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목의 수분특성에 관한 생리 , 생태학적 해석 (11) - 낙엽 활엽수 21종의 분지부의 수분통도성 비교 -

        한상섭,김선희,이명종 ( Sang Sup Han,Sun Hee Kim,Myong Jong Yi )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conductivity such as relative conductivity(RC),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Huber value(HV), specific conductivity(SC), and diameter of vessels(㎛) and number of vessels(No./㎟) in branch junctions of the twenty-one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branch junctions decreased with increasing junction angle between stem and branch, and with decreasing diameter of branch. The RC and LSC of branch junctions related to branching types( ㅏ , Y, Ψ type) were much lower in ㅏ and Ψ types than in Y type. The diameter and number of vessels remarkably reduced in branch junctions as compared with the stem and branch.

      • KCI등재

        Studies on Chara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Kangwon Province (II). Constructive and Maintenance Respiration as Related to Growth of Saplings

        한상섭,장준근,김선희,Han, Sang Sup,Chang, Chun Geun,Kim, Sun Hee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9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3 No.2

        소나무 유령목(幼齡木)의 생장(生長)에 따른 기관별(器官別) 호흡속도(呼吸速度)를 적외선(赤外線) $CO_2$ 가스 분석기(分析機)로 측정(測定)하여, 이 기초자료(基礎資料)를 Thornley의 생장식(生長式) $$R=(\frac{1-Yg}{Yg})\frac{dW}{dt}+mW$$에 적용(適用), 구성호흡(構成呼吸)에 관계되는 물질전환효율(物質轉換效率)(Yg), 유지호흡계수(維持呼吸係數)(m), 그리고 상대생장속도(相對生長速度)(${\mu}$)를 추정(推定)하였다. 물질전환효율(物質轉換效率) Yg는 0.3637g/g dw/yr, 유지호흡계수(維持呼吸係數) m는 0.094g/g dw/yr, 그리고 상대생장속도(相對生長速度) ${\mu}$는 0.90(2년생(年生))에서 0.33(11년생(年生))까지 연령(年齡) 증가(增加)에 따라 현저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소나무 유령목(幼齡木)의 총광합성량(總光合成量)(Pg)에 대한 총호흡량(總呼吸量)(R)의 비율(比率)(R/Pg)은 0.6~0.7 이었으며, 년간(年間) Pg의 64%가 새로운 물질(物質)을 구성(構成)하는 구성호흡(構成呼吸)으로 소비(消費)되었고, 체중(體重)(건물중(乾物重))의 3.4%가 유지호흡(維持呼吸)으로 소비(消費)되었다. Respitation and growth rates of leaves, branches, stems and roots of 2 to 11-yr-old red pine trees(Pinus densiflora) were examined and applied to Thornley's growth equation, $$R=(\frac{1-Yg}{Yg})\frac{dW}{dt}+mW$$.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substrates(Yg), maintenance respiration coefficients(m), relative growth rates(${\mu}$) were estimated. The efficiency of conversion of substrates (Yg) was 0.3637g/g dw/yr and the maintenance respiration coefficient(m0 was 0.094g/g dw/yr. The relative growth rate(${\mu}$) was remarkably reduced with age from 0.90(2-year-old) to 0.33:11 year-old). The Ratio of gross respiration(R) per gross photosynthesis(Pg), R/Pg showed the range of 0.6~0.7 and annually 64% of Pg was spent for constructive respiration. The 3.4% of dry weight of whole tree was spent for maintenance respiration.

