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증법의 아포리아를 넘어 -헤겔, 맑스, 아도르노 그리고 부정성의 생산성-

        한상원 ( Sangwon Ha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2

        본 논문은 헤겔, 맑스, 아도르노의 변증법적 사유에서 부정성 개념의 의미를 고찰하여 변증법의 아포리아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변증법의 아포리아란 변증법적 사유체계가 긍정적 세계관으로 전도됨으로써 스스로 비변증법적 변증법으로 퇴보했던 역사적 경험을 의미한다. 헤겔, 맑스, 아도르노의 변증법에 대한 재해석과 재구성을 통해 우리는 이러한 변증법의 아포리아의 극복이 부정사유를 변증법의 핵심으로 복원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될 것이다. 이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시도를 통해 또한 헤겔과 아도르노에 대한 기존의 선입견, 그리고 맑스의 변증법에 대한 통념을 극복하는 것 역시 본 논문의 과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변증법은 고정된 도식으로 세계를 축소하는 입장철학과 무관하며, 비판적 사유의 활동임이 증명될 것이다. Der vorliegende Aufsatz zielt darauf, dass die Aporie der Dialektik aufgelost wird, indem die Bedeutung des Negativitatsbegriffs in dialektischen Gedanken von Hegel, Marx und Adorno aufgefasst wird. Die Aporie der Dialektik betrifft dabei die geschichtliche Erfahrung, dass das dialektische Denksystem zu einer positiven Weltanschauung verkehrt und aus diesem Grund zur undialektischen Dialektik deformiert wurde. Durch die Reinterpretation und Rekonstruktion der Dialektik von Hegel, Marx und Adorno wird begriffen, dass sich die Auflosung jener Aporie ermoglichen lasst, indem das Negativitatsdenken als Kern der Dialektik rehabilitiert wird. Dadurch wird nachgewiesen, dass die Dialektik letzten Endes nichts zu tun hat mit der Standpunktphilosophie, die die Welt auf fixierte Schemata reduziert, sondern eine Tatigkeit des Denkens ist.

      • KCI등재

        아도르노의 부정주의적 도덕철학 - 상처받은 삶과 정의로운 실천의 가능성

        한상원 ( Han Sangwon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8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7 No.-

        Das Ziel des vorliegenden Artikels besteht darin, die Möglichkeit der richtigen Praxis im falschen Zustand dadurch zu erwägen, Adornos negativistische Moralphilosophie in ihrer Konstellation der Debatten zwischen Kant, Hegel und Nietzsche zu betrachten. Adorno sieht das Problem der Kausalität aus der Freiheit, das von Kant gestellt wurde, als das Grundproblem der Moralphilosophie. Kant aber nähte es auf der unvollständigen Weise zusammen, was dann heftige Kritiken von Hegel und Nietzsche hervorbrachte. Adorno zufolge hat die Moral nun trotz ihrer Abstraktheit eine unumgängliche Potenzialität, d. h. sie stelle Motive zur Kritik der Gesellschaft zur Verfugung. Von daher ubernimmt er die Fragestellungen Kants uber die richtige Praxis, doch schließt gleichzeitig an die Reflexionen uber die objektiven gesellschaftlichen Ordnungen als die Möglichkeitsbedingung fur die Praktiken an, und dadurch stellt er die Frage nach dem Verhältnis zwischen Moral und Politik. In diesem Zusammenhang versucht Adorno durch die Frage nach der Moral im unmoralen Zustand die vorhandene Gesellschaft zu kritisieren und sucht damit auf der Richtung gegen unmorale Realität des Seins die Bedeutung des Pathos vom moralischen Sollen.

      • KCI등재

        논문 : 미메시스 -인식론적, 미학적, 정치철학적 고찰-

        한상원 ( Sangwon Ha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6 시대와 철학 Vol.27 No.1

