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유의미한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탐색 : A지방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송이(Han Songie),황수정(Hwang Soo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지방 소재 A대학의 대학생이 인식하는 ‘유의미한 학습 경험’의 양상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대학의 교양 수업을 수강하는 42명의 학생이 대학 생활 과정에서 겪은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해 작성한 성찰적 에세이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질적 내용분석 방법인 문서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학생들은 ‘심층 학습과 전공 및 진로에 대한 확신’, ‘배운 내용과 실생활의 연결’, ‘스스로에 대한 이해와성찰 및 자기주도적 참여’, ‘전환’과 ‘성취’, ‘교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성장’을 유의미한 학습 경험으로 인식하였다. 본연구 결과는 유의미한 학습 경험에 대한 이론적 발달에 기여하며, 대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촉진할 수 있는대학 차원의 전략 마련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by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provincial area.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reflective essay written about the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of 42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lasses at A University was used as an analysis data. A document research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deep learning and confidence in their major and career’, ‘connection between what they learned and their real life’, ‘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and self-directed participation’, ‘transition’ and ‘achievement’, ‘growth through faculty-student interaction’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university-level strategies that can promote significant learning experiences for university students.

      •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위한 표준 성능평가

        한송이(Songi Han),이규웅(Kyu Wo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저장장치 전용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효율적인 저장장치 시스템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웹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빠른 확산으로 인해 컴퓨팅 중심의 저장장치에서 데이터 중심적인 저장장치 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제공 컨텐츠와 같은 웹 2.0의 수요 증가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와 네트워크 기반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 기반 응용 시스템들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기본 구조와 각 구성요소의 설계 내용을 기술하고,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의 독립적 지역 파일 시스템 및 기존 분산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성능평가를 보인다. 본 성능 평가를 위해 각 파일 시스템 상에 상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치하고 표준 DBMS 벤치마크 테스트를 수행하여 데이터 집중적인 저장장치 접근에 대한 성능평가를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세대별 사회문화적 특성 및 학업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정연희(Jeong, Younhee),한송이(Han, Songi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8 평생학습사회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perception of 3,297 students who attend Korea’s open university. The groups of students were classified by generation - the youth, middle-aged, and new-silver.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ifferences among the generations were statistically confirmed in terms of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academic perceptions. The youth generations with unstable socioeconomic status wanted to quickly earn a degree based on the instrumental perspectives. The middle-aged generations, who generally seek to maintain socioeconomic stability, perceived learning as an insurance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curing enough learning time. The new-silver generations, who are able to invest relatively sufficient time and tend to assign a greater value on learning, possessed an intrinsic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academic process itself. Additionally, they wanted to acquire advanced knowledge and manage their time in a valuable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ehicle not only for suggesting policy directions for open universities as an agent of lifelong learning, but also establishing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lifelong learning in a higher education setting.

      • KCI등재

        기부자의 비영리 모금단체의 촉진 활동에 대한 인식이 기부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브랜드 인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최상미(Sangmi Choi),한송이(Songi Ha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5 No.-

        변화하는 환경 하에서 비영리 조직들은 자원 확보를 위한 채널 다양화와 역량 강화를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비영리 모금단체의 촉진 활동 노력이 잠재 기부자의 모금단체에 대한 브랜드 인지 정도를 높이고 이를 매개로 기부 의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가정하고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본 연구가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집단으로 대학생 집단을 설정하고 연구 대상으로 한 것은 최근 젊은 세대일수록 자선에 대한 소극적인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비영리 조직에게 생존의 위기를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촉진 활동과 브랜드 인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기부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서울지역 대학생 28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이론 모델을 분석한 결과, 모금단체의 촉진 활동 노력에 대한 인지 정도는 모금 단체 대한 브랜드 인지를 매개로 향후 기부 의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금단체 마케팅 활동 중 촉진 노력이 젊은 세대들의 향후 기부 의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비영리 모금단체의 모금 확대를 위한 실증적 함의와 학문적 함의를 논한다. The increasingly uncertain environment requires nonprofits to make efforts for resource acquisition. This study hypothesizes and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rand awareness on the pathway from charities’ marketing efforts for promotion to the giving intentions to the char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tilizes data of 286 university students of Seoul, because the young generation’s attitudes to charities are essential to the survival of nonproft chariti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efforts for promo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giving intentions, mediated by brand awareness. These results imply that organizational marketing efforts for promotion among charities contribute to the giving intentions of future generations by improving their perception of the brand awareness. This study suggests the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from study findings.