      • KCI등재

        광, 온도, 수분 변화에 따른 음나무 엽의 생리반응(IV) - P-V 곡선에 의한 잎의 수분특성 -

        한상섭,전두식,심주석,전성렬,Han, Sang-Sup,Jeon, Doo-Sik,Sim, Joo-Suk,Jeon, Seong-Ryeol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06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2 No.-

        P-V곡선에 의한 음나무 묘목 상층엽의 수분특성을 측정하였다. 음나무 잎의 최대팽압시의 삼투포텐셜은 -1.44 MPa 이었고,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삼투포텐셜은 -1.84 MPa, 초기원형질분리점의 상대함수율은 78.2%였다. Water relations of Kalopanax pictus leaves obtained from the P-V curve. In the upper leaves of Kalopanax pictus seedlings, the original osmotic pressure at maximum turgor was -1.44 MPa, and the osmotic pressure at incipient plasmolysis point was -1.84 MPa, and the relative water content at incipient plasmolysis point was 78.2%.

      • KCI등재

        수목(壽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XI) -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의 분지부(分枝部)의 수분통도성(水分通道性) 비교(比較) -

        한상섭,김선희,이명종,Han, Sang Sup,Kim, Sun Hee,Yi, Myong Jong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2

        이 연구(硏究)는 우리 나라 주요(主要)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에 대하여 분지부(分枝部)(branch junctions)의 상대수분통도성(相對水分通導性)(relative conductivity, RC),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Huber value(HV), specific conductivity(SC) 등의 수분통도성(水分通道性)(hydraulic conductivity, HC), 그리고 변재부(邊材部)의 평균(平均) 도관직경(導管直經)(${\mu}m$)과 도관수(導管數)($No./mm^2$) 등을 측정(測定)하여 분지부(分枝部)의 수분통도(水分通道) 특성(特性)과 통도조직(通導組織) 특성(特性)을 종수별(樹種別)로 비교(比較)하였다. 분지부(分枝部)의 수분통도성(水分通道性)은 분기각(分技角)이 클수록 또한 분지(分技)된 가지의 직경(直經)이 작을수록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분지형(分技型)(ㅏ, Y, ${\Psi}$형(型))에 따른 분지부(分技部)의 수분통도성(水分通道性)은 Y형(型)보다는 ㅏ형(型)과 ${\Psi}$형(型)의 분지부(分技部)에서 더 작아졌다. 분지부(分技部)에 있어서 도관직경(導管直經)과 도관수(導管數)는 분지형(分技型)이나 분기각(分技角) 등의 분지형태(分技形態)에 따라 값의 차이가 있으나 인접한 줄기와 가지에 비하여 현저히 작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conductivity such as relative conductivity(RC),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Huber value(HV), specific conductivity(SC), and diameter of vessels(${\mu}m$) and number of vessels($No./mm^2$) in branch junctions of the twenty-one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The hydraulic conductivities of branch junctions decreased with increasing junction angle between stem and branch, and with decreasing diameter of branch. The RC and LSC of branch junctions related to branching types(ㅏ, Y, ${\Psi}$ type) were much lower in ㅏ and ${\Psi}$ types than in Y type. The diameter and number of vessels remarkably reduced in branch junctions as compared with the stem and branch.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II) -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에 있어서 Shoot Water Potential의 일변화(日變化) 및 Xylem Conductivity의 특성(特性) -

        한상섭,전두식,Han, Sang Sup,Jeon, Doo Sik 한국산림과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3 No.1