        본 논문은 미메시스 개념의 인식론적, 미학적, 정치철학적 함축의 상호연관이 어떻게 드러나는가 하는 것을 플라톤에서 아도르노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이한 철학적 관심들(인식론, 미학, 정치철학)을 횡단하는 독특한 개념으로서 미메시스가 조명될 것이다. 특히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미메시스 개념이 현대적 배경에서 어떻게 이 세 영역에서 발전되는지 알아볼 것이다. 우리는 이를 통해 미메시스 개념이 제기하는 ``닮아감``의 문제설정과 조우한다. 인식은 대상을 소유하는 것인가, 아니면 대상과 닮아가는 것인가. 예술이란 세계와 무관한 것인가, 아니면 세계를 단순히 모방하는가, 아니면 세계의 부정성을 닮아감으로써 거꾸로 세계 자체의 변화를 호소하는가. 훌륭한 방식의 집단성은 강자와 닮아가며 집단 속에 안정감을 누리는것인가, 아니면 타인의 고통과 연대하는 것인가. 이것이 인식론, 미학, 정치철학을 횡단하며 미메시스 개념이 제기하는 물음이다. 이러한 미메시스에 대한 성찰은 따라서 닮아감의 관계를 점차 상실해가는 현대 사회에서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하겠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consists in the laying out, how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pistemological, aesthetical and political-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mimesis concept come into view. Thereby the mimesis is spotlighted as an unique concept that traverses different philosophical interests (epistemology, aesthetics and political philosophy). Especially Adorno will give us the perspective how the notion of Mimesis is developed in these three dimensions. We encounter as a result the problematique of the likeness. Eventually it is essential to say that this philosophical reflection of the mimesis has thus it`s importance after all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the relation of the likeness disappears.

      • KCI우수등재

        아도르노와 반지성주의에 관한 성찰

        한상원(Sangwon Han)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5

        본 논문은 진리와 비진리가 구분되지 않는 오늘날의 ‘탈-사실’과 ‘페이크 뉴스’의 시대, 과연 어떠한 지성과 계몽의 역할이 필요한지, 이를 통해 어떠한 민주주의적 정치공동체와 대중지성의 상관성이 필요한지를 논하기 위해아도르노의 반지성주의 비판을 분석한다. 이 글은 근대적 계몽 기획이 어째서 반지성주의라는 역설적 귀결로 전도되었는가를 고찰하며, 이러한 반지성주의가 어째서 민주주의의 위협이 되는가, 대중지성의 창출을 위한 지식인의 역할은 무엇인가를 검토한다. 지식인의 역할은 민주적 정치공동체의 창출조건인 사회의 지성화, 그리고 대중의 주권자로서 주체화 과정을 위한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는 일이다. 이 글은 반지성주의 비판이 바로 그러한 대중지성과 이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 이 매개자로서의 지식인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라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inquires into which role of the enlightenment is needed in the epoch of the ‘post-truth’ and ‘fake news’. From this eff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y and the public intellect will be discussed. For this discussion, it will be analysed why the modern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was inverted to the paradoxical result of the anti-intellectualism, by adopting Adorno’s critique of it. From this view, it will be insisted that the critique of the anti-intellectualism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which the intellectuals as ‘vanishing mediators’ should implement for the collective intell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democracy which relies on it.

      • KCI우수등재

        규정적 부정과 내재적 비판

        한상원(Sangwon Ha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이 글은 아직까지 국내에서 시도되지 않은, 헤겔과 아도르노를 비판적 방법론과 관련하여 연결짓는 해석을 시도한다. 헤겔과 아도르노는 공통적으로 내재적 비판의 방법을 내세운다. 이러한 비판적 방법론은 변증법적 부정성 모델인 규정적 부정을 비판적 방법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헤겔과 아도르노 양자의 비판적 방법론을 추적하며, 이 두 철학자의 변증법이 어떠한 친밀성과 상이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헤겔의 부정성 개념이 어떻게 내재적 비판으로 이어지는지를 살펴본 뒤에, 이 때 사용된 부정성 개념이 갖는 함의가 논의될 것이다. 또한 아도르노의 비판적 방법론의 특징으로 내재적 자기초월의 이념이 제시될 것이며, 이러한 방법론은 아도르노가 헤겔적 부정 개념을 고유한 방식으로 비판적으로 계승함으로써 이뤄진 것이라는 사실이 논증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변증법적 부정성이 단지 형이상학적 사변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사회를 외부적 관점이 아닌 내재적인 방식으로 비판하고 이를 통해 그 현재적 형태의 극복을 요구하는 이론적 모델을 위한 철학적 사유임이 논증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홉스와 ‘계몽의 변증법’: 절대주권과 자기보존의 역설

