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몸 의존적인 도덕적 판단에 대한 비판적 고찰- 덕윤리의 관점에서 -

        한곽희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8 No.2

        In this article, I aim to investigate some cases and experiments which are supposed to show the state in which humans make moral judgments dependent upon body. Based on my critical examination, I argue that we should not ignore the importance of reason and should develop the virtue of integrity. The cases and experiments that I discus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Phineas Gage Matrix, the experiments about disgust and hypnosis, and the experiment about false heartbeat and moral dilemma. They are supposed to show that humans are dependent on body when they make moral judgmen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 argue that emotion may b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good moral judgments. I also argue that we should think about how we can make not just judgments but good or appropriate ones. In addition, I argue that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ments is that reason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good moral judgments. I argue that the condition in which humans make moral judgments dependent on body tells us the importance of reason. Finally, I argue that we should develop the virtue of integrity considering the condition in which humans make moral judgments. 본 논문의 목표는 몸 의존적인 도덕적 판단을 하는 인간의 상태를 설명하고 이것에 대해 덕윤리의 관점에서 주장할 수 있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덕적 판단에서 이성의 역할이 가지는 중요성과 자기충실성(integrity)의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몸의 상태에 의존하는 도덕적 판단에 대한 사례와 실험들을 설명할 것이다. 피니어스 게이지 모형(Phineas Gage Matrix), 최면과 역겨움 실험, 심장박동과 도덕적 딜레마 등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이 사례와 실험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도덕적 판단에서 몸의 상태로서의 감정은 필요조건이 될 수는 있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아울러, 주목해야 할 중요한 문제는 단순히 도덕적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닌 ‘적절한 혹은 좋은’ 도덕적 판단을 하는 것임을 주장할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사례와 실험 결과가 함축하는 것 중 하나는 적절한 혹은 좋은 도덕적 판단을 위해 이성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는 것임을 주장할 것이다. 몸의 상태에 의존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인간의 모습으로부터 이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몸 의존적인 도덕적 판단을 하는 인간의 모습을 고려할 때, 적절한 혹은 좋은 도덕적 판단을 위해 필요한 덕 중 하나는 자기충실성임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무지로 인한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평가와 인식적 덕

        한곽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48 No.-

        본 논문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만한 무지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무지 는 대개 바람직하지 않은 것 혹은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지가 항상 확실하게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시대의 제한 때문에 무지를 가진 경우 혹은 기만에 의해서 무지를 가진 경우에 그 무지가 비난받아야 하는지 는 분명하지 않다. 이 논문의 목적은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 결정하기 위해서 인식 적 덕 개념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몇 가지 사례들로 시작한다. 행위자가 어떤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알고 그 행동을 할 경우 와 그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모르고 그 행동을 할 경우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 한 논의는 본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들이 대답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공리주의가 이러한 질문들을 잘 다룰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논자는 공리주의가 부분적으로는 옳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문제들에 관한 우리의 직관을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의 후에는 비난받 을만한 무지의 원인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 논의는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 아닌지 를 답하는 데 인식적 덕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마지 막으로 논자는 행위자의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자가 인식적 덕을 가지고 있는지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소극적 책임(negative responsibility)과 원인- 행위부재(omission) 개념에 대한 철학적 탐구 -