        본(本) 연구(硏究)는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에 대하여 Shoot water potential의 일변화(日變化) 및 지(枝)의 Xylem conductivity의 특성(特性)을 측정고찰(測定考察)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hoot water potential은 광도(光度)의 크기에 따라 변화(變化)하며, 광도(光度)의 감소(減少)가 시작된지 2시간(時間) 늦게 Shoot water potential의 증가(增加)가 시작되었다. 2) 지엽(枝葉)의 일중(日中) 최대수분(最大水分) 결차(缺差)는 12시(時)부터 14시(時) 사이에 일어나며, 그 값의 크기는 일본잎갈나무 -22 bar, 잣나무 -18 bar, 소나무 -15 bar, 젓나무 -14 bar, 리기다소나무 -10 bar 정도였다. 3) 수고(樹高) 1 m 당(當) 지엽(枝葉)의 수분결차(水分缺差)의 크기를 경사도(傾斜度)(${\varphi}_L/m$)로 나타내면 잣나무 -1.7 bar/m, 일본잎갈나무 -2.1 bar/m였다. 4) 지(枝)의 Relative Xylem conductivity (K, $cm^2/hr{\cdot}atm$)의 평균치(平均値)는 일본잎갈나무 2878, 리기다소나무 2763, 소나무 2652, 잣나무 2113 이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urnal changes of shoot water potent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xylem conductivity of branch in several conifer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diurnal shoot water potentials fluctuated with the sunlight intensities, and increase in shoot water potential lagged behind two hours as compared with the time of sunlight decrease in tree crown. 2) The shoot water potential reached the daily maximum ai twelve to fourteen o'clock in the afternoon, and the maximum shoot water potentials were -22 bar in Larix leptolepis, -18 bar in Pinus koraiensis, -15 bar in Pinus densiflora, -14 bar in Abies holophylla, and -10 in Pinus rigida. 3) The average gradient of shoot water potential per one meter height (${\varphi}_L/m$) in tree crown was -1.7 bar/m in Pinus koraiensis while that of Larix leptolepis was -2.1 bar/m. 4) The average of relative xylem conductivities (K, $cm^2/hr{\cdot}atm$) in branches was 2878 in Larix leptolepis, 2763 in Pinus rigida, 2652 in Pinus densiflora, and 2113 in Pinus koraiensis.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IV) -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에 있어서 Leaf Conductance와 Water Potential,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 팽압(膨壓)과의 관계(關係) -

        한상섭,전두식,Han, Sang Sup,Jeon, Doo Sik 한국산림과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3 No.1

        본연구(本硏究)는 몇 종(種)의 침엽수(針葉樹)의 지엽(枝葉)에 있어서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얻은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와 기공폐쇄작용(氣孔閉?作用)과의 관계(關係)를 측정고찰(測定考察)한 것으로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해 구(求)한 초기원형질리점(初期原形質離點)의 water potential 값과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點)의 water potential 값은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2) 완전기공폐쇄점(完全氣孔閉?)는 잣나무 -21 bar(음엽(陰葉) -17 bar), 리기다 -20 bar, 소나무 -22 bar, 일본잎갈나무 -24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85%(음엽(陰葉) 82%), 리기다 77%, 소나무 85%, 일본잎갈나무 70% 전후(前後)에서 완전기공폐쇄(完全氣孔閉?)가 일어났다. 3.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는 잣나무 -14 bar(음엽(陰葉) -12 bar), 리기다 -10 bar, 소나무 -15 bar, 일본잎갈나무 -6 bar 전후(前後)에서 일어났다.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로 나타내면 잣나무 90%, 리기다 93%, 소나무 90% 일본잎갈나무 93% 전후(前後)에서 초기기공폐쇄(初期氣孔閉?)가 일어났다. 4. leaf conductance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증가(增加)하며,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팽압(膨壓)은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 betwee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and stomatal closur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water potential at incipient plasmolysis obtained from P-V curves was similar to the water potential at critical stomatal closure. 2) The critical stomatal closure of sun leaves appear at -21 bar (-17 bar, shade leaves) in Pinus koraiensis, -20 bar in Pinus rigida, -22 bar in Pinus densiflora, and -24 bar in Larix leptolepis. On a relative water content basis, the critical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85% (82%, shade leaves) in Pinus kordiensis, 77% in Pinus ragida, 85% in Pinus densiflora, and 70% in Larix leptolepis. 3) The incipient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14 bar (-12 bar, shade leaves) in Pinus koraiensis, -10 bar in Pinus rigida, -15 bar in Pinus densiflora, and -6 bar in Larix leptolepis. On a relative water content basis, the incipient stomatal closures of sun leaves appear at 90% in Pinus koraiensis, 93% in Pinus rigida, 90% in Pinus densiflora, and 93% in Larix leptolepis. 4) The leaf conductance was increased by increase in volume-averaged turgor pressure was linearly increased by increase in relative water content.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VI). P-V 곡선법(曲線法)에 의한 활엽수(闊葉樹) 20종(種)의 내건성(耐乾性) 진단(診斷)