        한상원(Sangwon Han)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7

        본 논문은 홉스를 통해서 보는 근대 사회에서의 계몽의 변증법을 다룬다. 그 출발점은 자기보존을 위한 자발적 복종이 근대적 주체의 특징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신자유주의로 인한 사회의 해체와 무한경쟁의 도입 이후 오히려 민족적 동일성을 요구하는, 새로운 권위주의를 뒷받침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역설은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가 『계몽의 변증법』에서 분석한 자기보존과 자기부정 사이의 역설적 관계에 상응한다. 이를 밝혀 내기 위해 이 글은 홉스의 『리바이어던』이 보여주는 자기보존의 역설적 특징을 분석하며, 이로부터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의 『계몽의 변증법』이 진단하는 자기보존의 역설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로부터 ‘자발적 복종’과 ‘자기규율’의 원칙을 넘어서는 새로운 자기보존과 주체화를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즉 이 글은 홉스적 자연상태의 현실태인 현재의 경쟁적 사회의 논리에서 벗어나, 보편적 연대가 실현될 수 있는 새로운 사회관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in modern society which might be seen through Hobbes. The starting point is the fact that voluntary obedience for self-preservation has become a main character of the modern subject.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oday, after the dissolution of social bonds due to neo-liberalism and the arrival of infinite competition, there is a growing voice in support of the new authoritarianism, which demands national identity. This paradox corresponds to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rvation and self-denial that Adorno and Horkheimer analyzed in The Dialectic of Enlightenment. To disclose this, this article analyzes the paradoxical features of self-preservation shown by Hobbs’ Leviathan and tries to read the paradox of self-preservation diagnosed by Adorno and Horkheimer’s Dialectic of Enlightenment. From this,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seek new self-preservation and subjectification beyond the principles of “voluntary obedience” and “self-discipline”.

      • KCI등재

        공통감각과 메텍시스 -칸트, 랑시에르, 아도르노에게서 ‘도래할’ 공동체의 원리

        한상원 ( Han Sangw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칸트, 랑시에르, 아도르노의 고찰들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적 파편화와 사회 해체 이후 필요한 공동체적 관계의 원리에 관한 사유를 논하고자 한다. 칸트는 그의 공통감각 개념을 통해, 공동체가 전제하는 공통성이 공통의 감각적, 정서적 유사성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는 그러한 공통성을 가능케 하는 특정한 방식의 시공간의 구조적 분할과 배치를 전제한다. 이로부터 랑시에르는 칸트가 전제하는 이러한 공통성의 구조가 중립적인 합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 분할과 재분할의 과정을 둘러싼, 배제와 참여의 갈등 속에 전개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끝으로 아도르노는 이러한 정치적 공동체의 형성과정 속에서 미메시스적 연대의 형태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탈억압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짜임관계의 형성은 이러한 원리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혈연적 동질성이나 지역적 테두리에서 형성되는 전통적 공동체와 구분되는 현대적 방식의 공동체성의 형성조건과 그 사회·정치철학적 함의들에 관해 논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oughts on the principle of communitarian relations which is needed after neoliberal destruction of the society. In this purpose, this article relies on reflections of Kant, Rancière and Adorno. Through his concept of common sense, Kant shows that ‘the common’ which is presupposed in a community must be based on the sensual, affectional similarity. From this point of view, Rancière concluded that this structure of the common which Kant assumes is not constituted by neutral consensus, but spreads out in conflicts between exclusion and participation. At last, Adorno tries to discover the forms of mimetic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political community. According to him, the formation of constellation which means non-repressive 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can be accomplished by principle. Based on this discussion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y in modern way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상품과 알레고리 - 맑스와 벤야민의 환등상 개념

        한상원 ( Han Sangw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6 도시인문학연구 Vol.8 No.2