        한곽희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9 No.3

        행위자는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하여 도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생각이다. 도덕적 책임을 가진다는 것은 그 책임과 관계된 행동을 야기했다는 것을 함축한다. 그런데 도덕적 책임과 인과 관계의 흥미로운 점이 있다. 행위를 하지 않은 것이 어떤 사건을 야기했을 경우 그것에 대해서도 도덕적 책임을 묻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행위부재는 예외 없이 항상 도덕적 책임의 근거가 되는가? 본고의 목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방법 혹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우선 두 가지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소극적 책임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위기의 부부’ 사례와 윌리엄스(Bernard Williams)의 ‘짐과 페드로’ 사례를 다룰 것이다. 그리고 소극적 책임 개념과 행위부재 개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사토리오(Carolina Satorio)와 드라이버(Julia Drive)의 논의를 통해서 행위부재가 도덕적 책임의 근거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살펴본다. 도덕적 책임에 관한 적절한 판단을 위해선, 행위자의 동기, 행위의 전형성(typicality), 행위가 일어난 맥락 등을 포함해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다음으로는 드라이버가 제시하는 고려 사항들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맥그래스(Sarah McGrath)의 정상성 제안(normality proposal)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논자는 이 제안이 가진 문제점을 제시하고 유덕한 행위자 개념에 의존하는 것이 맥그래스의 제안을 보충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It is widely held that an agent should be morally responsible for what he or she has caused. The idea is that moral responsibility implies causal responsibilit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responsibility and causation, there are cases that attract our attention. We still think that an agent has moral responsibility even when the agent did not do anything but this omission has caused an event. It might be true, but we can ask the following question: is omission always the basis for an attribution of moral responsibility? My aim in this article is to suggest a direction or a way in which we can find an answer to this question. To this end, first, I will explain the notion of negative responsibility by virtue of explaining two cases: the case of a couple in crisis and the case of Jim and Pedro. I als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responsibility and omission. Next, I discuss the arguments offered by Satorio and Driver. I argue that the disputes between them taught us about what we should consider in making a decision of whether omission can be the basis for moral responsibility: agent’s motivation, typicality, and context. McGrath’s proposal seems to reflect these requirements. McGrath suggests the normality proposal by which we can make a decision of moral responsibility when it is related to omission. I argue that her suggestion is problematic and offer a way in which we can complement her proposal. My suggestion is that we should rely on the judgments made by virtuous agents. I will argue that virtuous agents can consider several things which are required for a right decision about the question under discussion.

      • KCI등재

        도덕적 위선과 도덕적 자기충실성

        한곽희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What I pursue in this article is to argue against the claim regarding moral integrity and moral hypocrisy that Daniel C. Batson made with the Task Assignment experiment. To achieve this end, I first explain the Task Assignment Experiment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detail tailored fo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s in this article. I then point out problems that his claim brings about. The first point that I want to make is to reveal that the ratio of moral hypocrisy in the experiment is not really high. I also point out that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behaviors regarded as manifestations of moral hypocrisy could be the consequences of hiding their lies. Next, I argue tha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o not show that the concept of virtue is not useful, through pointing out the vagueness of having virtue. I also argue that if we accept the definition of moral integrity suggested by Batson it would be too challenging to have moral integrity. Finally, I argue that the mirror experiment conducted to show that moral hypocrisy is involved in self-deception can be the basis for the claim that humans can perform virtuous actions by virtue of having reflection on oneself. 본 논문의 목표는 뱃선(Daniel C. Batson)이 ‘과제 배당 실험’(Task Assignment Experiment)을 통해 제기한 도덕적 자기충실성(moral integrity)과 도덕적 위선(moral hypocrisy)에 관한 주장이 가진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뱃선이 행한 실험에 대해 필요한 만큼 자세하게 설명하고 그 실험 결과를 통해 뱃선이 주장하는 바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 다음에 뱃선이 가진 주장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우선 실험 분석을 통해 뱃선이 제시한 도덕적 위선의 비율이 사실상 그렇게 높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도덕적 위선을 보였다고 주장되어지는 실험참가자들의 행동이 실은 자신의 거짓말을 끝까지 숨기려는 의도에서 비롯되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 다음에 덕을 가지는 것을 판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모호함을 지적해 뱃선의 실험 결과들이 사실상 덕 개념이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또한 뱃선이 하는 방식으로 도덕적 자기충실성을 정의하면, 도덕적 자기충실성을 가지는 것이 상당히 높은 상태의 성취가 되어 버림으로써 보통 사람들이 이루기 힘든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또한 도덕적 위선에 자기기만이 개입되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시행된 ‘거울 과제 배정 실험’은 사실상 인간이 약간의 반성적 활동을 통해 덕스러운 행위를 할 수 있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유덕함과 옳은 행위 - 애나스(Julia Annas)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곽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3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Annas’s view of right action has som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 pursue three subgoals: first, I explain four views of right action in virtue ethics. Second, I explain Annas view of right action which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view after critically examining Hursthouse’s view of right action. Third, I argue that Annas’s view of right action faces some problems. It is a serious burden to ethicists who support virtue ethics to face the criticism that virtues ethics does not provide us with effective guidance about what to do when we should make a moral decision. Responding to the criticism, virtue ethicists offer some views of right action. The main views are as follows: a qualified agent account, an agent-based account, and a target-centered account. Critically examining the qualified agent account, Annas suggests an alternative view which I call ‘a learner-expert development account.’ Learners are persons who try to be virtuous and make progress in terms of being virtuous. She finds teachers or role models who can guide her about being virtuous. In this process of being more virtuous, she should reflect on the virtues, values or principles. She can overcome and be better than her teachers or role models via her critical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an expert is a fully virtuous person who has good inner attitudes, a full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are relevant to being virtuous, and the ability of making good judgements about being virtuous. Learners can make a mistake about being virtuous, whereas experts do not since they are fully virtuous. I argue that the account of learner-expert development faces some problems. First, I argue that the account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authenticity that, Annas claims, i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a good theory of right action. Second, Annas’s view of how to identify a virtuous person and the vagueness of being ideally virtuous is problematic. I argue for the following: since Annas’s claims are not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ones of Hursthouse, both the view of Hursthouse and the one of Annas are right or both of them face the same problem. 본 논문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는 옳은 행위에 관한 애나스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그 견해가 가진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하부 목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옳은 행위에 관한 덕윤리 내의 몇 가지 견해를 요약적으로 제시한다. 둘째, 허스트하우스의 도식을 비판하며 제시되는 애나스의 대안적인 견해를 설명한다. 셋째, 애나스의 견해가 가진 문제점을 제시한다. 덕윤리학자들은 옳은 행위에 대한 몇 가지의 견해를 제시한다. ‘자격 있는 행위자(qualified agent) 설명’, ‘행위자 기반(agent-based) 설명’, 그리고 ‘목표 중심(target-centered) 설명’ 등이 대표적인 견해들이다. 애나스(Julia Annas)는 이 중에서 ‘자격 있는 행위자 설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대안적인 견해인 ‘학습자-전문가 발전(learner-expert development) 설명’을 제시한다. 학습자는 덕을 배워가며 발전해 가는 사람이다. 그는 자신보다 더 유덕한 선생이나 롤 모델을 찾아 본받으며 점점 더유덕해져 간다. 학습자는 선생이나 롤 모델의 추천을 받아 옳은 행동을 한다. 학습자는 아직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실수할 수 있는 반면에 전문가는 완전히유덕한 상태에서 행동하기 때문에 그런 실수를 하지 않는다. 논자는 이런 애나스의견해가 가진 문제점을 제시한다. 첫째, 애나스가 중요한 요소로 제시했던 진정성(authenticity) 조건을 애나스의 견해가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어떻게유덕한 사람을 확인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와 이상적인 유덕함의 모호함 문제에대한 애나스의 견해도 문제점을 지닌다고 주장한다. 애나스가 제시한 대안이 허스트하우스의 도식이 제안하는 견해와 충분히 차별되지 않기 때문에, 둘 다 옳다고해야 하거나 둘 다 동일한 문제점을 가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자기충실성과 의미 있는 삶에 관한 후랭크후르트(Harry Frankfurt)의 견해 비판

