21 %) Lepomis macrochirus (4.2%), Micropterus salmoides (0.2%). Dominace,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species even-ness were 0.39, 3.16, 2.42, 0.73 respectively. The values of the exponent b in the weight-length relation-ship $W=aL^{b}$ ranged from 2.9162(H. labeo, $R^{2}$=0.9567) to 3.2509(Zacco pla쇼pus, $R^{2}$=0.9928) and the median value was 3.1079, whereas 50% of the values ranged between about 3.05 to 3.20. The Condition factor(K) showed good state of health in the surveyed species (excepts H. labeo and Cyprinus carpio). 2005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6회에 걸쳐 안동호에 서식하는 주요어종의 어류상과 길이-무게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에서 확인된 어류는 총 7과 20종2540개체였으며, 우점종은 누치 (Hemibarbus labeo, 19.6%), 아우점종은 떡붕어(Carassius cuvieri, 19.2%)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 7.1%), 참몰개(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0.1%), 꺽지 (Coreoperca herzi, 0.1%) 등 3종, 외래어종은 떡붕어(Carassius cuvieri, 19.21%), 블루길(Lepomis macrochirus,4.2%), 베스(Micropterus salmoides, 0.2%)3종으로 나타났으며, 우점도는 0.388, 종다양도 3.159, 종풍부도 2.423, 균등도는 0.730이었다. 주요 출현어종 9종에 대한길이-무게 상관관계식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 3.2509, $R^{2}$= 0.9928)가 가장 높은 성장도를 나타냈으며, 누치(H. labeo, 2.9162, $R^{2}$ = 0.9567)가 가장 낯은 성장도를 나타냈다. 각 어종에 패한 비대지수에서는 누치( H. labeo)와 잉어(Cyprinus carpio)를 제외한 7개 어종에서 기울기가 양의 값으로 나타나 건강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어종에 대한 길이-무게 상관관계에서 매개변수 b의 값의 평균은 3.1079로 성장상태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임하호의 탁수가 어류상 및 어류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승철,이학영,서을원,심재헌,이종은,Han, Seung-Cheol,Lee, Hak-Young,Seo, Eul-Won,Shim, Jae-Hun,Lee, Jong-Eun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2005년 5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안동호와 임하호의 어류상과 서식하는 어종인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백조어(Culter brevicauda) 그리고 치리(Hemiculter eigenmanni)의 길이-무게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 결과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안동호와 임하호 각각 7과 20종 2,540개체, 4과 11종 850개체였으며, 끄리, 백조어, 치리의 개체수는 안동호에서 총 486개체, 임하호에서는 총 124개 체로 조사되었고, 이들 공서 어류는 길이가 비슷한$({\pm}2.5$ mm) 171개체를 비교하였다. 안동호에 서식하는 끄리, 백조어, 치리의 길이-무게 상관관계식은 각각 TW = $0.000007TL^{3.0543}$, TW = $0.0000009TL^{3.3654}$, TW = $0.000001TL^{3.3872}$로 나타났으며, 임하호에서는 각각 TW = $0.00002TL^{2.8493}$, TW = $0.00001TL^{2.8744}$, TW = $0.000004TL^{3.1082}$로 나타났다. 비대지수에서는 안동호에서는 3종 모두 기울기가 양의 값으로 영양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하호에서는 치리를 제외한 2종에서 기울기가 음의 값을 나타내어 영양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비대지수를 알아본 결과 끄리와 백조어에서 안동호의 개체가 임하호의 개체보다 비대한 경향을 보였으며, 치리는 임하호의 개체가 더 비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number of investigated fish collected from the Andong and the Imha reservoir were 2,540 individuals 20 species belonging to 7 families, 850 individuals 11 species belonging to 4 families respectively from May 2005 to March 2006. The total number of the common 3 species individuals investigated caught from the Andong reservoir and the Imha reservoir were 486 individuals and 124 individuals respectively. The investigated individuals is similar(${\pm}2.5$ mm) to 171 individuals make a comparative study. The Opsariichthys uncirostris, Culter brevicauda, Hemiculter eigenmanni of length-weight relationship were TW = $0.00007TL^{3.0543}$, TW = $0.0000009TL^{3.3654}$, TW = $0.00000^{3.3872}$ in the Andong reservoir and TW = $0.00002TL^{2.8493}$, TW = $0.00001TL^{2.8744}$, TW = $0.000004TL^{3.1082}$ in the Imha reservoir respectively. The Condition factor(K) of the Andong reservoir showed the positive slopes in all three species and to be in a good nutrition condition; where as the condition factor(K) of the Imha reservoir showed the negative slopes in two species except in H. eigenmanni and appeared to be in a little bad nutrition condition. Relative condition factor(Kn) indicating that O. uncirostris and C. brevicauda in Andong reservoir is more rotund than ones of Imha reservoir but H. eigenmanni in the Imha reservoir is more rotund than the ones of the Andong reservoir.

      • KCI등재

        XML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연속 질의 처리 시스템

        한승철,강현철,Han Seungchul,Kang Hyunchu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1 No.7

        Streaming data processing is an area of interest with much research under way. There has been increasing attention on the demands for efficient processing of streaming data produced in the application areas such as monitoring and sensor network. We have developed a continuous query processing system for streaming data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in this paper. XML, the standard for data exchange on the web, is used as the model for the streaming data and the XQuery appended with a time interval is adopted as the query language for expressing con-tinuous queries. In the proposed system, the result is produced through background processing and materialized for reute in subsequent query processing. Through a detailed set of performance experiments, we sho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스트림 데이터 처리는 여러 응용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모니터링, 센서 네트워크 등의 응용 분야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대량의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연속 질의처리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스트림 데이터 모델로 웹상의 데이터 교환 표준으로 자리잡은 XML을 사용하였고 연속 질의는 XQuery에 시구간을 추가한 형태로 표현하였다. 제시된 시스템에서는 질의 처리의 성능 향상을 기하기 위해 질의 결과 값을 백그라운드 처리를 통해 생성하고 결과 값을 실체화하여 후속 질의의 결과 계산에 이용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서 XML 스트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시한 시스템의 타당성을 보였다.