        한상섭,Han, Sang Sup 한국산림과학회 199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0 No.2

        P-V 곡선법(曲線法)을 적용(適用)하여 20종(種)의 낙엽활엽수(落葉闊葉樹)에 대한 내건성진단(耐乾性診斷)을 하였다. 엽(葉)의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 중 내건성판별(耐乾性判別)에 적합(適合)한 인자(因子)는 최대포수시(最大飽水時)의 삼투(?透)포텐셜 (${\Psi}_0{^{sat}}$),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의 삼투(?透)포텐셜(${\Psi}_0{^{tlp}}$), 세포막(細胞膜)의 최대탄성계수(最大彈性係數)($E_{max}$), 초기원형질분리점(初期原形質分離點)의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RWC^{tlp}$)였으며, 그 밖에 상대함수율(相對含水率)(FWC)와 워터포텐셜(${\Psi}_L$)과의 관계, 팽압(膨壓)($P_{vat}$)과 ${\Psi}_L$과의 관계, H$\ddot{o}$fler diagram등의 그림을 내건성진단(耐乾性診斷)에 사용하였다. 이와같은 수분특성인자(水分特性因子)로 고찰(考察)할 때 물푸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현사시등은 비교적 내건성(耐乾性)이 높은 수종(樹種)으로, 들메나무, 자작나무, 이태리포플러, 음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 산벚나무, 개벚나무, 층층나무등은 비교적 내건성(耐乾性)이 약(弱)한 수종(樹種)으로, 그리고 신갈나무, 고로쇠, 복자기, 당단풍, 느릅나무, 느티나무등은 중간(中間) 수종(樹種)으로 판별(判別)되었다.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drought tolerance of twenty broad-leaved tree species by the pressure-volume(P-V) curves. As for the diagnosis of drought tolerance, the valuabl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btained from P-V curves are the osmotic potential at full turgor, ${\Psi}_0{^{sat}}$, osmotic potential at incipient plasmolysis, ${\Psi}_0{^{tlp}}$, maximum bulk modulus of elasticity, $E_{max}$, and relative water content at incipient plasmolysis, $RWC^{tlp}$. Also, the figure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drought tolerance are the free water content (FWC) versus leaf water potential(${\Psi}_L$), volume-averaged turgor pressure ($P_{vat}$) versus leaf water potential (${\Psi}_L$), and H$\ddot{o}$fler diagram. In this study, the relatively high drought tolerant species are Fraxinus rhynchophylla, Quercus acutissima,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a, and Populus alba${\times}$glandulosa ; the relatively low drought tolerant species are Fraxinus mandshuric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Populus euramericana, Kalopanax pictum, Carpinus loxiflora, Carpinus cordata, Prunus sargentii, Prunus leveilleana, and Cornus controversa ; medium species are Quercus mongolica, Acer mono, Acer triflorum, Acer pseudo-sieboldianum, Ulmus davidiana, and Zelkova serrata.

      • KCI등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Korean White Pine Forest (I)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Water Stress on Photosynthesis and Dark Respiration Rates of Leaves

        한상섭,Han, Sang Sup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8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55 No.1