        한곽희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0 No.3

        본고의 목표는 자기충실성(integrity)과 의미 있는 삶에 관한 후랭크후르트의 견해를 비판하는 것이다. 후랭크후르트는 공시적(synchronic) 자기충실성과 통시적(diachronic) 자기충실성을 구분하는데, 본고에서는 후자에 관해 다룬다. 본고에서 비판하고자 하는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무엇을 소중히 여기는 것은, 그 소중히 여기는 대상이 무엇이든지 간에, 통시적 자기충실성을 부여하는 근거가 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삶은 의미 있는 삶이다. 이 주장이 가지는 함축 중 하나는 하찮은 혹은 악한 목표를 소중히 여기는 삶도 의미 있는 삶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입장을 비판하기 위하여, 우선 그의 견해가 의미 있는 삶에 관한 주관주의적 입장임을 밝힐 것이다. 또한 그의 견해가 주관주의적 입장이 가지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음을 주장할 것이다. 만약 후랭크후르트가 주관주의적 입장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수하고자 한다면, 그의 견해는 의미 있는 삶에 관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중요한 기초적인 가정을 무시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 기초적인 가정이란 다음과 같다.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의미 있는 삶을 사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낫다. 하찮은 것이나 악한 목표를 소중히 여기며 추구하는 삶이 의미 있는 삶일 수 있다는 후랭크후르트의 주장은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가정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The aim that I pursue in this essay is to argue against Frankfurt's view of integrity and a meaningful life. Frankfurt makes a distinction between integrity in the synchronic sense and integrity in the diachronic sense, and this essay concerns the latter. The claim that I criticize in this essay is the following: caring about something can be the basis for an ascription of integrity and what makes one's life meaningful, regardless of the value of the object of caring. One of the contentions that can derive from this claim is that caring about frivolous or wicked aims can be the basis for a meaningful life. In arguing against his position, I show that his view can be regarded as a subjectivist view of a meaningful life. Next, I argue that his view cannot avoid the problems the subjectivist view faces. I also argue for the following: if Frankfurt bites the bullet by virtue of embracing the problems that the subjectivists have, then his view will ignore an important assumption regarding a meaningful life. The important assumption is this: other things being equal, living a meaningful life is better than living a meaningless life. The claim that the pursuit of a frivolous or wicked aim can make one's life meaningful does not seem to be compatible with the assumption.