      • KCI등재

        스페이서 테이프 생산을 위한 회전형 엠보싱 처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한승철(Han, Seung-Chul),김진호(Kim, Jin-Ho),이성규(Lee, Su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6

        최근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는 국가 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분야로 발전하고 있 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 생산을 위한 시스템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며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용 부품소재인 스페이서 테이프 생산을 위한 엠보싱 처리 시스템의 국산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시스템 향상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엠보싱처리 시스템의 국산화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한 스페이서 테이 프 생산을 위한 회전형 엠보싱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권출부, 성형부, 권치부, 세정부, 검사부로 구성된 다. 이 중, 성형부의 금형을 회전형 방식으로 설계하였고, 각 구성품들을 설계하고 시제작품을 제작하여 성능 실험을 하였다. 성능 실험은 삼차원 측정기를 통해 엠보싱 형상, 직경, 엠보싱 간격 및 반대편 엠보싱과의 거리를 측정하였 다. 오염물 검출 실험을 하기 위해, 검사부를 통해 첫 번째 샘플과 반복 생산한 후의 샘플에 대해 이물질 레벨을 측 정하였다. 그리고 샘플에 이물질을 부착한 후 세정부를 통해 샘플을 세정한 후의 이물질 개수를 측정하여 오염물 세 정 실험을 하였다. 또한, 시제작품에 의해 생산되는 스페이서 테이프의 생산성을 측정하였다. Recently, component materials for display are being developed into higher value-added industries which can strengthen 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However, a system for production of component materials for display is nearly depending on import, and its development level is inadequate. For this reason, localization of the embossing treatment system for production of the spacer tape and system improvement for increasing of productivity are need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rotary type embossing process system for spacer tape production for localization of system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e system consists of unwinding, forming, cleaning, winding and testing parts. The mold of forming part is designed to rotary type. And we designed each part and made a prototype to test its performance. We measured embossing shapes, diameter and distance between each embossing and opposite embossing using three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Also, we measured impurity level and the number of impurity particles of sample through the testing and cleaning part. Additionally, the productivity of spacer tape produced by the prototype is measured.

      • 수직 모바일 로봇을 위한 자석바퀴

        한승철(Seung-chul Han),김진호(Jinh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esign of the hybrid-magnet wheel to make possible the robot to be attached to vertical plane and be in motion. In newly suggested design, permanent magnet is utilized to enhance the adhesive force during attachment while electromagnet is introduced to reduce magnetic field and weaken the adhesive force for easier detachment. To characterize the performance, 3-D finite element analysis is executed using commercial FE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the adhesive force is reduced effectively by electromagnet.

      • 폐 타이어 고무 분말을 함유한 고무 컴파운드의 특성

        한승철(Seung-cheol Han),한민현(Min-hyeon Han),송미숙(Mi-sook Song) 한국자동차공학회 1998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강연초록집 Vol.- No.-

        폐 타이어로부터 상온분쇄법으로 제조된 가황고무 분말을 SBK(styrenebutadiene copolvmer) 고무조성물에 첨가하여 고무의 흐름 특성. 균열 특성, 마모 특성, 기계적 성질 등을 조사하였다. 가황고무 분말의 입자 크기 및 사용량이 이들 특성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원래는 입자 크기 분포가 넓은 분말들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여 첨가하였다. 인장 강도는 페고무분말의 첨가량과 입자 크기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열성장속도는 폐고무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입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마모된 표면으로 부터 측정된 패턴 간격은 각각의 고무조성물들의 Modulus 또는 마모 속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농작물 버팀 지지용 대 및 결속 장치

        한승철(Han, Seung-Chul),김진호(Kim, Jin-Ho),이만기(Lee, Man-Ki),이승진(Lee, Seung-Ch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농촌의 고령화로 인한 일손이 감소되고 있다. 반면 노인들의 일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농부들은 대량생산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일 효율의 문제에 있어서도 보완하기 위해 농작물을 보호하는 지지대와 집게에 대한 연구를 하려고 한다. 지지대의 강도는 바람의 세기보다 강하여 파손의 우려는 없지만 집게가 식물을 잡을 만큼의 힘을 가지 고 있지 않아서 형상설계 문제로 접근 하였다. 실제 지지대와 집게에 걸리는 하중을 구하고 시뮬레이션 값과 비교하여 시뮬 레이션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시뮬레이션의 신뢰성을 토대로 더 큰 힘을 버틸 수 있는 모델과 크기를 선택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0.1N에서 0.6N의 작용력이 작용하여도 1.29N의 작용력까지 버틸 수 있는 농작물 지지대를 설계하여 농작물 고정용 집게에 걸어 고정하게 됨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작물의 생육과 작물의 재해를 방지 및 예방,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rural population is aging and farmers need to aim for mass produ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work efficiency of clamping and protecting crops. Strong winds are a risk for damage, but there are no reports of studies of the geometric design problem for vegetation.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to obtain a load applied to the actual support and index was examined. The model was selected according to its strength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Also acts in force of 0.1N to 0.6N, which can withstand the force of 1.29N with the results of this thesis research. The fixed clamp fixing for agricultural crops designed as a support was examin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horten working hours, and improve the growth of crops and disaster preven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