        본 연구(硏究)는 잣나무림(林)의 일차(一次) 생산력(生産力)을 알기위한 것으로, 엽(葉)의 온도(溫度) 광도(光度) 수분결핍(水分缺乏) 등이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및 호흡속도(呼吸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측정(測定) 보고(報告)한다. 1) 광포화(光飽和)는 40Klwx 전후에서 일어나며 광보상점(光補償点)은 l.0~1.3Klwx 임을 알았다. 2) 당년엽(當年葉)의 광합성(光合成) 속도(速度)가 가장 높고 엽령(葉令)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減少)했다. 3) 온도반응(溫度反應)에 따른 호흡속도(呼吸速度)는 2월엽(月葉)이 8월엽(月葉)보다 2배(倍)정도 높았고, 양자(兩者) 모두 $17^{\circ}C$ 이하에서 심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4) 광합성(光合成) 속도(速度)는 약 -10bar에서 감소(減少)가 시작되며 약 -24bar에서 0으로 되었다. 호흡속도(呼吸速度)는 약 -5 bar에서 감소(減少)가 시작 -24bar에서 43% 정도 감소했다. 5) 광합성(光合成)에 관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8월 엽(葉)에서 $23{\sim}26^{\circ}C$, 2월엽(月葉)에서 $15{\sim}18^{\circ}C$를 나타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light and water deficit on apparent phytosynthesis rate (Pn) and dark respiration rate(Rd) of leaves in the series of studies dealing with primary productivity of korean white pine fores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light saturation for Pn occured at about 40 Klux, and light compensation at 1.0 to 1.3 Klux. 2. The Pn of current leaves was highest, and Pn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af age. 3. The Rd on the response of temperature in February was about two times value in all of the temperature ranges as compared with the ones in August. 4. The incipient water stress, above which Pn and Rd declined from 100%, was different for Pn(-10bar). The high water stress required to reduce Pn to nearly 0%, at -24 bar, but Rd was only 43% at -24 bar. 5.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for Pn showed about 15 to $18^{\circ}C$ in February and 23 to $26^{\circ}C$ in August.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關)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VIII) - 신갈나무의 수분통도성(水分通導性) 구조(構造) -

        한상섭,김선희,Han, Sang Sup,Kim, Sun Hee 한국산림과학회 199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5 No.1

        본 연구는 우리 나라 대표적인 향토수종의 하나인 신갈나무의 수분 생리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로서, 줄기, 가지, 분지부분, 그리고 정단부 1년생 소지에 있어서 상대수분통도성,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Huber value, Specific conductivity, 부위별 평균도관직경, 단위면적당 도관수 등을 측정하여 수체내 수분통도성의 공간적 배치구조(Hydraulic architecture)를 비교 고찰하였다. 1. 신갈나무의 상대수분통도성은 줄기에서 $2.5526{\times}10^{-12}{\sim}1.2260{\times}10^{-10}m^2$, 가지에서 $1.6279{\times}10^{-11}{\sim}6.8378{\times}10^{-11}m^2$의 범위로 나타냈다. 상대수분통도성은 줄기와 가지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큰 값을 나타냈다. 정단부 1년생 소지에 있어서는 주지가 측지보다 평균 2배 이상 큰 값을 나타냈다. 2. LSC는 줄기 하부에서 작은 값을 나타냈고, 상부로 갈수록 큰 값을 나타냈다. 그리고 줄기가 가지보다 월등히 큰 값을 보였으며, 분지부분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3. 분지부분의 수분통도성값은 분지형태(ㅏ형과 Y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ㅏ형의 분지부분에서는 상대수분통도성, LSC, Specific conductivity, 평균도관직경 등이 줄기가 가지 보다 2 배 이상 큰 값을 나타냈고, Y형에서는 1~1.5배 더 컸다. 4. 줄기의 LSC, Specific conductivity, Huber value는 직경이 작아질수록 증가하였다. 5. 정단부 1년생 소지에 있어서 LSC, Huber value, 평균도관직경은 주지가 측지보다 큰 값을 나타냈다. 6. 줄기의 부위별 평균도관직경은 줄기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감소한 반면, 단위면적당 도관수($mm^{-2}$)는 많아졌다. 줄기에 있어서 도관직경은 직경이 작아질수록 조재부에서 급격하게, 만재부에서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architecture such as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Huber value, Specific conductivity of the stem, branch and Junctions of stem-to-branch in Quercus mongolica trees. The hydraulic architecture of various hydraulic conductivities of stem and branch was describ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ange of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was $2.5526{\times}10^{-12}$ to $1.2260{\times}10^{-10}m^2$ in stems, $1.6279{\times}10^{-11}$ to $6.8378{\times}10^{-11}m^2$ in branches.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ies increased with decreasing diameter of stem and branch. Th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of one-year-old terminal shoots were two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lateral shoots. 2. LSC value was larger at the top than at the base in stem. LSC is much smaller in branches than in stem ; especially smallest at branching part. 3. Hydraulic conductivities of the branching part appeared the different values with the 4 type and 4 type. Relative hydraulic conductivity, LSC, Specific conductivity and mean vessel diameter in type branching part were larger in stem than in branch part, but not found in the branching part of Y type. 4. LSC and Specific conductivity of stem increased with decreasing diameter, but Huber value slowly increased with decreasing diameter ; especially highest at less than 1cm diameter. 5. LSC, Huber value, and mean diameter of vessels were larger at 1-year-old leader shoots than at lateral shoots. 6. The mean vessel diameter in various parts of a tree decreased with decreasing diameter of stem, but the number of vessels per unit area($mm^{-2}$) increased reversely. Mean vessel diameter in stem decreased sharply at earlywood and slowly at latewood with decreasing diameter of stem.