      • KCI우수등재

        행복한 삶을 위한 자기충실성(integrity)

        한곽희(Gwakhee Han)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6

        본 논문의 목표는 행복한 인간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논자는 자기충실성(integrity)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 행복한 인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논자의 견해에서 자기충실성을 가지는 사람은 특정한 가치나 원리에 헌신되어 외부의 압박이 있을지라도 그 가치나 원리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다. 자기충실성을 가진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기 전에 우선 기존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널리 알려졌듯이, 철학 내에서 행복에 관한 세 가지 주요 이론은 쾌락주의, 욕구만족이론, 객관적 명부 이론 등이다. 논자는 이 세 가지 이론들이 나름대로 매력을 지녔지만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자기충실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설명한다. 논자의 견해에서 자기충실성을 가지기 위해선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어떤 가치나 원리에 헌신되는 것이다. 둘째, 자신의 헌신의 대상인 가치나 원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셋째, 열린 태도로 그 헌신을 유지하는 것이다. 자기충실성의 조건을 설명한 후 논자는 가치나 원리에 관한 제한에 대해서 논의한다. 다양한 가치나 원리가 자기충실성을 위한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 것이나 다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첫째, 그 가치나 원리는 자신의 진정한 원함에 의해 선택된 것이어야 한다. 둘째, 그 가치나 원리는 삶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을 만큼 하찮아선 안 된다. 셋째, 그 가치나 원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자기파괴적인 것이 되어선 안 된다. 넷째, 그 가치나 원리는 사악한 것이어선 안 된다. 이 논의 후 논자의 주장에 대한 가능한 반박 및 그에 대한 대응에 대해 논의한다. In this article, I put forward an account of happiness, according to which happiness lies in having integrity. To explain what it means to be happy, I give an account of having integrity. On my view, a person has integrity, when she is committed to values or principles and acts in accordance with them overcoming adversity if there is any. Before I suggest my account of integrity, I discuss three accounts of happiness which are widely known and accepted by contemporary philosophers: hedonism, desire theories, and objective list theories. I explain both why they are attractive and also why they are not completely satisfactory. In putting forward my account of integrity, I suggest three conditions for having integrity. First, one should be committed to values or principles to which one identifies with. Second, one should act in accordance with the values or principles. Third, one should maintain one’s commitments with an open mind, revising them if needed. I argue that there should be some limitations on the contents of the values or principles to which one is committed in order to have integrity. First, one should identify the values or principles with oneself on one’s own. Second, the values or principles should not be so frivolous that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m does not make any meaningful difference to one. Third, acting by the values or principles should not be selfdestructive. Fourth, the values or principles should not be wicked. Finally, I discuss possible objections to my claims and suggest my responses to the objections.

      • KCI우수등재

        행복은 감정 상태로 환원가능한가?