      • KCI등재
      • KCI등재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대한 학생 인식 : 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실천적 개념과 관점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한송이(Han, Songie),곽은주(Kwak, Eun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관점에서‘성공적인 대학 생활’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 특성(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서울 지역 4개 대학에 재학하면서 능동적인‘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의 모습을 보인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적 자료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보다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깊은 인간관계 경험’,‘만족스러운 취업’,‘높은 학점’,‘폭넓은 인적 교류’,‘전공 지식 함양’,‘다양한 교내외 활동’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얽혀있는 양상을 보였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것끼리 집단화한 결과, 3개의 개념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은 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맥락에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대학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common features of students who are considered to have been successful at learning and college life from the student 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a successful college life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students. Samples include ninety-thre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ata from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successful school lives with related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to explore how these key words are structurally linked to each ot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ccess include various elements (key words) - ‘deep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 satisfied employment , higher GPA , an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 , ‘acquisi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 and a full palette of varied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high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divided into three clusters.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college life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대학 전공능력 측정 모델 개발 및 타당화 :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훈(Sanghoon Park),이재창(Jaechang Lee),한송이(Songie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 concept by considering the academic meaning of major abilit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odel for measuring major ability. Method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group interview, the concept of major ability was defined and the major ability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Second, after applying to actual classes,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surveys and FGI interview.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Results The detail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jor ability was defined as ‘knowledge or skills within the major that are observable and mobilized to solve microscopic problems as a part of major competency’. Second, an ABLE model(4 steps) was developed and validity was secured. Third, sub-elements of each stage of the ABLE model were established and validity was secur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s major ability were presen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전공능력에 대한 학술적 의미를 고찰하여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에 적합한 모델 및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있다. 방법 전공능력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전공능력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공능력 측정 모델을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을 통한 1차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수업 적용 및 적용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와 초점집단면접(FIG)을 통한 2차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여 최종 모델을 확정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능력을 ‘전공역량의 일부분으로서 겉으로 관찰가능하며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동원되는 전공 내 지식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전공능력 측정을 위한 ABLE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Ability), 전공능력 설정(Base), 전공능력 배양(cuLtivation), 전공능력 측정(Estimation)의 4단계가 대학의 전공능력을 설정하고 측정하기 위한 절차 및 방법으로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셋째, ABLE 모델의 각 단계별 하위요소를 설정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전공능력 도출 단계에서는 ‘내⋅외부 환경분석’, ‘산업전망 및 인력수급 현황 분석’, ‘주요 취업 분야 직무 분석’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설정 단계에서는 ‘전공능력 모델링(후보군 선정 및 분류)’, ‘전공능력의 정의 및 기술 내용’ 2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배양 단계에서는 ‘전공능력별 교과목 매칭’, ‘전공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내용 도출’, ‘전공교육과정 재구성’ 3개의 하위요소, 전공능력 측정 단계에서는 ‘수행평가’, ‘학생자가진단’ 2개의 하위요소가 최종 확정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전공능력 제고를 위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공동주택의 범죄예방환경디자인 적용 및 범죄불안감 관련특성분석

        박경옥(Kyoung-Ok Park),나유향(You-Hyang Na),박지현(Ji-Hyun Park),한송이(Songi Ha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1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gree of CPTED application by apartment complex size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of apartment complex residents’ fear of crime with application of CPTED, outdoor space uti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residents. Fifteen 5-year-old apartment complex in Cheongju, Chungbuk, were investigated based on checklist of CPTED guidelines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150 residents was conduc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analysis of variance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Regarding a degree of CPTED application, fifteen target apartment complexes were shown 60 percents of a total CPTED guidelines score. Items of landscaping got the highest percent, while outdoor piping got the lowest percent. 2) Residents felt more fear of crime at night than during day, in the elevator, and in underground parking lo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ear of crime according to social interaction among the resident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fear of crime based on utilizing their outdoor space in a promenade and landscaping zone during the day and at n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