      • KCI등재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關)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XII) -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의 수체(樹體) 부위별(部位別) Leaf Specific Conductivity의 특성(特性) -

        한상섭,김선희,Han, Sang Sup,Kim, Sun Hee 한국산림과학회 199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8 No.1

        이 연구는 우리 나라 주요(主要)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에 대하여 줄기, 가지, 분지부(分技部)와 정단부(頂端部) 1년생 주간(主幹)과 측지(側枝) 등의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를 측정하여 수분통도성(水分通導性)의 배치구조(hydraulic architecture)를 수종별로 비교하였다. 고로쇠나무, 복자기, 박달나무, 물푸레나무와 느티나무를 제외한 활엽수종의 LSC 값은 줄기가 가지보다 컸으며, 분지부(分技部)는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분지부(分技部)에 있어서 LSC값의 급격한 감소는 모든 수종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징이다. 산공재 수종에서는 자작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박달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높은 LSC를 나타냈으며, 복자기는 가장 낮은 LSC를 나타내는 수종이었다. 환공재 수종에서는 다릅나무, 참오동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의 LSC가 높았으며, 느릅나무가 가장 낮은 LSC를 나타냈다. 복자기, 층층나무, 들메나무, 신갈나무와 느티나무에 있어서 정단부(頂端部) 1년생 주간(主幹) 및 측지(側枝)의 LSC값은 주간이 최소 $22{\mu}{\ell}/g$, 최대 $139{\mu}{\ell}/g$ 이고, 측지가 최소 $11{\mu}{\ell}/g$, 최대 $73{\mu}{\ell}/g$의 범위를 보였으며, 정단주간(頂端主幹)(leaders)이 정단측지(頂端側技)(adjacent laterals)보다 평균 2배 이상, 최대 5배 정도로 크게 나타나, 정단주간은 정단측지보다 수력적(水力的) 우세(優勢)(hydraulic dominance)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architecture by measurement of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 in the twenty-one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The LSC's of stems were higher than in branches except Acer mono, A. triflorum, Betula schmidtii, Fraxinus rhynchophylla and Zelkova serrata, and lowest in junction parts as compared with stems and branches. In diffuse-porous species, the LSC was much higher in B. plalyphylla var. iaponica, B. schmidtii, Cornus controversa, Tilia amurensis than those of other species and especially lowest in A. triflorum. In ring-porous species, the LSC was much higher in Maackia amurensis, Paulownia tomentasa, Quercus aliens, Q. serrata than those of other species and lowest in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The LSC's of 1-year-old terminal shoots of stem(the leader and adjacent laterals) in A. triflorum, C. controversa. F. mandshurica, Q. mongolica and Z. serrata ranged from 22 to $139{\mu}{\ell}/g$ in the leaders, and 11 to $73{\mu}{\ell}/g$ in the adjacent laterals. The LSC's of leaders were usually greater than the adjacent laterals because of the hydraulic dominance of the leader sho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