        한곽희(Gwakhee Han)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2

        이 글은 행복이 감정 상태로 설명될 수 있다는 헤이브론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제점을 제시하기 전에 우선 헤이브론의 행복론을 설명한다. 헤이브론에 따르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성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가지는 것이 행복한 상태이다. 이 주장의 첫 번째 문제점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라는 조건이 제시된다. 헤이브론이 제시하는 조건들을 다 충족시켜도, 그러한 모습을 자신의 모습으로 동일시하지 않으면 행복한 상태일 수 없다고 논자는 주장한다. 또한 헤이브론의 행복론은 행복의 다양한 양상을 포섭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공시적인(synchronic) 행복과 통시적인(diachronic) 행복 그리고 전체적인 행복과 부분적인 행복 등에 대해서 제시한다. 이에 덧붙여, 헤이브론이 말하는 바대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다 해도 그것이 다른 사람에게 속은 결과로 인해 가지게 된 것이라면 그것은 행복한 상태일 수 없다고 논자는 주장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Haybron’s theory of happiness and points out a few problems that the theory generates. Before suggesting the problems, I explain Haybron’s theory of happiness. According to Haybron, happiness lies in having consistently positive emotional states that come from a person’s dispositions. I argue against Haybron by virtue of suggesting three problems. First, I argue for the following: a person may not be happy even if she fulfills all the conditions that Haybron suggests, if she does not identify herself with her emotional states. Second, I argue that Haybron’s theory of happiness cannot include various types of happiness. I suggest that many types of happiness exist including happiness in a synchronic perspective, happiness in a diachronic perspective, overall happiness, and partial happiness. Finally, I argue that a person may not be happy even if she is in the emotional states that Haybron describes, if the states result from being deceived by others. Positive emotional states should not be the basis for attributing happiness if they are the consequences of deception.

      • KCI등재

        매뉴얼 모델로서의 공학윤리와 융통성의 덕

        한곽희(Han, Gwak-hee)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9 No.-

        본 논문은 세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첫째, 기존의 공학윤리 혹은 엔지니어가 선호할 만한 매뉴얼 모델이 가진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애나스(Julia Annas)의 주장에 따르면, 특정한 지침을 통해 도덕적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많은 윤리 이론들이 매뉴얼 모델의 성격을 가진다. 공학윤리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공학윤리에서 추구하는 윤리 이론도 매뉴얼 모델로 이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고에서는 매뉴얼 모델에 관한 애나스의 주장을 검토하며 그 주장에 가해질 수 있는 가능한 비판들에 대한 대응을 제시한다. 애나스에 따르면, 매뉴얼 모델을 수용할 경우, 어린 청소년이나 도덕적으로 혐오스런 사람이 하는 도덕적 충고를 받아들여야 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의 도덕적 결정과 행동이 진정으로 자신의 것이 아닌 매뉴얼의 설명에 따른 결과일 수도 있다. 둘째, 공학윤리에서의 덕윤리적 접근방식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대학교 학생들의 윤리 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덕윤리 이론의 교육이 실제 생활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할 것이다. 다른 윤리 이론보다 덕윤리 이론을 옹호한 경우에 더 도덕적으로 행동한다는 결과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셋째, 미래 시대의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덕 중 하나인 융통성(flexibility)의 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융통성의 덕에 관한 밸러(Shannon Vallor)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견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밸러에 따르면, 융통성의 덕은 예측 불가한 미래의 기술사회적 조건들이 만들어내는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것으로 행동, 믿음, 그리고 느낌을 조절하는 숙련된 경향이다. 밸러는 융통성의 덕이 함축하는 것 중 하나는 관용이라고 주장한다. 본고에서 이런 견해가 가진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런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를 제시한다. This article pursues three aims. The first one is to point out some difficulties a manual model of ethics faces. It can be assumed that the manual model is accepted or preferred by Engineering Ethics or engineers. According to Julia Annas, many ethical theories which provide us with certain procedures by which one can resolve moral problems can be regarded as a manual model.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ngineering Ethics, an ethical theory that Engineering Ethics hopes to have would be a manual model. I critically assess the arguments that are made by Annas regarding the manual model. I explore possible objections that can be made against the arguments. According to Annas, accepting the manual model brings about some problems. First, we might accept an adolescent or a person who is morally detestable as a moral adviser. Second, accepting the manual model can make one’s moral judgments and actions as something external or inauthentic. The second aim is to argue that Engineering Ethics should include a virtue ethics approach. I discuss a survey conducted at two different universities. The surve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students’ mor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kind of moral theories that they support. An interesting result is that the degree of morality was higher when the students support virtue ethics. The third aim is to explain the virtue of flexibility. For this explanation, I discuss a definition of the virtue which is suggested by Shannon Vallor. According to Vallor, flexibility is a habituated disposition to module actions, beliefs, and feelings in adapting oneself to changes which can happen in the future society where people can be disturbed and perplexed because of radical changes of technology. She also holds that the virtue of flexibility entails a habituated disposition to forbear cultural value systems and beliefs which are different from ours. I critically examine these claims, point out some problems, and suggest ways in which these problems can be res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