        벤야민이 그의 19세기 파리의 파사주 연구에서 맑스의 상품물신주의 개념을 차용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두 이론가를 비교하려는 시도는 물론, 벤야민을 직접 맑스로 소급해 이해하려는 시도 역시 찾아보기 매우 힘들다. 본 논문이 밝혀내려는 것은 상품물신의 두 이론들은 공통적으로, 경제적 합리성에 기반을 둔현대 사회가 바로 그 합리성의 논리에 따라 비합리성으로 전도된다는 변증법적 역설을 고찰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 속에서 본 논문은 맑스와 벤야민 사이의 상이한 서술수준을 넘어선 이론적 대화를 시도한다. 맑스는 상품의 가치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추상적 관계들의 전도된 형식들을 유령적 대상성과 물신주의, 환등상적 형식 등의 표현으로 담아냈다. 벤야민은 이러한 범주들이 구체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경험, 지각되는 방식을 이론화한다. 이를 통해 벤야민은 자본주의가 숭배의 기능을 갖는 종교적 체제라는 자신의 초기신학적 구상과 맑스의 이론적 고찰을 연결시킨다. 파사주 프로젝트는 역사적으로 19세기에 출현한 환등상의 경제체제와 그 시대의 일상적 생활영역에 대한 탐구 속에서 합리적 경제체제의 비합리적, 신화적 요소로의 전도가능성을 살펴보려는 시도였다. 이러한 연구를 추적하면서 우리는 벤야민에 의해 수행된, 보들레르와 초현실주의 등 현대 예술사조와 맑스 이론의 접목가능성 역시 살펴보게 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연구는 21세기 오늘날의 현 시대를 특징짓는 감각적이고 초감각적인 현상들과 그 경험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widely known that Benjamin borrowed Marx’s notion of commodity fetishism in his study of the Paris arcades in 19th century. However, it is very hard to find the attempts not only to compare both thinkers, but also to understand Benjamin recurring directly to Marx. What this article now tries to discover is that these two theories of comodity fetish commonly consider the dialectical paradox that the modern society which based on the economic rationality is revered into the irrationality, as the very consequence of its rational logic. This article attempts to bild a theoretical conversation between Marx and Benjamin beyond their different levels of the discriptions. Marx grasped the inverted forms of abstract social relations which come out during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value with expressions of spectral objectivity, fetishism and phantasmagoric form. Benjamin theorized now the way of how these categories are experienced and perceived in a concrete historical situation. He connected thereby his early theological conception of the capitalism as a religious system which has a function of the cult with Marx’s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Arcaeds Project was an attempt to search the physiognomy of the inversion of the rational economic system into the irrational, mythical elements, studying economical system of the phantasmagoria and the everyday life sphere in it. Tracing such studies, we will search the possiblity of binding the modern art like Baudelaire and surrealism with Marx’s theory, what Benjamin diligently tried to do.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ble to function as a preparation proces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s about sensory and extrasensory phenomena and their experiences which characterize the contemporary society in 21st century.

      • 0.18 ㎛ CMOS 저 잡음 LDO 레귤레이터

        한상원(Sangwon Han),김종식(Jongsik Kim),원광호(Kwang-Ho Won),신현철(Hyunchol Shin) 대한전자공학회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6 No.6

        본 논문은 CMOS RFIC 단일 칩을 위한 Bandgap Voltage Reference와 이를 포함한 저 잡음 Low Dropout (LDO) Regulator 회로에 관한 것 이다. 저 잡음을 위해 Bandgap Voltage Reference에 사용된 BJT 다이오드의 유효면적을 증가시켜야 함을 LDO의 잡음해석을 통해 나타내었다. 이를 위해 다이오드를 직렬 연결하여 실리콘의 실제면적은 최소화 하면서 다이오드의 유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LDO의 출력잡음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0.18 ㎛ CMOS 공정으로 제작된 LDO는 입력전압이 2.2 V 에서 5 V 일때 1.8 V의 출력전압에서 최대 90 ㎃의 전류를 내보낼 수 있다. 측정 결과 Line regulation은 0.04 %/V 이고 Load regulation은 0.46 %를 얻었으며 출력 잡음 레벨은 100 ㎐와 1 ㎑ offset에서 각각 479 nV/√㎐와 186 nV/√㎐의 우수한 성능을 얻었다. This paper presents a low-noise low-dropout linear regulator that is suitable for on-chip integration with RF transceiver ICs. In the bandgap reference, a stacked diode structure is adopted for saving silicon area as well as maintaining low output noise characteristic. Theoretical analysis for supporting the approach is also described. The linear regulator is fabricated in 0.18 ㎛ CMOS process. It operates with an input voltage range of 2.2 V - 5 V and provide the output voltage of 1.8 V and the output current up to 90 ㎃. The measured line and load regulation is 0.04 %/V and 0.46 %, respectively. The output noise voltage is measured to be 479 ㎵/√㎐ and 186 ㎵/√㎐ from 100 ㎐ and 1 ㎑ offset,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